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자금세탁방지의 법적 구조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Legal Structure of Anti-Money Laundering: Focusing on the Position under Financial Regulation Law and Structure of Liability
금융규제법상 지위와 책임구조를 중심으로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순섭-
dc.contributor.author이명신-
dc.date.accessioned2023-06-29T02:12:04Z-
dc.date.available2023-06-29T02:12:04Z-
dc.date.issued2023-
dc.identifier.other000000174032-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93666-
dc.identifier.uri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4032ko_KR
dc.description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법과대학 법학과, 2023. 2. 정순섭.-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금융규제법의 관점에서 자금세탁방지의 이론적 틀을 정립하는 것을 목적으로, 자금세탁의 개념과 자금세탁방지의 금융규제법상 지위 및 연혁 그리고 금융기관의 책임이론을 연구하였다.
자금세탁방지는 금융기관에 자금세탁방지의무를 부과하는 예방적 규제와 범죄 적발 및 범죄수익 환수라는 집행적 규제의 2가지 축으로 구성된다. 자금세탁이 범죄수익을 합법적인 것으로 가장할 최적의 수단인 금융시스템과 결부됨에 따라 자금세탁방지는 금융기관의 규제를 핵심으로 하고 있다. 그런데 규제법의 영역에 카지노와 가상자산 등 이질적 요소가 들어와 있고, 그 규제의 내용은 자금세탁을 시도하는 고객의 진입을 막고 고객의 혐의를 당국에 보고하는 것이어서, 고객 보호와 금융시스템의 안정성을 도모하는 본연의 금융규제와는 상이한 측면이 있다. 이는 자금세탁의 개념과 자금세탁방지의 법적 성격에 대한 의문을 야기한다.
미국 자금세탁통제법상 자금세탁 정의는 금융거래와의 관계를 명확히 제시하고 있는데, 이를 참고한다면 자금세탁은 범죄수익의 은닉·가장을 위해 금융기관을 이용하는 거래(협의), 가치의 이전을 수반하는 거래(광의) 및 그 밖에 자금을 이동하는 일체의 행위(최광의)로 정의할 수 있다.
자금세탁방지의 금융규제법상 지위와 관련해서는 해외에서 자금세탁방지는 범죄 진압을 위한 것으로 금융규제와는 무관하다는 견해(비금융규제설), 금융시스템의 건전성을 위한 규제라는 견해(금융규제설), 범죄 방지를 위한 것이기는 하나 건전성 규제의 성격도 있다는 견해(절충설)가 대립하고 있다. 자금세탁방지의 주된 목적이 범죄 방지에 있음은 부정할 수 없으며, 이를 금융규제로만 파악하면 금융시스템 외부 영역에 대한 규제를 설명할 수 없는 반면, 불법자금의 금융시스템 진입은 금융정책의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쳐 건전성 리스크로 연결될 수 있다는 점에서 절충설이 타당하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따라서 금융기관에 대한 규제는 범죄 예방 뿐 아니라 건전성 규제의 관점에서 정당성을 가진다.
자금세탁은 금융시스템 구축 이후 본격화되었고 이때부터 자금세탁을 방지하기 위한 규제도 시작되었다. 금융기관 규제가 강화되자 자금세탁은 비금융사업자와 전문직 등 금융시스템 외의 영역으로 확대되었다. 금융기관 임직원들이 자금세탁에 적극 가담한 BCCI 사건과 Bank of New York 사건 등은 금융기관이 수익 창출을 위해 범죄세력과 결탁하여 왔다는 사실을 극명하게 보여주었고, 금융기관이 붕괴된 Sindona 사건과 BCCI 사건은 자금세탁이 건전성 리스크를 수반한다는 점을 증명하였다.
