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포괄증여의 개념적 한계와 유형별 포괄주의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Limitations of Comprehensive Concept of Gift taxation and All-Inclusive System by Types
완전포괄주의, 흑자법인 증여의제, 하이브리드 증여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정재희

Advisor
이창희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간접증여과점주주기여행위기존 증여의 사후정산반대해석상장이익신주인수권완전포괄주의유형별 포괄주의이중과세장래기회의 이전재산가치의 사후적 증가증여예시조항증여의제증여특례하이브리드 증여흑자법인 증여의제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법과대학 법학과, 2023. 2. 이창희.
Abstract
After the ruling on the surplus corporation denying the taxation of gift tax on indirect transfer of wealth via corporation, cases related to gift tax due to the profits from increase of property values after acquisition(such as donation of profits from listing of stocks) were also sentenced to deny taxation under the general provision of comprehensive taxation of gifts. There is a clear tendency to understand this series of phenomena as a decline in Comprehensive Concept of Gift Taxation. This article focuses on theoretically establishing and clarifying the comprehensive concept of Gift Taxation so that it can be implemented on a stable basis while maintaining its purpose. On the other hand, there are two areas that cannot be solved just by clearly applying the comprehensive concept of gift taxation. First, the deemed donation of gift via a surplus company(Article 45-5 of the Inheritance Tax and Gift Tax Act) has systematic defects and double taxation problems, So this article proposes a legislative improvement plan. Second, since the profits from increase of property values after acquisition(hybrid gift in the sense that income tax and gift tax are combined) can not be applied to the area of Comprehensive Concept of Gift Taxation, All-Inclusive System by Types(Any case similar to special exemplary provisions in economic substance is also subject to taxation) should be set as an alternative tax principle.
It is true that even before the adoption of Comprehensive Taxation of Gifts there was a general provision of comprehensive taxation. However, a direct legal relationship between the donor and the recipient should be required on the 'transfer of profits', and the comprehensive concept of gift Taxation has been incapacitated due to the formal logical notion that the beneficiary's profits should be 'transferred' from the donor. The concept of comprehensive gift refers to an objective result of free transfer of property or economic benefits in a direct or indirect form. The 'freeness' that constitutes the concept of a gift is objectively judged, and differs from gifts under civil law in that it does not require the donor's intention to distribute profits to the recipient. For example, if economic benefits generated by issuing new shares at low prices are allocated to other shareholders or third parties, the intention to donate is not required to the person who has given up the acquisition of new shares.
However, in some cases,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subjective intention of the donor. First, even if a non-market price transaction is made between non-special related persons, the taxation of gift tax is excluded if there is a reasonable cause for common practices of transaction in terms of compensating for the imperfections of assessment by market price. Second, Normally gifts are when the intention of giving a gift to the other party without compensation is strong. On the other hand, when the intention and consideration of the gift are mixed, it can be regarded as an honorarium, which is subject to income tax. Meanwhile, gifts can be made in an indirect form without a direct transa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donor and the recipient, and a typical case is when one shareholder transfers wealth to another shareholder free of charge using capital transaction of a corporation. However, since the concept of indirect gift is at risk of excessive expansion, the loss of the donor and the benefit of the recipient must be linked to a considerable level of causality.
The 'transfer' type of economic profit is ① when 'active' property or profit is transferred to the recipient 'directly' such as taking over goods or property rights through a typical gift contract, ② when providing a passive form of profit that generates lost profits to the donor, such as free money or low-interest loans, ③ When there is indirect transfer of profits between shareholders through capital transactions of corporations. In addition, ④ In some cases, when the donor transfers the position to gain future profits to the beneficiary, such as the donor pays the premium for the beneficiary, and the beneficiary receives the insurance money in the event of an insurance accident(in Article 34 section (1) of the Inheritance Tax and Gife Tax Act), The time of transfer of profits is separated from the time of gift taxation in the future. Likewise, the target transaction itself corresponds to the comprehensive concept of gifts, but the timing of donation and the calculation of the value of the gifted property are regulated differently compared to the direct application of general provisions of comprehensive gifts. These regulations can be distinguished from the 'the deemed donation of a gift' and called 'gift exceptional provisions'.
