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지급수단의 법적 측면에 대한 연구 : Study on the Legal Aspects of Payment Instruments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순섭-
dc.contributor.author조동관-
dc.date.accessioned2023-06-29T02:12:19Z-
dc.date.available2023-06-29T02:12:19Z-
dc.date.issued2023-
dc.identifier.other000000175603-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93672-
dc.identifier.uri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5603ko_KR
dc.description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법과대학 법학과, 2023. 2. 정순섭.-
dc.description.abstractA study on the legal aspects of payment instruments began by discovering the legal problem of user protection in various phenomena arising from changes in payment instruments due to technological development. The first legal issue recognized was the cash payment option right. As time goes on, the places where you can use cash start to decrease, and now you can easily find situations where people refuse to use cash. If a user who has only cash and does not have a car visits a hospital when he or she is sick and is denied the use of public transportation for using cash, he or she can face a very embarrassing and hopeless situation. From my point of view, that case did not seem to be a desirable phenomenon, and I came to think of the need to review what kind of legal problems there are.
The cause of the problem of cash payment options right in the Republic of Korea, which has already entered a low-cash society, is that the use of credit cards and prepaid electronic payment instruments has rapidly increased as new payment instruments called 'simple payment' and 'simple remittance' have been used. The COVID-19 infectious disease pandemic that occurred in early 2020 had a social impact in many ways, but in particular, the government provided a large number of disaster subsidies supported through local governments in so-called 'local currency', supporting simple payment and simple remittance. It also dramatically increased the number of uses of local currency.
Simple payment is an electronic conversion of credit card payment information, and credit card companies issuing credit cards are subject to significant financial regulations, so it was difficult to see that there was a user protection problem. However, it was found that simple remittance deviated from the original purpose of prepaid electronic payment and included various problems in user protection. In particular, there was a serious legal problem with the protection of the user's deposit, which is the prepayment that the user has to pay to the electronic financial company to use the prepaid electronic payment means. In case credit risk occurred to the electronic financial business, there was no legal way for users to check their user deposits in the electronic financial business's bank account. The same problem also occurred when a user made a mistake using prepaid electronic payment instruments. Moreover, when an electronic financial company self-clearing transactions of prepaid electronic payment instruments between users, this problem is further aggravated. New problems that could not be found in transfers between bank accounts using the Internet were emerging, and it was soon found that they were related to the payment system. This is because the confirmation of legal rights to user deposits differs depending on the case where the payment system is involved and the case where it is not.
If so, can it be solved by making it mandatory for prepaid electronic payment transactions to go through the payment system for the protection of users? Looking at the payment system from this point of view, there was a problem with the current payment system itself. As the KFTC, the only small-amount clearing institution in the payment system carried out clearing without legal grounds for clearing, the legal effect of clearing was in an unstable state. There was a possibility that the legal effect of the clearing achieved through payment transactions between users have already been terminated by electronic prepaid payment means, but the KFTC's clearing effect does not take place, so if a situation arises where the user cannot convert the amount corresponding to the prepaid electronic payment instruments to legal currency, as a user, it would suffer economic damage as much as the insufficient amount, and it seemed that legal supplementation was necessary in some way.
The discovery of these problems served as an opportunity to reexamine central bank digital currency and virtual assets, for which many research results have been published recently, from the perspective of user protection. However, since various types of central bank digital currency and virtual assets have not yet been legally introduced as means of payment instruments, and various types are being discussed, it was necessary to precede the work of reviewing types that could be introduced as payment instruments compared to the current legislation. Based on the review results by type, we examined whether there are any problems with user protection when central bank digital currency and virtual assets were introduced as payment instrum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rehensively identify the legal challenges resulting from changes in payment instruments due to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to suggest improvement measures centering on the protection of users. To this end, in this study, payment instruments were divided into 'government-led payment instruments' issued by the government and operated by the government, and 'market-led payment instruments' used in the market.