미국의 자금세탁방지는 범죄 대응책으로 출발한 반면 유럽의 경우는 금융시스템 보호를 위한 것으로서 그 접근법이 달랐다. 이는 각각 자금세탁방지 제도의 성격 일면을 반영하는 것으로, 자금세탁의 역사와 더불어 금융규제법상 지위에 관한 절충설이 타당하다는 것을 뒷받침한다.
금융기관은 규제의 강화로 인해 다양한 책임의 부담을 안게 되었다. 의심거래보고와 거래 단절은 고객에 대한 책임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특히 Shar 판결에서 의심거래보고 면책을 위한 정당성 근거 제시를 요구하고, Ricci 판결이 거래 단절에 따른 금융기관의 책임을 인정함에 따라 금융기관은 고객에 대한 민사책임과 자금세탁의 형사책임 사이에서 딜레마에 빠지게 되었다. 따라서 고객에 대한 책임의 성립 요건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자금세탁방지의무의 불이행은 형사책임과 행정책임은 물론 범죄피해자에 대한 불법행위책임으로 이어질 수 있고, 제재로 인해 금융기관이 손해를 입는다면 이사의 책임도 인정될 수 있다.
자금세탁방지는 범죄 방지와 금융시스템의 건전성 보호를 위한 것이므로 금융시스템 외의 영역에 대한 규제와 금융기관 규제의 강화는 정당하며 지속되어야 한다. 다만, 금융기관의 딜레마 해소를 위해 의심거래보고에 대한 절대적 면책 및 영국의 거래동의 제도를 도입할 필요가 있고, 금융기관의 자금세탁 가담 근절을 위한 퇴출규제도 검토되어야 한다.
-
dc.description.abstractThis dissertation studied the concept of money laundering, the position of anti-money laundering law under the financial regulation law, the history of anti-money laundering, and the theory of financial institutions' liability, with the aim of establishing a theoretical framework for anti-money laundering from the perspective of the financial regulation law.
Anti-money laundering consists of two pillars: preventive regulations imposing anti-money laundering duties on financial institutions, and enforcement including detection of crimes and forfeiture of criminal proceeds. As money laundering is linked to the financial system, which is referred to as the best means to disguise criminal proceeds as legitimate, anti-money laundering mainly focuses the regulation of financial institutions. However, as disparate elements such as casinos and virtual asset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regulatory law, and the law requires financial institutions to prevent customers who tries to launder money from entering the financial system as well as report suspicious activities of the customers to the authorities, anti-money laundering regulation is different from the original financial regulations aiming at protecting customers and ensuring the stability of the financial system, which leads to raising doubts about the concept of money laundering and the legal nature of anti-money laundering.
With reference to the U.S. Money Laundering Control Act which clarifies the relationship between financial transactions and money laundering, the concept of money laundering can be defined as transactions utilizing financial institutions (narrow one), transactions involving transfers of value (broader one), and all other acts of transferring funds (broadest one).
With respect to the position of anti-money laundering under the financial regulation law, there are conflicting views overseas: (i) theory of non-financial regulation the purpose of which is to suppress crimes; (ii) theory of regulation for the soundness of the financial system; and (iii) theory of compromise that the regulation aims at preventing crimes but also includes prudential regulation. As the main purpose of anti-money laundering is to prevent crimes, if it is understood only as financial regulations, it is impossible to explain regulations on areas outside the financial system. Moreover, the entry of illegal funds into the financial system may affect the decision-making of financial policies and lead to soundness risks. In this regard, the theory of compromise is reasonable. Therefore, regulations on financial institutions can be justified from the perspective of prudential regulation as well as prevention of crimes.
Money laundering began in earnest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financial system, and at that time anti-money laundering started. As regulations on financial institutions were tightened, money laundering expanded to areas outside the financial system, such as non-financial businesses and professionals. The BCCI case and the Bank of New York case, in which officers of financial institutions were actively involved in money laundering, cleary demonstrated that financial institutions had been in collusion with criminal forces to generate profits, while the Sindona case and the BCCI case, in which financial institutions collapsed, proved that money laundering entailed soundness risks.