After Surplus Corporation Ruling is declared, the scope of general provisions of comprehensive taxation of gifts depends on whether it is possible to interpret the opposite of the taxation requirements set in special exemplary provisions. ❶ If the special exemplary provision limits the size of taxable profits, it can be interpreted that it will not be taxed on the part within the boundary, ❷ it will be difficult to operate as a limitation of taxation for parts describing a specific form of transaction (transfer, merger, capital increase, etc.), ❸ The part that stipul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ties to the transaction (e.g., transactions between related parties) basically limits the taxation to a narrow form, and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opposite interpretation is possible if rationality can be accepted.
The system of imposing gift taxes on shareholders on indirect transfer of wealth via corporation originally started as a deemed donation of gift for transactions with corporations with deficits, but it is currently established as a deemed donation of gift via a surplus company (Article 45-5 of the Inheritance Tax and Gift Tax Act) to prevent unfair taxation due to differences in corporate and gift tax rates. It is true that indirect gift through a corporation satisfies the concept of comprehensive gift, but there is a theoretical controversy over imposing corporate tax and gift tax on internal shareholders simultaneously. This is because the general system of tax law is that income generated by a corporation is taxed once corporate tax is levied, and profits earned by shareholders are taxed only when it is allocated or stocks are transferred. In addition, the current system has a problem of overestimating gift profits or double taxation, so it is necessary to explore legislative alternatives.
First, it is whether the profits received by the corporation can be converted into profits received by shareholders. The current system, which calculates shareholders' gift profits by multiplying the profits received by the corporation itself by the share ratio, is expected to be controversial in the future. Second, the current system uses a tax credit method that prevents (corporate tax amount + gift tax) from exceeding the gift tax amount if the controlling shareholder directly receives the product, solving the problem of double taxation of corporate tax and gift tax. However, the first problem of excessively calculating shareholders' gift profits remains in actual tax calculation, and there is still a problem that the gift tax can be levied on shareholders even when the stock value of the corporation is 0 won after the donation. Third, if dividends have already been made in the business year when the gift was made,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regulation in the Inheritance Tax and Gift Tax Act to deduct dividend income from gift tax. And if dividend is made after gift tax is levied and dividend income tax is to be paid, it is necessary to define a deemed donation profits as a reason for deduction of dividend income in the Income Tax Act. Taking a step further, we sought a fundamental alternative to reorganizing gifts to corporations into 'direct gifts to shareholders + payment of capital investment to corporations'. It is reasonable to view the criteria for ignoring the legal personality and giving direct effects to shareholders when the controlling shareholder group is an oligopolistic shareholder. If this is adopted, the problem of excessively calculating shareholders' gift profits, the problem of double taxation, and the problem of deduction of dividend income can be generally solved.
Exemplary provisions of hybrid gift dealing with profits from increase of property values after acquisition are Article 41-3 (Donation of Profits from Listing, ect. of Stocks or Investment Shares), Article 40 section (1) 2. (Donation of Profits Following Conversion of Convertible Bonds ect. into Stocks), and Article 42-3 (Donation of Profits from Increase of Property Values after Acquisition). Hybrid gift refers to a form in which unrealized profits are collected as gift taxes at a time when the value of future property increases dramatically after a taxpayer acquires a specific asset through contribution activities by related persons. To analyze the structure of exemplary provisions, it can be divided into ❶ parts that regulate the scope of the taxpayer o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tributor and the taxpayer, ❷ parts that describe the types of contributing actions, and ❸ parts that specify the reasons for the increase in property value. There is a discussion on whether hybrid gift can be included in the concept of comprehensive gift which is 'free transfer of wealth', but I believe that hybrid gift is an exception to Article 60 section (1) of the Inheritance Tax and Gift Tax Act(an evaluation should be made at the time of the donation), so if it is outside the taxation requirements of exemplary provisions, it cannot be taxed on the strength of general provisions alone. In addition, it falls under the 'increase of the value of ones property by anothers contribution', which is a separate concept of gift in general provisions of comprehensive taxation, but considering the ambiguity of the concept or the difficulty in calculating the value of the gifted property, it should be viewed as a declarative regulation rather than a direct tax base regulation.
