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독일 행정소송의 독자성에 관한 연구 : Eine Studie über die Eigenständigkeit des Verwaltungsprozesses im deutschen Recht
행정법원법의 자족성과 민사소송법 준용체계를 중심으로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정훈-
dc.contributor.author강지웅-
dc.date.accessioned2023-06-29T02:11:53Z-
dc.date.available2023-06-29T02:11:53Z-
dc.date.issued2023-
dc.identifier.other000000175043-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93660-
dc.identifier.uri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5043ko_KR
dc.description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법과대학 법학과, 2023. 2. 박정훈.-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독일 행정소송의 독자성을 행정법원법의 자족성과 민사소송법 준용체계를 중심으로 다룬다. 우리나라의 행정소송법은 행정재판절차를 망라하여 규정하고 있지 않고, 제8조 제2항에서 법원조직법과 민사소송법 및 민사집행법의 규정을 포괄적으로 준용함으로써 그 공백을 메운다. 통설은 행정소송의 독자성에 반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행정소송법 제8조 제2항을 통해 민사소송법과 민사집행법이 준용된다고 본다. 그러나 민사소송법 준용의 기준이 되는 행정소송의 독자성에 관한 구체적ㆍ체계적인 연구는 아직 부족하다. 이 문제의 해결책을 모색하기 위하여, 상당한 정도의 자족성을 갖추고 있으면서도 세분화된 준용체계를 지닌 독일 행정법원법을 살펴보게 되었다.
독일 행정소송은 19세기 후반에 행정국가 모델과 사법국가 모델의 절충을 통해 민사소송을 모방하여 생성되었다. 재판관할은 사법국가 모델의 영향을 받았지만, 소송관계인의 구조적 불평등과 多極的 소송법관계 그리고 직권탐지주의는 행정국가 모델의 영향을 받은 부분이다. 그러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독일 행정소송은 주관적 권리구제 중심의 사법국가 모델로 전면 재구성되었다. 현재의 독일 행정소송은 민사소송과 마찬가지로 개인의 권리구제를 최우선 목적으로 삼는 주관소송적 구조를 띠고 있으므로, 민사소송에 대한 독자성을 갖는 데 일정한 한계가 있다. 그러나 행정통제 기능과 법형성 기능 같은 객관적 기능도 행정소송의 또 다른 중요한 기능으로 인정되며, 이것이 행정소송의 독자성을 이루는 요소가 된다.
이러한 독일 행정소송의 기능상 독자성이 소송절차 전반에 미친 영향을 소송제도의 핵심을 이루는 네 개의 기둥을 중심으로 고찰해 보면, 각각의 기둥별로 독자성의 정도가 다름을 확인할 수 있다. 첫 번째 기둥인 소송의 대상과 유형에 관하여 보면, 행정행위 개념을 기준으로 재판관할이 협소하게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는 독자성이 약하나, 공법적 행정작용에 관하여 포괄적 권리구제가 보장되고 객관적 통제 기능을 수행하는 소송유형이 있는 점, 행정행위의 특수성이 반영된 소송요건과 가구제 제도가 마련되어 있는 점에서는 독자성이 있다. 두 번째 기둥인 소송의 구조는 권리침해가 원고적격과 본안요건을 관통하는 중심축을 이루고 있고 판결의 효력이 상대효를 갖는 등 철저히 주관소송적 구조를 띠고 있어 독자성이 약하다. 세 번째 기둥인 소송법관계의 경우, 원고와 피고 행정청 간의 구조적 불평등을 전제로 소송상 지위와 역할이 부여되고, 계쟁 행정작용을 둘러싼 多極的 이해관계가 형량ㆍ조정된다는 점에서 강한 독자성을 띤다. 네 번째 기둥인 심리원칙의 경우, 행정에 대한 법적 구속으로 말미암아 피고 행정청의 소송물에 관한 처분권이 좁게 인정되고, 소송자료의 수집책임에 관하여 직권탐지주의를 채택함으로써 정확한 사실관계에 기초한 효과적인 행정통제를 추구하므로, 이 영역도 독자성이 강하다.