While the U.S. anti-money laundering system began as a crime countermeasure, Europe's starting point was a different approach to protecting the financial system. This reflects the nature of anti-money laundering system respectively, which supports the reasonableness of the theory of compromise on the position under the financial regulation law, along with the history of money laundering.
Financial institutions are burdened with various liability due to tightened regulations. Suspicious transaction reports and trade breaks can lead to liability issues for customers. In particular, as the court in Shar case demanded justifiable grounds for exemption from suspicious transaction reporting, and the court in Ricci case acknowledged financial institution's liability for the cut-off of transactions, financial institutions fell into a dilemma between civil liability to customers and criminal liability for money laundering. In this respect, the requirements for establishing liability to customers should be interpreted in a limited manner. If financial institutions fail to discharge their anti-money laundering duties, it can lead to criminal and administrative sanctions as well as tort liability against crime victims, and if financial institutions suffer damage due to the sanctions, directors' liability for the institutions can also be recognized.
Since anti-money laundering is aimed at preventing crimes and protecting the soundness of the financial system, regulations on areas other than the financial system and the tightening of regulations on financial institutions should be justified and sustained. However, in order to resolve the dilemma of financial institutions,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an absolute exemption from suspicious transaction reporting and a UK transaction consent system, and an exit regulation to eradicate money laundering by financial institutions should be introduced.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 목적 1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구성 4
Ⅰ. 연구의 범위 및 방법 4
Ⅱ. 연구의 내용 및 구성 6
제2장 자금세탁방지의 법적 지위와 이론적 근거 7
제1절 자금세탁방지의 구조 7
Ⅰ. 자금세탁방지 제도의 체계 7
1. 국제적 기준 7
