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취재원보호권에 관한 헌법적 연구 : A Constitutional Study on the Reporters` Privilege: Focusing on the comparison with the US Right to Refuse to Testimony
미국 취재원보호권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윤성제

Advisor
전종익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취재원보호권취재원비닉권언론∙출판의 자유취재의 자유미국 취재원보호법증언거부권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법학전문대학원 법학과, 2023. 2. 전종익.
Abstract
In the 20th presidential election, which set a record of the closest election ever, media constantly reproduced various controversies, creating an environment in which the two camps had no choice but to focus on black propaganda against each other. Accordingly, the public, who are consumers of information, asked where the information came from. However, journalists were reluctant to disclose sources, citing work ethics. Journalists argue that high-quality reporting is possible only when the sources can be protected, and only then can the media fulfill its social responsibilities. No social consensus has yet been reached on whether or not reporters can be protected.
The reporters` privilege is the right to silence the information itself and information of sources obtained during the process of newsgathering for the purpose of reporting. There is a clear need to protect such information by acknowledging the right. Amid anxiety that their identity can be disclosed at any time, it is difficult for sources to easily respond to reporters' coverage, which will adversely affect both the amount and quality of the report, as reporters claim. However, academic discussions on this are insufficient. Not only was the name not unified, but there was no in-depth discussion on whether to view it as a basic right directly derived from the current Constitution or as a professional privilege of reporters recognized by law. The specific area in which the right to protect sources works has also not been defined.
In the United States, the reporters` privilege began to show up in the late 19th century in terms of reporters` professional ethics. After the Near v. Minnesota(1931) and the Garland v. Torre(1958), efforts were made to recognize it as a constitutional right directly derived from the First Amendment, but were thwarted by the Branzburg v. Hayes(1972). However, rather, as a result of this, the substance of the right to protect sources was recognized, and it was incorporated into the U.S. judicial system by laws or common laws of each states. As a result, as of January 2023, 48 U.S. states and the capital, Washington, D.C., recognize the reporters` privilege. However, there is a limitation that the privilege is focused only on the reporters` right to refuse to testify as the discussion started in the common law.
Comparing the current Constitution of Korea with the case of the United States, it is difficult to grasp the legal basis of the right to protect sources as the content of freedom of speech and publication or other basic rights under the Constitution. This is because it does not conform to our legal system, and there is no strong constitutional request to recognize it as basic rights without prestigious provisions in the Constitution. However, the policy necessity is clear, so there is plenty of room to recognize it as a legal right. This is all the more so considering that freedom of speech and publication is a key factor in supporting the modern democratic system. Therefore, if there is a special agreement on confidentiality between reporters and sources, it can be recognized as a reporter's professional privilege as in the case of priest. The area of action extends to seizure and search, or communication fact inquiry. Of course, in the case of seizure and search to which Rule of Warrant is applied, it should not be operated by refusing to execute the warrant issued through due process, but by allowing the district court judge to compare the necessity of protecting sources and issuing the warrant.
역대 최소표차 당선이라는 기록을 세운 제20대 대통령선거에서 언론기관은 여러 논란을 끊임없이 재생산하며 양 진영이 서로에 대한 흑색선전에 집중할 수밖에 없는 환경을 만들었다. 그에 따라 정보의 소비자인 대중은 자연스레 그 정보의 출처가 어딘지를 따져 물었다. 그러나 기자들은 직업윤리를 내세우며 출처공개를 꺼렸다. 기자들은 취재원을 보호할 수 있어야 양질의 보도가 가능하고, 그때에서야 비로소 언론의 사회적 책무를 다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취재원이 보호받을 수 있는지, 또 어디까지 보호받을 수 있는지에 대한 사회적 합의는 아직 이뤄지지 않았다.
취재원보호권은 기자 등 그 주체가 보도의 목적으로 행한 취재의 과정에서 얻은 정보와 그 출처에 대해 침묵할 수 있는 권리이다. 이를 인정함으로써 취재원을 보호해야 할 필요성은 분명하다. 자신의 신원이 언제든지 공개될 수 있다는 불안감 속에서 취재원은 기자의 취재에 쉬이 응하기 어렵고, 이는 기자들의 주장대로 보도의 양과 질 모두에 악영향을 끼칠 터다. 그러나 이에 대한 학계의 논의는 미진하다. 그 명칭조차 통일되지 않았음은 물론, 이를 현행 헌법에서 직접 도출되는 기본권으로 볼 것인지, 아니면 법률상 인정되는 기자들의 직업적 특권으로 볼 것인지에 대한 논의도 심도 있게 이뤄지지 않았다. 취재원보호권이 작용하는 구체적인 영역 또한 획정된 바 없다.
미국에서는 19세기 후반 기자의 직업적 윤리의 측면에서 취재원보호권에 접근하기 시작했다. 이후 1931년 니어 대 미네소타(Near v. Minnesota) 판결, 1958년 갈랜드 대 토레(Garland v. Torre) 판결을 거치면서 이를 수정헌법 제1조에서 직접 도출되는 헌법상 기본권으로 인정받기 위한 노력이 이어졌으나, 1972년 브랜즈버그 대 하이에스(Branzburg v. Hayes) 판결로 좌절되었다. 그러나 오히려 이를 계기로 취재원보호권의 실체가 인정받게 되었고, 각 주 법률 내지 보통법에 의해 미국 사법체계 안으로 편입되었다. 결과적으로 2023년 1월 현재 미국 48개 주와 수도 워싱턴D.C.에서 취재원보호권을 인정한다. 다만 미국 취재원보호권은 보통법에서 그 논의가 출발했던 만큼 기자의 증언거부권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다는 한계가 존재한다.
현행 헌법과 미국의 사례를 비교해볼 때, 취재원보호권의 법적 근거를 헌법상 언론∙출판의 자유의 내용 내지 기타 기본권으로 파악하기는 어렵다. 그것이 우리 법체계에 부합하지도 않을 뿐만 아니라 헌법에 명문의 규정이 없는 기본권을 그 해석으로 인정해야 할 만큼 강력한 헌법적 요청이 존재하지도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 정책적 필요성만큼은 분명하므로 이를 법률상 권리로 인정할 여지는 충분하다. 언론∙출판의 자유가 현대 민주주의 체제를 떠받치는 핵심적인 요소라는 점을 고려한다면 더욱 그러하다. 따라서 기자와 취재원 간 비밀유지특약이 있다면 이를 종교인의 경우와 같이 보아 기자의 직업적 특권으로 인정할 수 있다. 그 작용영역은 압수∙수색 내지 통신사실 조회까지도 확장된다. 물론 영장주의가 적용되는 압수∙수색의 경우 적법절차를 거쳐 발부된 영장의 집행을 거부하는 방식이 아니라 영장 발부 시에 지방법원 판사가 취재원보호의 필요성과 영장 발부의 필요성을 비교형량하여 영장 발부를 결정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운용되어야 한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3691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5751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