Through this study, the conclusion to the question of how the financial regulatory laws related to payment instruments should be changed in order to protect users from various phenomena caused by changes in payment instruments is as follows.
With respect to changes in the government-led payment method, legal improvements to protect users were sought, focusing on securing cash payment options, maintaining the principle of minimum intervention, and protecting personal information and privacy.
First, it is necessary to revise the 「Bank of Korea Act」 to secure the option of cash payment in terms of financial inclusion in a low-cash society. It is interpreted that the compulsory circulation of legal currency stipulated in Article 48 of the same Act can be excluded by agreement of the parties, so it is difficult to secure the option of cash payment only with that provision.
Second, in order to introduce CBDC, a new regulation must be established in the 「Bank of Korea Act」, and in order to maintain the principle of minimum intervention implicit in Article 79 of the same law and to protect the privacy of private life, brokerage-token-type-distributed ledger for micropayments considering that it is appropriate to issue in a form, and considering that it is a government-led payment method, non-financial companies among participating institutions that will be entrusted with CBDC business must be given a real-name verification duty or an external clearing duty.
Third, under the current law, it is appropriate to leave local love gift certificates only in the form of securities and prepaid electronic payment instruments, and block the issuance of prepaid cards in accordance with Article 2, Subparagraph 8 of the 「Specialized Credit Financial Business Act」. In addition, local currency should be deleted from the definition of Article 2, Subparagraph 1 of the Local Love Gift Certificate Act.
Next, with respect to changes in market-driven payment instruments, a comprehensive review was conducted focusing on the principle of first performance and later dispute and the principle of equal function, equal risk, and equal regulation for electronic payment instruments, payment business, payer, and payment system. Regarding the means of payment of virtual assets and the metaverse platform, legal improvement measures for user protection were sought in consideration of the legal concept of money under financial regulation laws.
First, in order to cover the payment business of non-financial companies separately from the exchange business of banks, unification of electronic payment instruments centered on the movement of funds, definition of user accounts, new management of user entrusted funds, participation of non-financial companies in the payment system,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legal basis for clearing and clearing institutions and supervisory institutions in the payment system. It is appropriate for the Financial Services Commission to take charge of this.
Second, in order to confirm users' rights and protect deposits in case of credit risk of non-financial companies engaged in payment business, large-scale non-financial companies are obliged to participate in the payment system and external clearing, and for small non-financial companies, depending on the user's choice, it is appropriate to use an external clearing institution of KFTC. In addition, a legal basis is needed to ensure the legal effect of the clearing of the clearing institution.
Third, in the case of virtual assets, it is appropriate to classify them according to the type, and avoid non-collateralized virtual assets as they can lead to instability of the financial system if they are accepted as payment instruments under the financial regulation laws. However, there is a possibility that decentralized and non-collateralized virtual assets can be accepted as a means of payment under the financial regulation laws. Next, there are various types of collateral-type virtual assets, but on the premise that the electronic financial regulation laws of the 「Electronic Financial Transactions Act」 are unified centering on the function of transferring funds, legal tender-type stablecoins may be accepted among the electronic financial regulation laws.