2. 규제의 구조 14
가. 예방적 규제와 집행적 규제 14
나. 각국의 자금세탁방지법 구조 15
(1) 미국 15
(2) 영국 17
(3) 일본 18
(4) 우리나라 20
Ⅱ. 예방적 규제 21
1. 규제 대상 21
가. 미국 21
나. 영국 24
다. 일본 26
라. 우리나라 27
2. 자금세탁방지의무의 검토 29
가. 고객확인 29
(1) 개요 29
(2) 영국의 거래동의 제도 31
(3) 일본의 폭력단 배제 제도 32
나. 거래보고 33
(1) 개요 33
(2) 보고의무와 관련된 쟁점 36
(3) 면책 제도 38
다. 내부통제 40
3. 의무 위반에 대한 제재 41
Ⅲ. 집행적 규제 42
1. 자금세탁의 범죄화 42
2. 범죄수익의 몰수 44
제2절 자금세탁의 개념에 관한 이론적 검토 45
Ⅰ. 개념 검토의 필요성 45
1. 자금세탁의 본질 45
2. 자금세탁과 금융거래의 관계 47
Ⅱ. 비교법적 검토 및 시사점 49
1. 미국 49
가. 용어의 기원 49
나. 법률상 정의 51
(1) 자금세탁통제법의 규정 51
(2) 자금세탁의 구성요소 54
(가) 거래형 자금세탁(Transaction ML) 56
(나) 운송형 자금세탁(Transportation ML) 58
다. 자금세탁의 정의에 관한 이론적 논의 58
(1) 거래형 자금세탁에서의 '금융거래'의 해석 58
(2) 운송형 자금세탁에서의 '운송 등'의 해석 60
(3) '화폐수단' 및 '자금'의 해석 61
라. 연방법원 판례 62
(1) 금융거래성의 존부 63
(가) U.S. v. Blackman 63
(나) U.S. v. Gotti 65
(다) U.S. v. Paramo 66
(라) U.S. v. Jackson 68
(마) U.S. v. Manarite 70
(바) U.S. v. Puig-Infante 71
(2) 자금의 개념 73
(가) U.S. v. Ulbricht 74
(나) U.S. v. E-Gold, Ltd 75
(다) U.S. v. Budovsky 76
2. 영국 77
가. 법률상 정의 77
(1) 범죄수익법 제340조 제11항 78
(2) 범죄재산의 개념 79
나. 자금세탁의 정의에 관한 이론적 논의 80
다. 관련 판례 82
(1) R. v. Fazal 82
(2) R. v K (I) 84
(3) Bowman v Fels 85
(4) R. v Griffiths (Philip) 87
3. 일본 88
가. 법률상 정의 88
나. 관련 판례 89
(1) 埼玉地裁 2008. 2. 14. 平成19(わ)1334 90
(2) 福岡地裁 2021. 6. 2. 令和1(わ)1181 90
(3) 最高裁 2008. 11. 4. 平成20(あ)865 91
4. 정리 및 시사점 92
Ⅲ. 국내법상 자금세탁의 정의와 문제점 95
1. 법률상 정의 95
가. 자금세탁의 정의 95
나. 금융거래 등의 정의 97
2. 자금세탁의 정의에 관한 이론적 논의 99
가. 금융적 측면에서 접근하는 견해 100
나. 포괄적으로 정의하는 견해 101
다. 비판적 검토 101
3. 관련 판례 102
가. 수표를 현금으로 교환한 행위 102
나. 차명계좌에 범죄수익을 입금하여 보관한 행위 102
다. 송금받은 범죄수익을 투자금 보전에 사용한 행위 103
라. 수표 인출 후 현금화 또는 수표 재발행 104
4. 자금세탁의 정의와 관련된 문제점 104
제3절 자금세탁방지의 금융규제법상 지위 105
Ⅰ. 논의의 필요성 106
Ⅱ. 금융규제 106
1. 금융규제의 목적과 수단 106
2. 자금세탁방지 규제와 관련된 문제 108
가. 금융규제 목적 관련 108
나. 금융규제 수단 관련 109
Ⅲ. 해외에서의 논의 및 시사점 110
1. 개요 110
2. 자금세탁방지의 법적 성격에 관한 견해 111
가. 비금융규제설 111
(1) 범죄 진압을 위한 별도의 규제라는 견해 111
(2) 자금세탁방지의 정당성 근거를 비판하는 견해 113
(3) 규제의 완화나 폐지를 주장하는 견해 114
나. 금융규제설 115
(1) 금융규제의 목적으로 접근하는 견해 115
(2) 금융시스템 건전성을 위한 규제라는 견해 116
다. 절충설 117
3. 검토 118
가. 논의의 정리 119
나. 절충설의 타당성 119
다. 자금세탁방지 규제의 정당성 120
Ⅳ. 국내법상 자금세탁방지의 지위 121
1. 규제법 체계 121
2. 검토 122
3. 건전성 규제로서의 자금세탁방지 강화 필요성 123
제3장 자금세탁방지의 연혁과 발전 과정 126