행정국가 모델과 사법국가 모델의 절충은 행정법원법 자체의 형태와 체계에도 반영되어 있다. 한편으로는, 상당한 정도의 자족성을 갖춘 행정법원법이 마련되어 있고 행정소송에 관한 독자적이며 완전한 규율을 목표로 한다. 다른 한편으로는, 세 가지 유형의 준용규정을 두어 민사소송법을 준용하는 범위와 한계를 세밀하게 규율한다. 제1유형인 유보조건 없는 특별준용규정은 인용된 준용대상 규정이 가장 구체적이고 명확하며, 그 준용대상 규정을 준용하는 데 있어 별도의 요건이 필요 없다. 제2유형인 상충하는 규정이 유보된 특별준용규정은 행정법원법이 독자적인 규율을 추구하는 증거조사와 집행 분야를 그 규율대상으로 삼고 있다. 준용대상 규정의 범위가 제1유형보다 넓은 대신에 구체성은 덜하고, 준용 여부가 행정법원법에 상충하는 규정이 없을 것이라는 소극적 요건에 달려 있다. 제3유형인 일반준용규정은 준용대상 규정을 구체적으로 인용하지 않고 법률 전체를 포괄적으로 인용하는 대신, 규율의 공백과 규율대상 간의 유사성이 모두 인정되어야만 준용이 허용된다.
우리나라의 행정소송은 소송의 구조와 소송법관계에 관하여는 독일 행정소송보다 독자성이 강하나, 소송의 대상ㆍ유형과 심리원칙에서는 독자성이 약하다. 또한 우리 행정소송법은 자족성이 현저히 떨어지고, 준용규정이 사실상 제8조 제2항 한 개밖에 없으므로, 이를 통해 상당수의 민사소송법 규정을 준용하는 것이 불가피하다. 다만, 위 조항은 일반준용규정이므로, 입법자의 계획에 반하는 불완전성이 있는지, 규율대상 간의 유사성이 인정되는지에 관한 구체적인 검토를 거쳐야 한다. 이때 행정소송의 기능상ㆍ절차상 독자성이 판단기준이 될 수 있다. 즉, 독자성이 상대적으로 약하게 나타나는 규율영역에서는 통상의 심사기준에 따라 민사소송법 규정의 준용 여부를 판단하고, 독자성이 강하게 나타나는 영역에서는 엄격한 심사기준에 따라 민사소송법 규정의 준용 여부를 판단해야 한다.
-
dc.description.abstractIn der vorliegenden Arbeit geht es um die Eigenständigkeit des deutschen Verwaltungsprozesses bezüglich der eigenständigen und abschließenden Regelung und des Verweisungssystems der Verwaltungsgerichtsordnung (VwGO). Hinsichtlich des verwaltungsgerichtlichen Verfahrens ist die koreanische Verwaltungsprozessordnung (K-VwPO) lückenhaft, daher verweist der Generalverweis in §8 Abs. 2 K-VwPO bei der Lückenfüllung allgemein auf das gesamte koreanische Gerichtsverfassungsgesetz, die Zivilprozessordnung (K-ZPO) und die Zivilvollstreckungsordnung (K-ZVO). Nach der herrschenden Meinung im koreanischen Recht sind die K-ZPO und K-ZVO entsprechend anzuwenden, wenn die Eigenart des Verwaltungsprozesses dies nicht ausschließen. Es fehlt aber an konkreter und systematischer Forschung zur Eigenart des Verwaltungsprozesses, die der Verweisung auf die K-ZPO und K-ZVO im Verwaltungsprozess Grenzen setzt. Zur Lösung dieses Problems ist die VwGO zu erforschen, die verschiedenen eigenständigen und abschließenden Regelungen und ein differenziertes System der abgestuften Übertragung von Zivilprozessrecht in das verwaltungsgerichtliche Verfahren enthält.
