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열린 구조의 상상 표현을 통한 현실의 공백 메우기 : Filling the Gap in Reality through Expressions of Imagination in an Open-Structure
나의 작품을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강솔

Advisor
임자혁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상상기억중첩반복왜곡흔적소멸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미술대학 서양화과, 2023. 2. 임자혁.
Abstract
이 논문은 2020년부터 2021년까지 현실의 대안을 상상하거나 선명하지 않은 기억을 반추하며 살을 붙여 연작 형태로 제작한 나의 작품에 기반한다.
나는 죽음과 끝에 대한 두려움으로부터 확장하여, 완벽하게 이해할 수 없는 다면적인 세상 속에서 그 대상을 찾을 필요성을 느꼈다. 스스로의 힘으로 극복할 수 없는 것들이나 상황에 대해서 두려움을 느끼고, 이런 상황에서 무기력에 빠지지 않기 위한 행위가 실제로 변화를 가져올 수 없더라도 삶을 유지하기 위해 중요한 것이라고 생각한다.
나의 세상은 타인과 맺는 관계를 통해 형성된다. 이 관계에서 무력감이나 두려움을 느낄 때, 내가 원하는 대로 현실을 바꿀 수 있는 터무니없는 세상을 상상해 보며 현실에서의 도피를 시도하거나, 기억을 기반으로 상상을 더해 대상을 다면적으로 구체화 해 보며 현실을 받아들이고자 노력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세상에 대한 인식은 완벽한 정복을 통해 이룰 수 있는 것이 아니라, 관계를 유동적으로 만들어 나가며 점차 이해하는 것임을 알게 된다. 세상에는 정해진 하나의 답이 없음을 이해하고, 오독의 가능성에 대한 압박에서 벗어나 있는 그대로를 긍정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태도는 현실에서 마주하는 다양한 어려움을 도피하거나 수용하려는 강박에서 벗어나 삶을 지속할 수 있도록 한다.
나는 작업을 통해 상상이 기반이 된 비선형적 서사를 만들고, 여기에 다양한 형태로 살을 붙여 나가며 작업을 진행한다. 이런 구조의 작업이 특정 지점에서 완성되기보다는 타인의 다양한 해석이나 반응으로 인하여 지속적으로 형태가 변형되기를 갈구한다.
또한 서사 구조 뿐 아니라 작업 과정을 통해 관계의 변화에서 일어나는 우연성과 필연성에서 의미를 찾고자 하는데, 판화라는 매체와 기법을 이용하는 것은 비선형적 서사를 긍정하는 태도와 맞닿아 있다. 최대한 복잡한 공정과 긴 시간을 들여 판을 부식시킨 흔적을 찍어내 기억의 반추와 소멸의 과정이 가진 의미를 전달한다. 또한, 한 판에서 시작된 다양한 결과물들을 모두 함께 늘어놓을 수 있는데, 제작 과정 중의 다양한 실험 찍기 혹은 제작 중인 판들을 작업에 함께 포함시켜 늘어놓아 상상의 다변성을 표현한다.
감각 표현을 중첩하고, 흔적을 통해 드러내는 것은 그 자체로 비유를 담고 있다. 이는 나의 작업이 안전지대를 만들고자 하는 회피 기제에서 시작하였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이로 인해 연구기간 이전 스스로의 작업이 타인과 소통이 잘 되지 않는 듯한 기분을 느끼기도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는 즉흥적인 작업 방식과 비선형적 서사를 통한 은유를 고수했다. 점차 두려움의 점진적 직면을 향하는 일련의 과정을 보여주는 태도로 변했다. 즉흥적인 작업의 과정과 그 시간 동안 선택하는 느슨함은 유동성과 비선형성을 확보해 현실에서의 무력감에서 거리를 벌리고, 온전한 자아를 형성하기 위해 필요한 시간을 옹호하기 위함이다.
This thesis is based on my series of artoworks developed by reflecting on alternatives to reality or by looking at her vague memories from 2020 to 2021.This thesis is wrote based on my series about an alternative world I built and my vague memories of 2020 to 2021.
I felt it necessary to find a subject in the multi-lateral world that cannot be fully understood, extending my fear of death and my end. The fear and helplessness that follows might not really make things better. But even if I cannot overcome the obstacles that I am facing or lose control, this process is still very important for the sake of my survival and existence.
The world I built is based on the relationships I form with others. When feeling lethargic or fearful in these relationships, I imagine a world that makes no sense, where I can distort the reality. This is my way of escaping from the problems I face in the real world, helping me to accept the reality as it is.
In this process, I can realize that to successfully identify the world, I need to gradually build fluid relationships instead of perfect conquest. It allows me to understand that there is no only single answer in the world, and affirms things as they are by going beyond possibily misunderstanding. By this attitude I can truly liberate myself from the compulsion to face the challenges in any way- either by running away or surrendering myself.
I create non-linear narratives based on imagination, and advance them by adding various stories. I aim to leave my work unfinished and leave it to change form through various interpretations and responses.
Moreover, the work attempts to find meanings in contingency and inevitability occurring in the change of relationships - not only in the narrative structure but also in the work in progress. For example, how the medium and technique of print is used here parallels with my attitude that affirms nonlinear narratives. Traces I made to a printing plate through the most complex progress and longest time are left to deliver a message about the meaning in the reflection and the end of memories. Also, various results including experiments and incomplete work from one plate can be lined up together to express a multiplicity of imaginings.
These metaphors are created on the basis of my instinctive defense mechanism of trying to escape to my own safe zone. I realized that my previous works failed to facilitate communication between the artist and the audience.
Nevertheless, I chose to stick to spontaneousness and nonlinear narratives. This changed my attitude in delivering my thoughts through my work. And it turns out showing how fear confronts realities, one by one, through such a series. The looseness that is chosen by the progress in an extempore way of working and the long time required for making some distance from a feeling of helplessness in reality through achieving liquidity and nonlinearity, then seizes the necessary time to form a complete ego.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3643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5772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