제1절 개요 126
제2절 자금세탁의 역사 127
Ⅰ. 자금세탁의 기원 127
Ⅱ. 자금세탁과 관련된 역사적 사건 129
1. Al Capone 사건 129
가. 사건의 개요 129
나. 관련 판결 130
다. 사건의 의의 131
2. 워터게이트 사건 131
가. 사건의 개요 131
나. 자금세탁과 관련된 사실관계 133
다. 사건의 의의 134
3. U.S. v. $4,255,625.39 135
가. 판결 내용 135
(1) 사실관계 135
(2) 연방법원의 판단 137
나. 사건의 의의 138
4. Sindona 사건 138
가. 사건의 개요 139
나. 관련 판결 139
(1) 사실관계 139
(2) 연방법원의 판단 142
다. 사건의 의의 142
5. BCCI 사건 143
가. 사건의 개요 143
나. 관련 판결 145
(1) 사실관계 146
(2) 연방법원의 판단 149
다. 사건의 의의 149
제3절 자금세탁 기법의 변천 과정 151
Ⅰ. 자금세탁 기법의 분류 152
1. 자금세탁의 3단계 152
가. 배치(placement) 153
나. 전개(layering) 154
다. 통합(integration) 154
2. 자금세탁 기법의 유형별 분류 155
Ⅱ. 자금세탁의 구체적 기법 및 사례 156
1. 현금거래조작 156
가. 자금세탁 방식 157
나. 사례 158
(1) U.S. v. Thompson 158
(2) U.S. v. Farese 159
(3) U.S. v. $134,972.34 Seized from FNB Bank 160
2. 현금밀수 163
가. 자금세탁 방식 163
나. 사례 164
(1) U.S. v. Golb 164
(2) U.S. v. Castaneda-Cantu 165
(3) FATF 제시 사례 166
3. 사업체 활용 167
가. 자금세탁 방식 167
나. 사례 168
(1) U.S. v. Majors 168
(2) U.S. v. Saccoccia 169
(3) Boston Boys 사건 171
(4) FATF 제시 사례 173
(가) 명목상 회사 이용(White Whale 사건) 173
(나) 신탁회사 이용 174
4. 국제적 상업거래 활용 175
가. 자금세탁 방식 175
나. 사례 177
(1) U.S. v. Ahmad 177
(2) Fares v. Smith 178
(3) FATF 제시 사례 180
5. 금융기관 활용 182
가. 자금세탁 방식 182
나. 사례 184
(1) U.S. v. Alaniz 184
(2) Koop Fraud 사건 185
(3) Pizza Connection 사건 186
(4) Bank of New York 사건 189
(5) FATF 제시 사례 191
6. 환전송금업자 활용 192
가. 자금세탁 방식 192
나. 사례 193
(1) U.S. v. Breque 193
(2) U.S. v. Rivas-Estrada 194
(3) FATF 제시 사례 196
7. 비공식 송금시스템 이용 197
가. 자금세탁 방식 197
나. 사례 198
(1) U.S. v. Singh 198
(2) Rep. of Columbia v. Diageo North America Inc. 199
(3) FATF 제시 사례 201
8. 금융자산 거래 201
가. 자금세탁 방식 201
나. 사례 204
(1) U.S. v. Martin 204
(2) U.S. v. Jarrett 205
(3) U.S. v. Prevezon Holdings LTD. 206
(4) U.S. v. Zvi 207
(5) FATF 제시 사례 207
9. 비금융자산 거래 208
가. 자금세탁 방식 208
나. 사례 210
(1) U.S. v. Delgado 210
(2) U.S. v. Nelson 211
(3) U.S. v. Seher 213
(4) Magharian 사건 214
(5) FATF 제시 사례 215
10. 도박장 활용 216
가. 자금세탁 방식 216
나. 사례 217
(1) Bangladesh Bank v. Rizal Com. Banking Corp. 218
(2) U.S. v. Cessa 219
(3) U.S. v. Browen 219
(4) FATF 제시 사례 220
11. 전문직 활용 221
가. 자금세탁 방식 221
나. 사례 222
(1) U.S. v. Podlucky 222
(2) U.S. v. Foster 224
(3) U.S. v. Nolan-Cooper 225
