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한국 전쟁기념물 디자인의 기념비성 : The Monumentality of The War Monument Design in Korea: A Case Study of The Korean War Monument Design for the Participation of the UN Forces
유엔군 참전기념비 디자인의 사례 연구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석

Advisor
김민수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전쟁기념물기념비성문화적 기억사회적 기억장소의 정치공공외교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미술대학 디자인학부(디자인역사문화전공), 2023. 2. 김민수.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oci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war monuments in Korea by analyzing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institutional aspects of war monument design in the country. The construction of the Korean War Monuments for the Participation of the UN Forces (hereinafter abbreviated as UN Forces Participation Monuments) in the 1960s and 1970s was addressed as an example.
The issue of memory is challenging, especially since Korea has a volatile modern and current history of national sovereignty extortion, conflict, division, and dictatorship. More than 800 war monuments that mark the nation are now a cultural sign of these memories in Korea. However, throughout Korea's history, war monuments have served as both a social mechanism to bring the nation together, and as a symbol representing the political ideologies of the governing authorities of the time. Consequently, there is a disconnect between the cultural form of a war monument and the memory of war in terms of its social significance.
The system of war monuments was analyzed in a historical context, and the process of modifying meaning was examined to uncover the social and cultural meanings implied in the design. The remainder of this paper is structured as follows.
First, the historical perspective on the design of war monuments was based on the theory of cultural memory in historical academia, and its connection point with design research was considered. The study focused on the design communication that occurs in the process in which memories are formed through the medium of visual cultural forms such as images and places. Through this, the formation of the meaning structure of memory through the design of war memorials was analyzed.
Second, the historical context of the design of war monuments in Korea was identified and organized. War monuments were first employed as political tools in Korea by Japan during the colonial period. Japan institutionalized the use of war monuments as a way to create a collective memory for the people of Naisen Ittai (Japan and Korea as One Body). These monuments featured an autonomous design that blended the compulsion of power with religious sublimity. After liberation, the majority of the war monuments erected by Japan were destroyed, and the topic and collective memory of the monuments were changed, but social and cultural forms, such as war monuments, institutions, and rituals from the Japanese colonial era, were preserved.
Third, the formation context and design of 12 UN Forces Participation Monuments built in the 1960s and 1970s were analyzed. The UN Forces Participation Monuments might be considered a unique instance of war monuments created for the institutional level social function of Public Diplomacy in a period when authoritarian politics was heavily influential. This was the result of the Korean government's strong diplomatic assault at a time when it was dealing with diplomatic issues because of the nature of the current international crisis.
The UN Forces Participation Monuments design incorporates elements of the existing context, such as the "politics of place" that have been revealed in the history of Korean War monuments, but it also takes on diplomatic characteristics or is combined with a particular institution to demonstrate an innovative form. In particular, the UN Forces Participation Monuments built next to a road have drawn increased attention and exposure due to the policy shift in the Ministry of Transportation's engagement in the war monument project, paired with the road development system. Sublimity and majesty are prominently represented in the visual symbolism and physical representational memory of the UN Forces Participation Monuments design, which transmits incomplete and biased information regarding the historical memory of the battle.
Through this approach, the semantic organization of memories that lie behind war monuments was examined, as well as the social and cultural gap between the history of war and the monuments that commemorate it.
이 연구는 한국의 전쟁기념물 디자인의 역사적 맥락과 제도적 특징을 살펴봄으로써 디자인에 내재된 기억에 관한 사회·문화적 성격을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사례로 1960-70년대에 건립된 유엔군 참전기념비의 디자인을 다루었다.
최근 기억의 문제가 부상하고 있다. 특히 한국은 국권 침탈, 해방 후 대립과 분단, 독재라는 격동의 근현대사를 겪어오며 과거라는 역사적 사실을 어떻게 기억할 것인가?에 대한 문제가 복잡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기억 문제에 대한 문화적 지표가 오늘날 전국에 800개가 넘는 전쟁기념물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한국의 전쟁기념물 역사에서 전쟁기념물은 단순한 기억의 매개체가 아닌 각 시대의 지배 권력이 지향하는 정치적 이념을 반영하는 상징이자, 국민통합을 기치로 내건 사회적 기제였다. 따라서 전쟁에 대한 기억과 전쟁기념물이라는 문화적 형식 사이에는 사회적 의미에 있어서 간극이 있다.
이 연구는 디자인을 한 사회의 문화를 반영하는 상징으로 보는 관점에 기반을 두었다. 이로써 전쟁기념물 디자인에 대해 역사적 맥락에서 관련 제도를 살펴보고, 의미가 변화하는 과정을 고찰하여 그 이면에 있는 사회적, 문화적 의미를 밝혀내고자 했다. 이에 관한 연구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쟁기념물 디자인에 대한 역사적 관점으로 역사학계의 기억문화 이론을 기반으로 기억 문화와 디자인의 연결 지점을 이론적으로 모색하였다. 기억이 이미지, 장소와 같은 시각 문화 형식의 매개로 형성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디자인 커뮤니케이션에 주목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전쟁기념물 디자인을 통한 기억의 의미 구조 형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둘째, 한국 전쟁기념물 디자인의 역사적 맥락을 파악하고 구성하였다. 한국 역사에서 전쟁기념물이 정치적 기제로 본격적으로 활용되기 시작한 것은 강점기 일제에 의한 것이었다. 일제는 내선일체를 목적으로 집단기억을 형성하고 이를 통해 피식민지 국민을 통합하고자 하는 수단으로 전쟁기념물을 제도적으로 활용하였다. 특히 일본의 전쟁기념물은 야스쿠니 신사를 중심으로 한 종교적 성격이 부여되었다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전쟁기념물이 정치와 종교의 합일이 되는 지점은 권력의 위압감과 종교적 숭고함이 결합된 독자적인 디자인으로 구현되었다.