Die deutsche Verwaltungsgerichtsbarkeit entstand in der zweiten Hälfte des 19. Jahrhunderts als Kompromiss zwischen dem justizstaatlichen Modell und dem Modell der Administrativjustiz in Anlehnung an den Zivilprozess. Während die Zuständigkeit der Verwaltungsgerichtsbarkeit unter Einfluss des justizstaatlichen Modells eng begrenzt war, wurde die strukturelle Ungleichheit der Beteiligten, das multipolare Prozessverhältnis und der Untersuchungsgrundsatz unter Einfluss des Modells der Administrativjustiz eingeführt. Nach dem Zweiten Weltkrieg wurde dann die deutsche Verwaltungsgerichtsbarkeit vollständig zum justizstaatlichen Modell umgebaut, das auf den subjektiven Rechtsschutz zentriert war. Das heutige deutsche Verwaltungsprozess bezweckt in erster Linie den Individualrechtsschutz, auf die die Struktur des Gerichtsverfahrens ausgerichtet ist, dadurch mangelt es an Eigenständigkeit gegenüber dem Zivilprozess. Die objektive Funktionen wie Kontrollfunktion und Rechtsfortbildungsfunktion werden jedoch auch als weitere wichtige Funktionen des Verwaltungsprozesses anerkannt, und diese Funktionen prägen die Verwaltungsgerichtsbarkeit.
Die Funktionen des Verwaltungsprozesses wirken sich auf das gesamte Gerichtsverfahren aus. Bezüglich der Rechtswegzuständigkeit steht die verwaltungsaktbezogenen Klagearten im Zentrum des Verwaltungsprozesses und sind manch öffentlich-rechtliche Streitigkeiten wie etwa Amtshaftung und die Höhe der Entschädigung wegen Enteignung an den ordentlichen Rechtsweg zugewiesen. Der umfassende Rechtsschutz gegen die öffentliche Gewalt wird aber einerseits gem. Art. 19 Abs. 4 GG gewährt, andererseits gibt es Klagearten, die nur objektive Funktionen erfüllen, wie das Normenkontrollverfahren in §47 VwGO. Darüber hinaus spiegeln sich die Besonderheit des Verwaltungsakts im Vorverfahren, in der Klagefrist und im einstweiligen Rechtsschutz wider. Hinsichtlich der Struktur des Gerichtsverfahrens ist die mögliche individuelle Rechtsverletzung Voraussetzung der gerichtlichen Kontrolle (§42 Abs. 2 VwGO) und sind die bereits erfolgte Rechtsverletzungen durch die Behörde in der Regel Gegenstand der Überprüfung (§113 Abs. 1 und Abs. 5 VwGO). §42 Abs. 2 VwGO und §113 Abs. 1 S. 1 und Abs. 5 VwGO binden also den Rechtsschutz an die Verletzung von subjektiven Rechten. Außerdem ist die Beschränkung der Wirkung eines Urteils auf die Beteiligten des verwaltungsgerichtlichen Verfahrens Ausdruck eines dem Individualrechtsschutz dienenden Prozessrechts. Hinsichtlich des Prozessverhältnises verteilen sich die Parteirollen formell, um ein geordnetes kontradiktorisches Verfahren zu ermöglichen. Diese festgelegten Prozessrollen sind Ausdruck der Ungleichheit der Parteien im Verwaltungsprozess. Außerdem ist die Beteiligung eines Dritten zur Verfolgung eigener Interessen Ausdruck des multipolaren Rechtsschutzverfahrens. Hinsichtlich der Verfahrensgrundsätze macht sich die Eigenart des Verwaltungsprozesses bemerkbar. Wegen der umfassenden Rechtsbindung der Verwaltung, ist die Verfügungsbefugnis der Behörde über den Streitgegenstand im verwaltungsgerichtlichen Verfahren erheblich eingeschränkter als im Zivilprozess. Außerdem stellt der Untersuchungsgrundsatz sicher, dass die Kontrolle der Verwaltung nicht durch eine Verfälschung der Tatsachengrundlage versagt. Dadurch gewährleistet der Untersuchungsgrundsatz die Kontrollfunktion und die Verfolgung des öffentlichen Interesses bei der jeweiligen Verwaltungsentscheidung.