keywords : Payment Instruments, CBDC, Virtual Asset, Electronic Financial Transactions Act, Metaverse Platform, Payment System
-
dc.description.abstract이 연구의 목적은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지급수단의 변화에 따른 법적 과제를 통합적으로 확인하고, 이용자의 보호를 중심으로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지급수단을 정부가 발행하고 운영의 주체가 되는 정부 주도형 지급수단과 그 외에 시장에서 활용되는 시장주도형 지급수단으로 구분 하여 논의하였다. 정부주도형 지급수단으로 법정화폐와 중앙은행디지털화폐를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법정화폐는 강제통용력의 법적 성질과 함께 금융포용성을 위하여 현금결제선택권의 보장을 논의하였다. 중앙은행디지털화폐는 도입 방식을 분류하고, 「한국은 행법」 제79조에 내재되어 있는 최소개입의 원칙에 따라 중개형-토큰형-분산원장형 방식을 제안하였으며, 중앙은행디지털화폐의 지급결제시스템상 참가기관에 실지명의 확인과 외부청산 의무에 대해 논의하였다. 시장주도형 지급수단으로는 선불전자지급수단과 가상자산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지급수단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이용자예탁금 보호와 권리 확인을 위하여, 선불전자지급수단을 중심으로 지급수단과 지급결제시스템의 법적 관계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지적하고, 그 대안으로 금융결제원과 같은 청산기관을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나아가 청산기관의 독립성과 감독권, 청산과정에서 다자간 상계의 효력에 관한 지급결제시스템의 법적 공백상태를 지적한 후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가상자산에 대해서는 담보 여부를 기준으로 비담보형 가상자산과 담보형 가상자산으로 나누고, 비담보형 가상자산을 다시 비트코인형・이더리움형 가상자산으로 구분하고, 담보형 가상자산을 법정화폐형・가상자산형・알고리즘형 스테이블코인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구조를 조합・현상광고 등의 전형계약과 알고리즘계약・스마트계약 등의 비전형계약을 활용하여 분석을 시도한 후, 현행 법제와 비교를 통해 수용가능성을 타진하였고, 법정화폐형 스테이블코인이 선불전자지급수단과 유사한 구조임을 제시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의 배경 1
제2절 연구의 목적과 범위 4
1. 연구의 목적 4
2. 연구의 범위 4
가. 법정화폐와 전자적 형태의 지급수단으로 한정 4
나. 지급결제시스템과 청산기관 5
다. 금융규제법 중심의 연구 5
제3절 연구의 방법과 구성 6
1. 연구의 방법 6
2. 연구의 구성 6
제4절 선행 연구 7
제2장 지급수단의 개념과 이용자의 보호 8
제1절 서언 8
제2절 지급수단의 정의 8
1. 서언 8
2. 문헌상 개념 8
3. 법률의 규정상 개념 9
가. 외국환거래법 9
나. 전자금융거래법 10
다. 특정 금융거래정보의 보고 및 이용 등에 관한 법률 10
라. 지급결제제도 운영관리규정 10
4. 지급수단에 대한 정의와 필자의 관점 11
제3절 다른 용어와의 구분과 개념 12
1. 서언 12
2. 예금계좌와 계좌이체 12
3. 접근매체 13
가. 접근매체의 의의 13
나. 접근매체의 변화 13
4. 전자지갑 14
가. 전자지갑의 의의 14