(4) FATF 제시 사례 227
12. 온라인 상거래 및 지급결제시스템 이용 228
가. 자금세탁 방식 228
나. 사례 229
(1) U.S. v. Bansal 229
(2) U.S. v. Rubin 230
(3) FATF 제시 사례 231
13. 가상자산 거래 231
가. 자금세탁 방식 231
나. 사례 233
(1) U.S. v. Iossifov 233
(2) U.S. v. Harmon 235
(3) U.S. v. Costanzo 236
(4) FATF 제시 사례 237
Ⅲ. 자금세탁 기법의 변화가 가지는 함의 237
제4절 자금세탁방지의 발전 과정 240
Ⅰ. 개요 240
Ⅱ. 국제적 대응의 전개 및 변화 242
1. 국제협약 등 242
가. 비엔나 협약 242
나. 바젤위원회 선언 243
다. 금융 관련 국제기구의 후속 조치 245
2. FATF 설립 및 국제기준 정립 246
가. FATF 설립과 권고사항 제정 246
나. 권고사항 1차 개정 248
다. 권고사항 2차 개정 248
라. 권고사항 3차 개정 250
Ⅲ. 외국 자금세탁방지 제도의 변천 251
1. 미국 251
가. 은행비밀법(BSA) 251
(1) 입법 배경 및 목적 252
(2) 법률 내용 253
(3) 보완 입법 253
나. 자금세탁통제법(MLCA) 255
다. Annunzio-Wylie 법 257
라. USA PATRIOT 법 260
마. 2020년 자금세탁방지법 261
2. EU 264
가. 자금세탁방지지침(AMLD) 제정 이전 상황 264
나. 1차 AMLD 266
다. 2차 AMLD 269
라. 3차 AMLD 269
마. 4차 AMLD 270
바. 5차 AMLD 271
3. 영국 272
가. 마약거래범죄법(DTA) 272
나. 형사사법법(CJA) 273
다. 자금세탁규정(MLR) 274
라. 범죄수익법(POCA) 276
4. 일본 278
가. 마약특례법 278
나. 조직적범죄처벌법 279
다. 본인확인법 280
라. 범죄수익이전방지법 281
Ⅳ. 국내 자금세탁방지 제도의 연혁 283
1. 입법 경과 283
2. 예방적 규제 입법의 변천 과정 285
가. 2001. 9. 27. 특정금융정보법 제정 285
나. 2005. 1. 17. 특정금융정보법 개정 286
다. 2007. 12. 21. 특정금융정보법 개정 286
라. 2012. 3. 21. 특정금융정보법 개정 287
마. 2013. 8. 13. 특정금융정보법 개정 287
바. 2014. 5. 28. 특정금융정보법 개정 288
사. 2019. 1. 15. 특정금융정보법 개정 288
아. 2020. 3. 24. 특정금융정보법 개정 289
자. 2021. 12. 28. 특정금융정보법 개정 289
제5절 소결 291
Ⅰ. 자금세탁방지의 역사와 지위 291
Ⅱ. 자금세탁 기법의 변천이 미친 영향 293
제4장 자금세탁방지와 관련된 금융기관의 책임 298
제1절 개요 298
Ⅰ. 책임의 소재 298
Ⅱ. 책임의 구조 299
제2절 민사책임 301
Ⅰ. 고객에 대한 책임 301
1. 의심거래보고를 이행한 경우 301
가. 미국 301
(1) 금융거래정보 제공과 관련된 책임의 근거 및 면책 301
(2) 면책이 인정된 사례 304
(가) Stoutt v. Banco Popular de Puerto Rico 304
(나) Lee v. Bankers Trust Co. 305
(다) Sow v. U.S. 307
(3) 면책이 부정된 사례 308
(가) Lopez v. First Union Nat. Bank of Florida 308
(나) Nevin v. Citibank 310
(4) 민사소송에서 의심거래보고 자료의 공개 가부 311
나. 영국 312
(1) 영국 법원의 기본 입장 312
(2) Shar v HSBC Private Bank (UK) Ltd 313
(3) Lonsdale v National Westminster Bank Plc 315
다. 시사점 및 우리 법제에서의 검토 316
(1) 미국영국 및 우리 법제의 특징 316
(2) 면책 요건의 해석 317
2. 금융거래를 단절한 경우 319
가. 미국 319
(1) Ricci v. Key Bancshares of Maine, Inc. 319
(2) Ricci 판결로 인한 딜레마 320
나. 영국 320
다. 시사점 및 우리 법제에서의 검토 321
(1) 거래 단절에 따른 책임 일반론 321
(2) 자금세탁방지의무 이행과 관련된 책임의 기준 323