Der Kompromiss zwischen dem justizstaatlichen Modell und dem Modell der Administrativjustiz spiegelt sich auch in der Form und Systematik der VwGO selbst wider. Die VwGO enthält einerseits eine Reihe von eigenständigen und abschließenden Regelungen und verfolgt den Anspruch einer vollständigen Kodifikation. Andererseits regelt die VwGO nicht das gesamte Gerichtsverfahren im Detail in eigenständigen Regelungen, vielmehr bedient sie sich eines differenzierten Systems der drei Arten von Verweisungen auf die ZPO. Spezialverweis ohne Voraussetzungen verweist auf bestimmte Regelungen der ZPO und stellt die Anwendbarkeit der in Bezug genommenen Regelungen außer Frage. Spezialverweis mit Abweichungsvorbehalt verweist auf beide ein relativ großes Normintervall (Beweisaufnahme und Vollstreckung) und stellt die Anwendung der konkret in Bezug genommenen ZPO-Regelungen unter die negative Voraussetzung, dass die VwGO keine Abweichungen enthält. Dagegen erlaubt der Generalverweis die Anwendung der ZPO nur, wenn eine Regelungslücke und die Vergleichbarkeit der zu regelnden Sachverhalte vorliegen.
Der koreanische Verwaltungsprozess ist im Hinblick auf die Struktur des Gerichtsverfahrens und das Prozessverhältnis eigenständiger als der deutsche Verwaltungsprozess, jedoch weniger eigenständig in Bezug auf den Klagegegenstand, die Klagearten und Verfahrensgrundsätze. Der Generalverweis in §8 Abs. 2 ist tatsächlich die einzige Verweisung in der K-VwPO, so dass es unvermeidlich ist, dass eine beträchtliche Anzahl von Regelungen der K-ZPO und K-ZVO hierdurch entsprechend anzuwenden sind. Es bedarf jedoch einer eingehenden Prüfung, ob eine planwidrige Unvollständigkeit und die Vergleichbarkeit der zu regelnden Sachverhalte vorliegen. Dabei kann die funktionale und prozessuale Eigenständigkeit der Verwaltungsgerichtsbarkeit das Beurteilungskriterium sein. Während im Regelungsbereich mit relativ schwacher Eigenständigkeit sich die Anwendbarkeit der K-ZPO-Regelung nach den üblichen Prüfungsmaßstab zu klären hat, ist sie im Regelungsbereich mit relativ starker Eigenständigkeit nach den strengen Prüfungsmaßstab zu klären.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연구의 목적 1