Since Article 4 section (1) 6. of the revised Inheritance and Gift Tax Act newly established all-inclusive system by types as the basis for taxation, If the 'economic substance' is similar for transactions that are outside the taxation requirements of the hybrid gift exemplary provisions, the standard of similarity is crucial because it can be taxed according to the article. By analyzing the taxation requirements of Article 41-3(the Listed Profits), two concepts can be assumed about the nature of hybrid gift. First, the above clause can be seen as a post-settlement of existing gifts in which the donated stock was initially difficult to be properly evaluated at the time, but when the stock value increased due to the listing of the stock, the gift tax is levied. If so, the essence of contributing act will be the 'existing gift'. Second, the property originally acquired by the donor with the donor's contribution contains an opportunity to increase value due to listing, and when the opportunity is realized and the value increases, the nature of the contribution act is regarded as 'transfer of future opportunity'.
Through the model case, I observed that the two concepts work by making a combination of three factors: the type of transaction (gift of the stock/gift of fund/acquisition of the stock for value), whether the forfeited stock occurs or not, and Whether the price of new stock acquisition is donated or not. As a result, if the acquisition price of new shares was not donated, but only the acquisition opportunity was received through the allocation of the forfeited stock or the allocation to third parties, it was not a post-settlement of existing gifts, but a transfer of future opportunities could be affirmed. The scope of taxation under Article 41-3 of the Act on Listed Profits is also adjusted to the scope of future opportunities rather than the post-settlement of existing gifts. Profits from exercising conversion rights of convertible bonds have only the "transfer of future opportunities" factor regardless of existing gifts, and profits from increase of property values after acquisition (Article 42-3) are close to providing or transferring future opportunities. Therefore, it was concluded that the core concept of hybrid gift was 'transfer of future opportunities'.
From this point of view, in the case of Profits from Listing Ruling there is no element of post-settlement of the existing gift, but It can be seen that future opportunities have been transferred from other shareholders. The Plaintiff, who was not a shareholder(not applicable to anything : gift to existing stocks, gift of stock purchase funds, or acquisition of stock for value), was allocated forfeited shares that other major shareholders gave up the acquisition with his funds in the process of capital increase.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it can be taxed in accordance with the provision for All-Inclusive System by Types of current Inheritance Tax and Gift Tax Act.
In the case of Subscrption Rights Ruling, the acquisition of subscrption rights as made in the order of corporation → bank → securities company → plaintiff, So the plaintiff purchase it from a securities company, not from an underwriter under the Capital Markets Act, so it did not fall under the taxation requirements of Article 40 section (1) 2. In the above case, the Plaintiff, who is not a shareholder but a related party of the largest shareholder, took the opportunity to acquire the securities with warrants through third-party allocation, resulting in transfer of future opportunities between the existing shareholders and the Plaintiff, so it is considered that taxation can be based on the provision for all-inclusive system by types. It is regrettable that the Supreme Court took a passive position even though there was the provision for all-inclusive system by types at the time of the above ruling.
흑자법인 간접증여에 대하여 증여세 과세를 부인하는 흑자법인 판결이 선고된 이후, 상장이익 등 재산가치의 사후적 증가에 대한 증여세에 관한 사건들에서도 개별예시조항의 반대해석상 포괄증여 조항에 따른 과세를 부인하는 판결들이 잇따라 선고되었다. 이러한 일련의 현상을 두고 완전포괄주의의 퇴조로 이해하는 경향이 뚜렷하다. 이 글은 완전포괄주의가 그 취지를 살리면서도 안정적인 기반에서 구현되도록 우선 포괄증여 개념을 이론적으로 정립하여 이를 분명하게 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한편, 포괄증여 개념을 명확히 적용하는 것만으로 해결되지 않는 두 가지 영역이 있다. 첫 번째로, 현행 흑자법인 증여의제 제도(상증세법 제45조의 5)는 그 체계적 결함과 이중과세 문제 등이 있는데 이에 관한 입법적 개선안을 모색한다. 두 번째로, 재산가치의 사후적 증가에 따른 증여(소득세와 증여세가 합쳐졌다는 의미에서 이하 하이브리드 증여)는 포괄증여 개념이 적용될 수 있는 영역이 아니므로, 유형별 포괄주의를 대체적 과세원리로 세우고자 한다.
