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아동기 BMI 성장궤적 분석 : Socioeconomic disparities in BMI growth trajectories of Korean Children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강상구

Advisor
유승현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아동기 비만건강불평등성장궤적분석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보건대학원 보건학과(보건정책관리학전공), 2023. 2. 유승현.
Abstract
아동기 비만은 수많은 질병의 위험요인으로 사회에 막중한 부담을 초래하며 공중보건 관점에서 주요한 위기로 인식되고 있다. 또한 고소득 국가의 아동들에서 나타나는 비만의 사회경제적인 격차 역시 중요한 문제이다. 본 연구는 아동기 BMI와 성인기 BMI의 높은 연관성에 주목하여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를 구성하는 대표적인 지표인 소득수준과 교육수준에 따라 아동들을 나누고 각 집단의 BMI 성장궤적을 분석하였다.
연구자료로 한국아동패널을 활용하였고, 사회경제적 지위를 나타내는 변수로 균등화 가구소득 5분위와 부모의 교육수준(대졸‧전문대졸‧고졸)을 활용한 분석을 각각 시행하였다. 만 2세부터 11세까지 아동이 그리는 BMI 성장궤적을 선형 스플라인 다수준 분석을 통해 세 개의 구간으로 나눠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소득을 기준으로 한 분석에서 전 연령에 걸쳐 BMI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부모의 학력을 기준으로 대졸 이상자를 기준으로 나머지 집단과 차이를 본 분석에서 부모가 전문대 졸업일 때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학력이 고졸 이하인 부모와는 어린 연령대부터 연간 BMI 성장속도 및 최종 예측 BMI에서 유의한 사회적 격차를 보였다.
본 연구 결과에 기초해 다음 사항을 제언하였다. 첫째, 현재 아동비만 정책이 학령기 이전 아동에 조금 더 많은 비중을 둔다면 예방 차원에서 더 큰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둘째, 성인에만 적용되고 있는 비만 건강형평성 지표를 아동에 대해서도 개설할 필요가 있다. 셋째, 어머니의 학력에 따른 비만율 차이는 임신 전 모성 비만에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예상되므로 이에 대한 개입이 필요하다.
Childhood obesity, which is recognized as one of the crises in public health, causes a serious burden on society,. Furthermore, socioeconomic inequality exists in childhood obesity in high-income countries. This study focused on the BMI growth trajectories of children according to their parents' socioeconomic position and predict BMI.
This study used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Equalized household income was quantified into a fifth quintile as a variable representing socioeconomic status. The BMI growth trajectory drawn by children from the age of 2 to 11 was analyzed by dividing it into three sections through linear spline multilevel model, to cover nonlinear growth of BMI. We conducted same analysis for the educational level of both paren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analysis based on parental incom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MI over all ages. Second, in the analysis of differences from the rest of the group based on parents' education based on university graduates,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when parents graduated from college graduates, but there was a significant social gap in annual BMI growth rate and final BMI value from the high school group.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were suggested. First, child obesity policy should focus a little more on children before school age, as it can have a greater effect in terms of prevention. Second, it is necessary to have an obesity health inequality index for children too. Third, the difference in BMI according to the mother's educational level is expected to be greatly affected by maternal obesity before pregnancy, so intervention is needed.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3709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6012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