해방 이후 일본이 세운 전쟁기념물은 대부분 철거되었고 전쟁기념물 건립의 주체와 집단기억은 전환되었으나 여전히 일제강점기 전쟁기념물의 디자인을 비롯한 제도, 의례와 같은 사회·문화적 형식이 지속되었다. 특히 박정희 정부 시기에는 전쟁기념물에 관하여 과거보다 큰 규모의 국가적 사업이 진행되었고 건립에 국방부, 교통부, 문공부가 합세하여 전쟁기념물의 제도가 고도화되고 사회적 기능이 강화되었다.
셋째, 1960-70년대 건립된 유엔참전국을 대상으로 한 전쟁기념물인 유엔군 참전기념비 12개의 형성 맥락과 디자인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유엔군 참전기념비는 권위주의적 정치가 강하게 작용한 시기에 제도적 차원에서 공공외교라고 할 수 있는 사회적 기능을 목적으로 형성된 특수한 전쟁기념물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네 가지 측면에서 분석을 시도하여 다음과 같은 의미를 도출하였다.
먼저, 유엔군 참전기념비는 당시 국제 정세에 따른 한국의 외교적 상황이 반영된 사회적 결과물이었다. 유엔군 참전기념비가 건립되었던 1960-70년대는 남북한이 유엔 가입의 지지를 얻기 위해 경쟁적인 외교를 펼치던 시기이자, 이른바 데탕트로 불리는 냉전 체제 완화의 세계정세가 조성되어 주한 유엔군이 철수를 선언하는 등 한국 정부가 난처한 입장에 봉착하고 외교적 전환을 모색한 시기이다. 이때 외무부의 주도하에 설립된 민간외교 단체 유엔한국참전국협회가 여러 외교 공세를 펼쳤는데 그 일환 중 하나가 유엔군 참전기념비 건립이었다.
다음으로 유엔군 참전기념비는 공공외교 차원에서 외교적 매개체의 역할을 체계화된 제도를 통해 수행하였고 이는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는 양상을 보인다. 유엔군 참전기념비는 참전국의 고위급 인사의 방한 일정에 맞춰 건립되고 행사가 진행되었으며 이것이 언론을 통해 적극적으로 보도되고 해외홍보영화로 제작되어 매체적 확장이 이루어지기도 했다. 이후 최근까지도 외교 의례의 대상이 되고 있으며 나아가 건립된 지역의 상징이 되어 오늘날에는 지역과 참전국 간 문화 교류의 계기가 되고 있다.
그리고 유엔군 참전기념비 디자인은 기존 한국 전쟁기념물의 역사적 맥락을 반영하면서도 이것이 외교적 성격으로 변용되고 특정 제도와 결합하여 새로운 형식으로 구현된 특징이 있으며, 오늘날에는 과거와 대비되는 변화 양상을 보인다. 특히 장소적 측면에서 도로 개발이라는 정책과 연계되어 도로 인근에 건립된 유엔군 참전기념비는 강화된 주목성과 시인성을 형성했다. 그러나 과거와 달리 오늘날 유엔군 참전기념비는 존재감이 약화된 변화상을 보인다. 이와 같은 양상은 표면적으로 산림녹화, 조경공사, 도시개발과 같은 물리적 영향에 의한 것이기도 하지만 민주화와 같은 시대 변화의 흐름 속에서 과거의 권위주의적 시대에 부여받은 정치적 위상이 상실되어 가는 사회적 변화의 반영이기도 하다.
끝으로 전반적인 유엔군 참전기념비 디자인은 전쟁이라는 과거의 기억에 대하여 단선적이고 편향적인 정보와 의미를 전달하고 있으며 숭고함과 웅장함만이 강하게 표출되고 죽음과 희생에 대한 애도나 추모와 같은 다양한 시선이 부재한 한계가 있다는 분석에 이르렀다.
이와 같은 연구 과정을 통해 연구자는 전쟁이라는 과거와 이것을 기억하는 전쟁기념물 사이의 사회·문화적 괴리를 조명하였고, 그 이면에 있는 기억의 의미 구조를 분석하였다. 역사적으로 전쟁기념물은 지배 권력의 주도하에 집단기억을 형성하는 정치적 기제로서 작용하였고 한국은 침탈, 분단과 대립, 독재라는 사회적 변화를 겪으며 기억이 은폐되거나 왜곡되어왔다. 특히 유엔군 참전기념비는 특정 권력의 정치가 강력하게 작용하던 시대에 외교적 매개체의 역할이 부여되어 사회적 기능이 과거를 기억하는 것에 관한 본질을 압도하는 양상을 보여주는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연구자는 전쟁기념물의 디자인과 이를 둘러싼 사회적 맥락을 통해 한국 기억문화의 문제를 규명하고 기억문화의 형성에 있어서 그것을 성찰하는 과정과 다양한 시선을 담을 수 있는 디자인 형식 양자의 중요성을 조명하고자 했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3639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6057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