(3) 가상자산사업자 고객과 관련된 문제 325
Ⅱ. 범죄피해자에 대한 책임 326
1. 책임의 이론적 근거 326
가. 개요 327
나. 선결문제 328
다. 불법행위책임 329
(1) 불법행위의 성립 근거 329
(2) negligence per se 330
(3) 부작위에 의한 불법행위 331
(4) 공동불법행위 332
라. 회사법상 이사의 손해배상책임 335
2. 미국 판례의 검토 337
가. 책임이 부정된 사례 337
(1) Mansor v. JPMorgan Chase Bank, N.A. 337
(2) Taylor & Co. v. Bank of America Corp. 338
(3) El Camino Resources v. Huntington Nat. Bank 338
(4) de Abreu v. Bank of America Corp. 339
(5) In re Bayou Hedge Fund Investment Litigation 339
(6) Rosner v. Bank of China 340
(7) Casey v. U.S. Bank Nat. Assn. 341
나. 책임이 인정된 사례 341
(1) Evans v. ZB, N.A. 341
(2) Gonzales v. Lloyds TSB Bank, PLC 342
3. 시사점 및 우리 법제에서의 검토 342
Ⅲ. 회사에 대한 책임 345
1. 책임의 근거 345
2. 미국 연방법원 판례 345
가. City of Cambridge Retirement System v. Ersek 345
나. Nahl v. Jaoude 346
3. 시사점 및 우리 법제에서의 검토 348
제3절 형사책임 349
Ⅰ. 현행법상 처벌규정 349
Ⅱ. 자금세탁범죄의 공범책임 350
1. 책임의 근거 350
2. 자금세탁방지의무 위반에 따른 방조죄 성립 여부 351
Ⅲ. 그 외 쟁점별 검토 352
1. 범죄수익수수죄 352
2. 허위거래보고죄 354
3. 금융기관 수수자금의 몰수추징 가능성 357
제4절 행정책임 358
Ⅰ. 책임의 근거 및 유형 358
Ⅱ. 제재 사례 359
1. 외국의 경우 359
2. 국내 제재 사례 362
Ⅲ. 쟁점별 검토 362
1. 내부통제기준의 법규성 363
가. 개요 363
나. 관련 판결 363
(1) 우리은행 사건 363
(2) 하나은행 사건 365
다. 검토 366
2. 과태료 부과기준 367
3. 인가 취소의 가능성 369
제5절 금융기관의 책임통제를 위한 개선방안 370
Ⅰ. 의심거래보고 면책범위 확장 370
Ⅱ. 거래동의 제도 도입 373
Ⅲ. 퇴출규제의 도입 375
Ⅳ. 레그테크(RegTech)의 활용 376
제5장 결론 379
참고문헌 381
Abstract 407
-
dc.format.extentxv, 410-
dc.language.isokor-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자금세탁-
dc.subject자금세탁방지-
dc.subject자금세탁 기법-
dc.subject금융거래-
dc.subject금융규제법-
dc.subject금융기관 책임-
dc.subject.ddc340-
dc.title자금세탁방지의 법적 구조에 관한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the Legal Structure of Anti-Money Laundering: Focusing on the Position under Financial Regulation Law and Structure of Liability-
dc.typeThesis-
dc.typeDissertation-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Lee Myung Shin-
dc.contributor.department법과대학 법학과-
dc.description.degree박사-
dc.date.awarded2023-02-
dc.title.subtitle금융규제법상 지위와 책임구조를 중심으로-
dc.contributor.major금융규제법-
dc.identifier.uciI804:11032-000000174032-
dc.identifier.holdings000000000049▲000000000056▲000000174032▲-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