완전포괄주의가 채택되기 이전에도 포괄증여 조항이 존재하였던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이익의 이전에 관하여 증여자와 수증자 사이의 직접적 법률관계가 전제되어야 하고, 수증자의 이익은 증여자로부터 이전된 것이어야 한다는 법률주의적·형식논리적 관념으로 인하여 포괄증여가 무력화된 바 있다. 포괄증여의 개념은 직접 또는 간접적인 형태로 재산이나 경제적 이익이 무상으로 이전되는 객관적 결과를 의미한다. 증여의 개념을 이루는 무상성은 객관적으로 판정하는 것이지, 증여자의 수증자에 대한 주관적인 이익 분여 의사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사법상의 증여와 성격을 달리한다. 예컨대 신주를 저가로 발행하면서 발생한 실권주를 다른 주주나 제3자에게 배정하는 경우 신주인수를 포기한 자에게 증여의사가 필요하지는 않다.
다만, 증여자의 주관적 의도를 살펴볼 필요가 있는 경우도 있다. 첫 번째, 비특수관계인 사이에서 비시가거래를 하더라도 시가의 불완전성을 보완한다는 측면에서 거래의 관행상 정당한 사유가 있으면 증여세의 과세가 배제되는데, 정당한 사유를 판정할 때 증여자의 주관적 의도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두 번째, 보통 증여는 대가 없이 상대방에게 베풀어준다는 의도가 강할 때인데, 그러한 의도도 있지만, 대가성도 일정 부분 부정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기타소득의 일종인 사례금(謝禮金)으로, 무상행위의 의도가 주된 경우에는 증여로 볼 수 있다. 한편, 증여는 증여자와 수증자 사이에 직접적인 거래관계가 없는 간접적인 형태로도 이루어질 수 있는데 대표적인 것이 법인의 자본거래를 이용하여 어느 주주가 다른 주주에게 부를 무상으로 이전하는 경우이다. 다만, 간접증여의 개념은 지나치게 확대될 위험이 있으므로 주는 자의 손실과 받는 자의 이익이 상당한 수준의 인과성으로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
경제적 이익의 이전 유형은 ① 전형적인 증여계약을 통하여 물건이나 재산권을 넘겨받는 경우와 같이 적극적인 재산이나 이익이 직접적인인 형태로 수증자에게 이전되는 경우, ② 금전의 무상 또는 저리 대출과 같이 증여자가 자신의 기회를 포기하면서 수증자에게 재산상 이익을 주는 소극적이고 직접적인 형태의 이익제공의 경우, ③ 법인을 통한 자본거래 등으로 주주 사이에 간접적으로 이익이 이전되는 경우가 있다. 그 밖에 ④ 증여자가 수증자를 위하여 보험료를 내준 후 수증자가 보험금을 타는 경우(상증세법 제34조 제1항)와 같이 현재에는 장래 이익을 얻을 수 있는 지위를 이전하고, 증여재산에 대한 평가는 장래에 이루어지는 경우처럼 포괄적 증여가 이루어지는 시점과 증여세 과세 시점이 분리되는 때도 있다. 신탁이익의 증여(상증세법 제33조), 초과배당에 따른 이익의 증여(상증세법 제41조의 2)도 이와 마찬가지로 대상거래 자체는 포괄증여 개념에 해당하지만, 포괄증여 조항을 직접 적용할 때와 비교하여 증여 시기나 증여재산가액 산정 등이 다르게 규율된다. 이러한 규정들은 본래 증여가 아닌 것을 증여세로 규율하는 증여의제조항과 구별하여 증여특례조항이라고 부를 수 있다.