연구의 범위와 방법 8

제1장 독일 행정소송의 역사적 전개 13
제1절 행정소송의 성립 이전 15
1. 민사소송법의 생성 및 발전 15
2. 18세기까지의 행정구제 제도 21
제2절 19세기의 행정소송 24
1. 행정사법의 도입과 행정재판의 공백 24
가. 19세기 초 남독일의 행정사법 24
나. 외견적 입헌군주제와 행정재판의 공백 28
2. 행정재판권의 생성 및 전개 양상 32
가. 재판소 조직 및 재판관할 32
나. 소송법관계와 심리원칙 35
다. 민사소송법의 차용 내지 준용 40
제3절 바이마르공화국부터 독일연방공화국까지 42
1. 바이마르공화국과 나치 시대 42
2. 제2차 세계대전 이후 1950년대까지의 행정소송 45
가. 행정소송의 부활 45
나.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독일 행정소송의 특징 46
다. 준용규정 48
3. 연방행정법원법의 제정 50
제4절 소결 - 행정국가 모델과 사법국가 모델의 절충 52

제2장 독일 행정소송법의 민사소송법 준용체계 54
제1절 두 가지 모델이 절충된 소송법 54
제2절 독자성과 자족성 56
1. 행정법원법의 개요 56
2. 소송의 대상⋅유형과 구조 56
3. 소송절차 58
제3절 세분화된 준용체계 59
1. 행정법원법에서 준용규정이 갖는 기능 59
2. 행정법원법상 준용규정의 유형과 체계 61
가. 준용규정의 3유형 체계 61
나. 제1유형: 유보조건 없는 특별준용규정 62
다. 제2유형: 상충하는 규정이 유보된 특별준용규정 69
라. 제3유형: 일반준용규정 71
제4절 소결 - 행정소송의 독자성에 관한 고찰 필요성 76

제3장 독일 행정소송의 기능상 독자성 78
제1절 주관적 권리구제 기능 79
1. 독일 행정소송의 주관소송적 성격 79
가. 헌법상 법치국가 원리와 재판청구권 79
나. 포괄적⋅실효적 권리구제의 보장 82
2. 행정소송에서 주관적 권리구제 기능이 갖는 특수성 85
제2절 객관적 통제 기능 88
1. 행정에 대한 통제 기능 88
가. 주관적 권리구제 기능과 객관적 통제 기능의 관계 88
나. 객관적 통제 기능의 징표들 91
다. 행정에 대한 통제 기능의 한계 97
2. 행정입법에 대한 통제 기능 99
가. 의의와 종류 99
나. 행정법원법 제47조의 규범통제절차 102
다. 행정입법에 대한 그 밖의 사법적 통제 105
3. 법형성 기능 108
가. 법형성을 통한 객관적 통제 108
나. 행정소송에서 법형성이 갖는 특징 110
제3절 심판 기능과 분쟁조정 기능 113
1. 심판에 의한 분쟁해결의 강조 113
2. 행정소송에서 분쟁조정 기능의 한계 117
제4절 소결 120

제4장 독일 행정소송의 절차상 독자성 123
제1절 소송의 대상과 유형 124
1. 재판관할과 소송유형 124
가. 재판권과 관할 124
나. 소송유형 128
2. 행정행위의 특수성이 반영된 소송요건 132
가. 전심절차와 제소기간 132
나. 소송판결의 실질적 효과 135
3. 가구제 136
가. 소송의 대상에 따른 이원적 체계 136
나. 집행정지 138
다. 가명령 141
제2절 소송의 구조 144
1. 원고적격과 권리보호필요성 145
가. 원고적격 145
나. 권리보호필요성 147
2. 본안의 심사척도와 판단기준시 151
가. 본안의 심사척도 151
나. 본안판단 기준시 153
3. 판결의 효력 154
제3절 소송법관계 157
1. 법원조직 157
2. 소송관계인 160
가. 소송당사자의 지위와 소송상 역할 160
나. 관계인능력과 소송능력 162
다. 참가인과 공익대변인 164
제4절 심리원칙 168
1. 심리원칙 중심의 고찰 필요성 168
2. 처분권주의 170
가. 의의 170
나. 심판대상의 결정 171
다. 소의 취하⋅변경, 소송종료 진술 173
라. 소송상화해 175
3. 직권탐지주의 177
가. 법원의 사실조사의무 177
나. 소송관계인의 협력의무 181
다. 주장책임과 증명책임 184
4. 그 밖의 심리원칙 187
가. 직권진행주의 187
나. 구술심리주의 189
제5절 소결 190

제5장 민사소송법의 준용에 관한 개별적 검토 192
제1절 가구제 193
1. 가명령에 대한 민사소송법상 보전처분 규정의 준용 194
가. 준용의 범위 194
나. 준용대상 규정의 수정 필요성 197
2. 그 밖의 보전처분 규정의 준용 여부 202
가. 사정변경에 따른 보전처분 취소 규정의 준용 여부 202
나. 집행정지절차에서 손해배상 규정의 준용 여부 205