나. 전자지갑의 유형 15
1) 중앙은행디지털화폐용 전자지갑 15
2) 가상자산용 전자지갑 15
5. 간편결제간편송금 16
가. 간편결제 16
나. 간편송금 17
6. 지급결제제도와 지급결제시스템 17
제4절 금융규제법상 이용자의 보호 18
1. 서언 18
2. 이용자의 보호 18
가. 금융규제의 가장 중요한 목적 18
나. 이용자의 보호를 통일된 기준으로 선정한 이유 19
3. 이용자 보호의 세부적 기준 21
가. 서언 21
나. 선이행후분쟁의 원칙 22
다. 최소개입의 원칙 22
라. 동일기능동일위험동일규제의 원칙 23
제5절 정부주도형 지급수단과 시장주도형 지급수단의 구분 24
1. 구분의 필요성 24
2. 이용자의 보호를 기준으로 구분 24
3. 정부주도형 지급수단과 시장주도형 지급수단 25
제3장 정부주도형 지급수단의 법적 과제와 개선 방안 27
제1절 서언 27
제2절 법정화폐 28
1. 현상과 법적 과제 28
가. 현상: 저현금 사회 28
나. 법적 과제: 법정화폐의 강제통용력과 현실의 괴리 28
2. 강제통용력 29
가. 강제통용력의 의의와 법적 효과 29
나. 강제통용력과 당사자들의 합의 30
1) 지급수단에 대한 당사자들의 합의 30
2) 묵시적 동의에 의한 합의 여부 31
3) 소결 32
다. 강제통용력과 신용카드 의무수납제 32
3. 금융포용성과 현금결제선택권 34
가. 금융소외와 디지털소외 34
나. 현금결제선택권 35
4. 개선 방안 36
제3절 중앙은행디지털화폐 37
1. 현상과 법적 과제 37
가. 현상: 중앙은행디지털화폐의 도입 논의 37
나. 법적 과제: CBDC의 도입 방식과 한국은행법의 관계 39
2. CBDC의 속성과 발행 방식 39
가. 서언 39
나. CBDC의 속성 40
다. 거액결제용 CBDC의 발행 41
라. 소액결제용 CBDC의 발행 - 직접형혼합형간접형중개형 41
3. 한국은행법과 CBDC의 발행에 대한 검토 44
가. 발행의 법적 근거 44
1) 학설 44
2) 외국의 논의 45
3) 소결 45
나. 민간과의 거래 제한: 정부와 시장의 기능적 분리 46
1) 정부의 최소개입원칙 46
2) 직접형 방식에 대한 검토 48
3) 혼합형과 중개형 방식에 대한 검토 50
4) 간접형 방식과 CBDC 해당 여부 51
다. 소결 53
4. CBDC 발행방식의 구체화 53
가. 서언 53
나. 중개형 방식의 발행이 적정 54
다. 토큰형과 분산원장형 CBDC의 발행 55
1) 토큰형 CBDC의 발행이 적정한 이유 55
2) 분산원장형 CBDC의 발행이 적정한 이유 55
라. 사생활의 비밀과 개인정보의 보호 56
1) 논의의 배경 56
2) CBDC의 설계시 사생활의 비밀 보호 반영 56
마. CBDC와 지급결제시스템 57
1) CBDC의 이원적 법률관계와 지급결제시스템 57
2) 이용자가 CBDC의 대가로 지급하는 금전의 법적 성질 58
3) CBDC 참가기관의 신용위험과 청산기관 60
4) CBDC의 착오송금과 청산기관 60
5. 도입 방안 61
가. CBDC의 발행 근거 규정의 신설 61
나. 최소개입원칙의 유지 61
다. 사생활의 비밀과 개인정보의 보호 62
라. CBDC 참가기관과 청산기관의 규정 62
제4절 지역화폐 62
1. 현상과 법적 과제 62
가. 현상: 코로나19 감염병 대유행으로 인한 이용률 증가 62
나. 법적과제: 다른 금융규제법과의 부조화 64
2. 지역사랑상품권의 도입 배경과 법적 근거 64
3. 지역사랑상품권의 법적 성질 65
4. 지역사랑상품권과 다른 지급수단과의 관계 66
5. "화폐" 용어 사용과 이용자 보호의 문제 68
6. 개선 방안 68
제4장 시장주도형 지급수단의 법적 과제와 개선 방안 70
제1절 서언 70
제2절 선불전자지급수단 71
1. 현상과 법적 과제 71
가. 현상: 발행자와 구조의 변화 71
1) 서언 71
2) 지급결제서비스 제공 비금융회사의 확대 71
3) 전자금융업자의 우위 현상 72
4) 전자금융업자의 자체 청산 74