흑자판결이 선고된 이후 포괄증여 조항의 과세범위는 개별예시조항에서 정해진 과세요건의 반대해석이 가능한지 여부에 달려있다. ❶ 개별예시조항 자체에서 과세대상 이익의 크기를 한정하는 경우 그 경계에 미달하는 영역에 대해서는 과세하지 않겠다는 반대해석이 가능하지만, ❷ 과세요건 중 특정한 거래의 형태를 기술한 부분(양도, 합병, 증자 등)은 원칙적으로 과세의 한계로 작동하기는 어려울 것이며, ❸ 거래당사자간 관계 등(예컨대 특수관계인 사이의 거래)을 규정한 부분은 기본적으로 과세대상을 좁은 형태로 한정하는 것인데, 합리성을 수긍할 수 있으면 반대해석이 가능하다고 볼 소지가 높다.
법인을 통한 간접증여에 대하여 주주에게 증여세를 과세하는 제도는 당초 결손법인과의 거래에 대한 증여의제로 출발하였으나 법인세와 증여세의 세율 차이로 인한 과세의 불공평을 막으려는 목적으로 현재 흑자법인 증여의제(상증세법 제45조의5) 제도로 자리 잡았다. 법인을 통한 간접증여가 포괄증여 개념을 충족하는 것은 사실이지만, 법인에 발생한 소득에는 일단 법인세를 물리고 그로 인하여 주주가 얻는 이익은 그것이 배당되거나 주식이 양도되었을 때 비로소 과세하는 것이 세법의 일반 체계라는 점에서 법인세를 과세하는 동시에 그 내부의 주주에 대하여도 증여세를 과세하는 것에 대하여 이론적인 논란이 있다. 또한 현행 제도는 증여이익의 과다 산정 문제나 이중과세 문제가 있으므로 입법적 대안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첫 번째, 법인이 받은 이익을 그대로 주주가 받은 이익으로 환산할 수 있는지 여부이다. 주주의 증여이익을 주주의 주식가치 증가분으로 산정하는 것이 아니라 법인이 받은 이익 자체에 지분율을 곱하여 산정하는 현행 제도는 향후에도 논란이 예상된다. 두 번째, 현행 제도는 (법인세액 + 증여세액)이 지배주주 등이 해당 물건을 직접 증여받았을 경우에 부과되는 증여세액을 초과할 수 없도록 하는 세액공제 방식을 병용하게 되어, 법인세와 증여세의 이중과세 문제는 상당 부분 해소되었다. 그러나 실제 세액계산에 있어서 주주의 증여이익을 과다하게 산정하는 첫 번째의 문제가 여전히 남아있고, 법인이 채무초과여서 증여 후에도 법인의 주식가치가 0원임에도 주주에게 증여세를 과세할 수 있다고 보는 문제가 상존한다. 세 번째, 배당소득과 관련하여 증여가 이루어진 사업연도에 이미 배당이 이루어진 경우라면 증여의제이익에서 배당소득을 공제하는 규정을 상증세법에 마련할 필요가 있고, 증여세가 과세된 이후 배당이 이루어져 배당소득세를 납부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소득세법에서 증여의제이익을 배당소득 공제사유로 규정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한발 나아가, 법인에 대한 증여를 주주에 대한 직접 증여 + 법인에 대한 출자금 납입으로 재구성하는 근본적인 대안을 모색해보았다. 위와 같이 법인격을 무시하고 주주에게 직접적인 세법상 효과를 부여하는 기준은 지배주주 집단이 과점주주일 때로 보는 것이 합리적이다. 이를 채택할 경우 주주의 증여이익을 과도하게 계산하는 문제, 법인세와 이중과세 문제 및 배당소득의 공제문제는 대체로 해결될 수 있다.