제2절 제3자의 소송참가 206
1. 보조참가와 소송고지 206
가. 개설 206
나. 규율의 공백 측면에서의 검토 207
다. 유사성 측면에서의 검토 209
2. 주참가와 채권자소송 210
제3절 변론주의의 내용과 보완장치 214
1. 재판상 자백과 자백간주 214
2. 당사자의 진실의무 217
3. 실질적 소송지휘 220
제4절 증거조사 222
1. 개설 222
가. 준용의 범위 222
나. 행정소송의 독자성으로 인한 공통 수정사항 225
2. 증거조사 총칙 227
가. 준용 여부에 다툼이 있는 규정 227
나. 준용할 때 수정이 필요한 규정 230
3. 검증 및 감정 233
가. 준용이 배제되는 규정 233
나. 준용할 때 수정이 필요한 규정 234
4. 증인신문 236
가. 선서 포기 및 증인신문 포기에 관한 규정 236
나. 비용예납을 조건으로 한 증인 출석요구 규정 237
5. 서증 238
가. 개설 238
나. 문서의 증거력과 진정성립에 관한 규정 239
다. 상대방⋅제3자가 소지한 문서 제출에 관한 규정 242
라. 서증의 증명방해에 관한 규정 244
제5절 화해 246
1. 소송상화해 246
가. 행정법원법상 소송상화해의 규율 체계 246
나. 민사소송법상 소송상화해 규정의 준용 여부 251
2. 그 밖의 민사소송법상 화해 관련 규정 252
제6절 소결 255

제6장 우리나라에의 시사점 258
제1절 우리 행정소송의 독자성에 관한 비교법적 고찰 258
1. 소송의 대상과 유형 259
가. 재판관할과 소송유형 259
나. 전심절차와 제소기간 264
다. 가구제 266
2. 소송의 구조 267
가. 원고적격과 권리보호필요성 267
나. 본안의 심사척도, 판단기준시 및 판결의 효력 269
3. 소송법관계 271
가. 법원조직 271
나. 소송관계인 272
4. 심리 273
가. 심리원칙과 심리절차 273
나. 화해 275
5. 소결 276
제2절 우리 행정소송에서 민사소송법의 준용 문제 278
1. 민사소송법의 준용 문제에 관한 2단계 심사기준 278
2. 엄격한 심사기준의 적용례 282
가. 소송참가 규정의 준용 문제 282
나. 심리원칙에 관한 규정의 준용 문제 286
다. 소송상화해 규정의 준용 문제 293
3. 통상의 심사기준의 적용례 296
가. 항고소송에서 민사가처분 규정의 준용 문제 296
나. 증거조사 규정의 준용 문제 298

제7장 요약 및 결어 300
제1절 요약 300
1. 독일 행정소송의 독자성과 민사소송법 준용체계 300
2. 우리 행정소송의 독자성과 민사소송법 준용기준 303
3. 행정소송법의 자족성 및 준용체계에 관한 제언 305
제2절 결어 306

참고문헌 308

Zusammenfassung 324
-
dc.format.extentxvi, 328-
dc.language.isokor-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행정소송-
dc.subject독자성-
dc.subject사법국가 모델-
dc.subject행정국가 모델-
dc.subject주관적 권리구제 기능-
dc.subject객관적 통제 기능-
dc.subject행정법원법-
dc.subject준용-
dc.subject알맞은 적용-
dc.subject규율의 공백-
dc.subject유사성-
dc.subject.ddc340-
dc.title독일 행정소송의 독자성에 관한 연구-
dc.title.alternativeEine Studie über die Eigenständigkeit des Verwaltungsprozesses im deutschen Recht-
dc.typeThesis-
dc.typeDissertation-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Kang, Jee Woong-
dc.contributor.department법과대학 법학과-
dc.description.degree박사-
dc.date.awarded2023-02-
dc.title.subtitle행정법원법의 자족성과 민사소송법 준용체계를 중심으로-
dc.contributor.major행정법전공-
dc.identifier.uciI804:11032-000000175043-
dc.identifier.holdings000000000049▲000000000056▲000000175043▲-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