5) 새로운 지급수단에 대응한 소액결제시스템의 변화 74
나. 법적 과제: 이용자 보호에 관한 법적 공백 75
1) 선불전자지급수단의 편법적 용도 변경 75
2) 이용자예탁금 보호와 이용자 권리의 확인 76
3) 지급결제시스템과 청산기관에 대한 법적 근거 76
2. 선불전자지급수단의 편법적 용도 변경 77
가. 서언 77
나. 전자화폐의 소멸과 선불전자지급수단의 이용 증가 77
1) 전자화폐의 의의와 현황 77
2) 전자화폐의 법적 문제 78
다. 선불전자지급수단의 편법적 이용구조 허용 82
1) 배경 82
2) 토스 간편송금 서비스의 구조 83
3) 토스 간편송금을 위한 준비 단계 84
4) 토스 간편송금의 실행 86
5) 법적 과제 87
3. 선불전자지급수단의 이용자에 관한 법적 과제 89
가. 착오송금 89
1) 논의의 배경 89
2) 예금계좌를 지급수단으로 하는 착오송금 90
3) 선불전자지급수단을 이용한 착오송금 91
4) 소결: 비금융회사 계정을 가진 이용자 보호의 필요 92
나. 계좌와 계정의 구분 92
1) 논의의 배경 92
2) 회계학상 계정과 계좌의 개념적 구분 93
3) 계정과 계좌의 법적 구별 93
4) 계좌와 계정에 대한 입법례 96
5) 소결 99
4. 선불전자지급수단 발행 전자금융업자에 대한 법적 과제 100
가. 서언 100
나. 금산분리의 유지 101
1) 서론 101
2) 금산분리에 대한 찬반론 101
3) 지급수단의 접근채널 다양화와 금산분리 102
4) 지급업무의 규제와 금산분리 103
5) 소결 금산분리의 유지와 포괄적 지급업무 규정 필요 109
다. 전자금융거래업자와 신용카드업자 사이의 규제 불균형 110
1) 진입규제의 불균형 111
2) 영업행위규제의 불균형 111
3) 건전성규제의 불균형 112
4) 소결 113
라. 전자금융업자의 신용위험과 이용자예탁금의 보호 113
1) 전자금융거래법의 한계와 지급결제제도 개입의 구조 113
2) 전자금융업자의 신용위험과 지급결제제도의 청산 114
3) 통합도산법 제120조 제1항의 특례와 청산기관의 감독 115
5. 개선 방안 133
가. 금산분리의 유지에 따른 포괄적 지급업무의 규정 방안 133
1) 지급업무에 대한 포괄적 규정 133
2) 기능 중심으로 전자화폐와 선불전자지급수단의 일원화 134
3) 간편송금에서 편법의 제거 135
나. 전자금융거래업자와 신용카드업자 사이의 규제 차익 제거 135
1) 영업행위건전성규제의 차익 제거 135
2) 후불결제의 규제 차익 제거 136
다. 전자금융업자의 신용위험과 이용자예탁금 보호 방안 136
1) 전자금융거래법개정안에 대한 고려 136
2) 이용자의 권리 확인 방법과 청산기관의 기능 확대 138
제3절 가상자산 140
1. 현상과 법적 과제 140
가. 현상: 가상자산과 글로벌 스테이블코인의 출현 140
나. 법적 과제: 금융규제법상 지급수단으로서 가상자산 142
2. 가상자산의 속성과 구조 142
가. 가상자산의 속성 142
나. 구조 144
1) 비담보형 구조 145
2) 담보형 구조 155
3. 현행 지급수단과의 비교 158
가. 법정화폐와 비교 158
나. 어음수표와 비교 160
다. 전자어음과 비교 160
1) 전자어음의 법적 성질 160
2) 권리행사에 등록이 필요한 구조적 속성 161
3) 전자어음의 등록 방식 162
라. 전자증권제도와 비교 163
마. 신용카드와 비교 163
바. 전자지급수단과 비교 164
1) 비교 대상 전자지급수단의 선택 164
2) 선불전자지급수단 및 전자화폐와 비교 164
3) 전자채권과 비교 167
사. 상품권과 비교 168
아. 검토 169
4. 가상자산과 금융규제법상 금전의 법적 개념에 관한 논의 170
가. 서언 170
나. 금전의 법적 개념에 대한 기능적 접근방법 170
1) 국가화폐론 172
2) 사회화폐론 173
3) 제도화폐론 175
4) 검토 176
다. 가상자산을 법정화폐와 지급수단으로 도입한 사례 검토 177
1) 비트코인을 법정화폐로 도입한 엘살바도르 177