재산가치의 사후적 증가에 따른 이익을 다루는 하이브리드 증여예시조항은 상증세법 제41조의3(주식 등의 상장에 따른 이익의 증여), 제40조 제1항 제2호(전환사채 등의 주식전환에 따른 이익의 증여), 제42조의3(재산취득 후 재산가치 증가에 따른 이익)이 대표적이다. 하이브리드 증여는 특수관계인 등의 기여행위를 통하여 납세자가 특정자산을 취득한 후, 장래 재산가치가 비약적으로 증가하는 시점에서 미실현이익을 증여세로 거두어들이는 형태를 말한다. 증여예시조항의 구조를 분석해보자면 ❶ 납세의무자의 범위 또는 기여행위자와 납세의무자의 관계를 규율하는 부분, ❷ 기여행위의 종류가 서술되는 부분, ❸ 구체적인 재산가치 증가사유를 명시하는 부분으로 구분할 수 있다. 하이브리드 증여가 부의 무상이전이라는 포괄적 증여개념에 포함될 수 있는지에 관하여 논의가 있으나, 필자는 하이브리드 증여는 증여 시점 이후에 증여재산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지는 이상, 상증세법 제60조 제1항의 예외가 되므로, 증여예시조항의 과세요건을 벗어나는 경우 명문규정 없이 포괄증여 조항의 힘만으로는 과세할 수 없다고 보았다. 또한 포괄증여 조항에서 별도의 증여개념으로 잡고 있는 기여에 의한 타인의 재산가치 증가에 해당하기는 하나, 그 개념의 모호성이나 증여재산 가액 산정의 어려움을 고려할 때, 직접적인 과세의 근거규정이라기보다는 선언적인 규정으로 보아야 한다.
한편 개정 상증세법 제4조 제1항 제6호에서 유형별 포괄조항을 과세의 근거규정으로 신설하였으므로, 하이브리드 증여예시조항의 과세요건을 벗어나는 거래에 대하여도 경제적 실질이 유사하면 유형별 포괄조항에 따라 과세가 가능하므로, 그 유사성의 기준이 문제된다. 상장이익에 관한 법 제41조의3의 과세요건을 분석하여 보면 하이브리드 증여의 본질에 대하여 두 가지 관념을 상정할 수 있다. 첫 번째, 위 조항은 당초에 증여받은 주식을 당시에 제대로 평가되기 어려웠으나 주식이 상장되어 주식가치가 증가하였을 때, 사후적으로나마 그 주식에 대하여 제대로 평가하여 증여세를 과세한다는 기존 증여의 사후정산으로 볼 수 있다. 그렇다면, 기여행위의 본질은 기존의 증여가 될 것이다. 두 번째, 수증자가 증여자의 기여로 당초 취득하는 재산에는 상장으로 인한 가치 상승의 기회가 내장되어 있는데, 그 기회가 현실화되어 가치가 상승하였을 때 그 가치 상승의 기회를 이전받은 자가 얻은 이익을 증여세로 과세한다는 관념으로 본다면, 기여행위의 본질을 장래기회의 이전으로 본다.
필자는 모델사례를 통하여 (주식 자체의 증여/자금 증여/주식 유상취득)의 거래형태, 실권주의 발생 여부, 신주대금의 증여 여부의 3가지 요소를 조합한 경우의 수를 만들어 두 가지 관념이 작동하는 모습을 관찰해보았다. 그 결과 신주인수대금을 증여받지 않았으나 실권주나 제3자배정으로 신주의 취득기회만을 받은 경우 기존 증여의 사후정산은 아니지만 장래기회의 이전은 긍정할 수 있었다. 상장이익에 관한 법 제41조의3에 따른 과세범위도 기존 증여의 사후정산보다는 장래기회 이전의 범위에 맞추어져 있다. 전환사채 등의 전환권 행사에 따른 이익도 기존 증여와는 무관하게 장래기회의 이전 요소만을 가지고 있고, 사후적 재산가치 증가에 따른 이익(제42조의3)에서도 재산취득요건 중 직접 증여를 받는 형태(기존 증여 사후정산과 장래기회 이전이 병존함) 이외에 다른 형태(내부정보 취득, 자금 차입, 담보제공)도 장래기회의 제공 내지 이전에 가깝다. 따라서 하이브리드 증여의 핵심 개념은 장래기회의 이전이라는 결론에 이르렀다.
이러한 관점에서 상장차익 판결 사안을 보면 기존에 주주는 아니었던 원고가(기존 주식에 대한 증여, 주식매수자금의 증여, 주식 유상취득 어느 경우에도 해당하지 아니함) 증자 과정에서 다른 대주주들이 인수를 포기한 실권주를 자신의 자금으로 재배정받은 경우이므로 기존 증여의 사후정산의 요소는 없으나, 다른 대주주들로부터 장래기회를 이전받은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현행 상증세법의 유형별 포괄조항에 의하여 과세할 수 있다고 본다. 다만 당시 유형별 포괄조항이 존재하지 않았고, 포괄증여 조항만으로 과세할 수 없다고 보는 이상, 과세를 부정한 상장차익 판결의 결론에는 동의한다.
신주인수권 판결 사안에서 법인→ 은행→ 증권회사→ 원고의 순서로 신주인수권 취득이 이루어졌는데, 원고는 자본시장법상 인수인이 아닌 증권회사로부터 취득하였으므로 증여예시조항의 과세요건에 해당하지 않게 되었다. 위 사안에서 주주가 아니면서 최대주주의 특수관계인인 원고가 신주인수권이 없음에도 제3자배정을 통하여 신주인수권부 증권을 인수할 수 있는 기회를 잡은 것, 그로 인하여 기존 주주와 원고 사이에 장래기회의 이전이 발생하였으므로, 유형별 포괄조항에 따라 과세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위 판결 당시에도 유형별 포괄조항이 존재하였음에도 대법원이 소극적인 입장을 취한 것은 아쉬운 대목이다.
지금까지 살펴본 증여세 포괄주의 과세체계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❶ 부의 무상이전을 규율하는 증여는 예시조항과 무관한 영역에서 부의 무상이전 개념을 충족시킬 경우에는 포괄증여 조항에 의하여, 증여예시조항의 요건을 충족시킬 경우에는 증여예시조항에 의하여 과세할 수 있다. 한편 증여예시조항의 거래 유형에는 해당하지만 예시조항의 요건을 충족시키지 못할 경우에는 해당 과세요건의 반대해석이 가능하다면 과세가 배제될 것이고, 반대해석이 가능하지 않다면 여전히 포괄증여 조항에 의하여 과세가 가능할 것이다. 포괄증여 개념에 해당하더라도 내재적 한계나 비과세에 해당할 경우 포괄증여 조항에 따라 과세할 수 없고, 증여특례조항에 의하여 규율될 경우에도 포괄증여 조항이 적용될 여지가 없다.
포괄증여 개념으로 해결되지 않는 첫 번째 쟁점(❷-1)은 흑자법인 증여의제인데, 현행 제도는 증여이익의 과다산정 문제, 배당소득과의 이중과세 문제 등이 있으므로, 근본적인 해결책으로주주에 대한 직접증여 + 법인에 대한 출자의 2단계 거래로 재구성하여 법인세 없이 주주에 대한 증여세만을 과세하는 방식으로 입법적 개선을 제안하고, 개정안을 제시하였다. 포괄증여 개념으로 해결되지 않는 두 번째 쟁점(❷-2)은 하이브리드 증여인데, 통상의 증여와 구별하기 위하여 재산취득 후 해당 재산의 가치가 증가한 경우의 그 이익을 독자적인 증여세 과세대상에서 제외하고, 유형별 포괄조항을 하이브리드 증여예시조항에만 미치도록 하는 입법적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이에 따르면 하이브리드 증여는 증여예시조항이 직접 적용되는 경우와 증여예시조항과 경제적 실질이 유사한 경우로서 유형별 포괄조항이 적극적인 과세근거로 작동할 수 있을 때에만 과세할 수 있다. 유형별 포괄조항은 하이브리드 증여예시조항의 과세요건 중 수증자의 재산취득 과정에서 타인의 기여행위와 관련된 부분에서 주로 문제 될 것인데, 그 기여행위로 인하여 재산가치 상승의 장래기회가 이전되었다면 대체로 과세를 긍정할 수 있을 것이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3675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5435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