2) 가상자산 Petro를 공식 지급수단으로 도입한 베네수엘라 178
라. 소결 179
5. 외국의 입법례 180
가. 서언 180
나. 미국 180
1) 연방 180
2) 주 181
다. 유럽연합 183
1) 국제적 자금세탁방지 동참 183
2) 가상자산 시장 규정안 184
라. 일본 185
마. 가상자산에 대한 국제기구의 대응과 특정금융정보법의 개정 188
1) FATF의 권고 188
2) 특정금융정보법 개정과 가상자산 190
바. 시사점 190
6. 가상자산의 법적 수용 방안 190
가. 서언 190
나. 비담보형 가상자산을 금융규제법상 지급수단으로 수용하는 방안 191
1) 비담보형 가상자산에 대한 부정적 요소 191
2) 비담보형 가상자산의 수용 방안 193
3) 탈중앙화를 고려하여 비담보형 가상자산을 금융규제법상 지급수단으로 수용하는 방안 194
다. 담보형 가상자산을 금융규제법상 지급수단으로 수용하는 방안 195
1) 담보형 가상자산을 법적으로 수용하기 위한 전제 사항 195
2) 법정화폐형 스테이블코인에 대한 민사집행 196
3) 법정화폐형 스테이블코인과 지급결제제도 198
4) 법정화폐형 스테이블코인에 대한 금융규제법의 적용 199
제4절 메타버스 플랫폼의 지급수단 201
1. 현상과 법적 과제 201
가. 현상: 메타버스 플랫폼에서 지급수단 사용 201
나. 법적 과제: 게임아이템과 지급수단의 구별 201
2. 메타버스 플랫폼에서 사용되는 지급수단의 법적 평가 202
가. 메타버스의 개념과 플랫폼으로 진화 202
1) 메타버스의 개념 202
2) 메타버스 플랫폼으로 진화 203
나. 메타버스 플랫폼의 업무 구조와 지급수단의 법적 구조 204
1) 메타버스 플랫폼의 업무 구조 204
2) 메타버스 플랫폼에서 사용되는 지급수단의 법적 구조 206
다. 지급수단으로서 ZEM과 Robux에 대한 법적 과제 209
1) 서언 209
2) 환불에 대한 법적 평가 209
3) 현금화에 대한 법적 평가 215
4) 법적 과제 217
3. P2E 게임물에서 이용하는 가상자산과 메타버스 플랫폼의지급수단 217
가. 서언 217
나. P2E 게임물에서 가상자산을 이용하는 구조 218
다. 메타버스 플랫폼의 지급수단으로서 검토 219
1) P2E 게임물이 메타버스 플랫폼에 해당하는지 여부 219
2) P2E 게임물에서 가상자산이 지급수단에 해당하는지 여부 219
4. 소결 및 제언 221
제5장 결론 223
참고문헌 225
Abstract 242
-
dc.format.extentx, 247-
dc.language.isokor-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지급수단-
dc.subject전자금융거래법-
dc.subject선불전자지급수단-
dc.subject중앙은행디지털화폐-
dc.subjectCBDC-
dc.subject가상자산-
dc.subject가상화폐-
dc.subject메타버스-
dc.subject.ddc340-
dc.title지급수단의 법적 측면에 대한 연구-
dc.title.alternativeStudy on the Legal Aspects of Payment Instruments-
dc.typeThesis-
dc.typeDissertation-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Dongkwan Jo-
dc.contributor.department법과대학 법학과-
dc.description.degree박사-
dc.date.awarded2023-02-
dc.contributor.major상법, 금융규제법-
dc.identifier.uciI804:11032-000000175603-
dc.identifier.holdings000000000049▲000000000056▲000000175603▲-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