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팬데믹 상황에서 비-코로나19 질환자의 미충족 의료 : Unmet healthcare needs for non-COVID19 patients during pandemic era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선영

Advisor
이태진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비-코로나19팬데믹미충족 의료의료 접근성호흡기 증상코로나19 감염 우려경제적 우려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보건대학원 보건학과(보건정책관리학전공), 2023. 2. 이태진.
Abstract
Background
The COVID-19 pandemic has had a wide impact on the entire economy and social culture, including the health care system. These changes in society as a whole may have affected individual medical accessibility.
As health and medical resources are concentrated in the COVID-19 response, medical services for the non-COVID-19 patients have been interrupted or reduced, resulting in reduced medical accessibility. Through this situation, it can be thought that medical accessibility of the non-COVID-19 patients was relatively weak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ccordingly, this study focuses on the unmet healthcare needs of the non-COVID-19 patients, and attempts to identify influencing factor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changes in society may have caused unique influencing factors. This study will analyze whether the effects of respiratory symptoms experiences on unmet healthcare needs, concerns for the COVID-19 infection or concerns for economic damage due to the COVID-19. In addition, we will analyze whether the impact of economic concerns on unmet healthcare needs varies depending on household income and whether the impact of concerns about infection varies depending on the type of chronic diseases.

Methods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is conducted using the community health survey, 2020. The model included age, gender, education level, household income, subjective level of health, and type of chronic diseases as control variable. The main independent variables to confirm the moderating effect are "Recent fever and cough experience," "Concerns for the COVID-19 infection", and Concerns for economic damage due to the COVID-19 pandemic. [Model 1-1] includes all three independent variables individually, [Model 1-2] includes interaction terms between Concerns for the the COVID-19 infection and chronic disease types, and [Model 1-3] includes interaction terms between Concerns for economic damage due to the COVID-19 pandemic and household income.

Results
Major independent variables to confirm the moderating effect, such as "Recent fever and cough experience", "concerns of the COVID-19 infection", and "concerns of economic damage due to the COVID-19 pandemic",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robability of experiencing unmet healthcare needs. The probability of experiencing unmet healthcare needs has significantly increased if there are "Recent Fever or Cough Experience" and Concerns for Economic damage due to the COVID-19 pandemic, and the group concerned about infection had significantly lower probability of experiencing unmet healthcare needs than the group do not concerned about infection.

Conclusion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variables, it is expected that the effect on the unmet healthcare needs can be controlled through policy intervention in the recent fever and cough experience and concerns for economic damage due to the COVID-19 pandemic, which significantly increase the probability of experiencing unmet healthcare needs during the pandemic.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policies that consider each individual's medical accessibility can be designed in the event of a recurrence of an epidemic such as the COVID-19 pandemic.
연구 배경 및 필요성
코로나19 팬데믹은 보건의료체계를 포함한 경제, 사회문화 전반에 걸쳐 광범위한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사회 전반의 변화는 개인의 의료 접근성에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
코로나19 대응에 보건의료자원이 집중됨에 따라 비-코로나19 질환자에 대한 의료서비스가 중단되거나 축소됨으로써 의료 접근성이 저하된 상황들이 보고되었다. 이러한 상황을 통해 코로나19 팬데믹 시기에 비-코로나19 질환자의 의료 접근성이 상대적으로 취약했다고 생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비-코로나19 질환자의 미충족 의료 경험에 주목하고, 이에 대한 영향요인을 확인하고자 한다.
코로나19 팬데믹 시기에 사회 전반의 변화가 발생함에 따라 고유한 영향요인이 발생했을 수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미충족 의료 경험에 대한 호흡기 증상 경험(최근 발열·기침 경험), 코로나19 감염에 대한 우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경제적 피해 우려의 조절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며, 추가로 미충족 의료 경험에 대한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경제적 피해 우려의 영향이 가구소득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지, 코로나19 감염에 대한 우려의 영향이 만성질환 종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지 분석할 것이다.
이러한 영향요인 분석을 통해 보건의료체계의 재구성으로 인하여 의료 접근성이 저하되었을 것으로 예상되는 인구집단의 미충족 의료 경험을 유의하게 조절할 수 있는 변수를 확인하고, 분석 결과를 의료 접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바람직한 정책 수립의 근거자료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연구 방법
지역사회건강조사의 2020년 자료를 활용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다. 앤더슨 모형을 활용하여 분석 모델을 구성하며, 기존의 선행 문헌 고찰을 통해 확인한 미충족 의료 경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연령, 성별, 교육 수준, 가구소득, 주관적 건강평가, 만성질환 종류)을 통제변수로써 분석 모델에 포함한다. 조절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는 주요한 독립변수는 최근 발열·기침 경험, 코로나19 감염에 대한 우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경제적 피해 우려이다. [분석1-1]에는 위의 세 가지 독립변수를 모두 개별적으로 포함하고, [분석1-2]에서는 코로나19 감염에 대한 우려와 만성질환 종류의 상호작용항을 포함하며, [분석1-3]에서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경제적 피해 우려와 가구소득의 상호작용항을 포함한다.

연구 결과
조절 효과를 확인하고자 한 주요한 독립변수인 최근 발열·기침 경험, 코로나19 감염에 대한 우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경제적 피해 우려는 미충족 의료를 경험할 확률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발열·기침 경험과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경제적 피해 우려가 있을 경우 미충족 의료 경험 확률이 유의하게 높았다. 코로나19 감염에 대한 우려의 경우, 감염을 우려하는 군이 우려하지 않는 군에 비하여 미충족 의료 경험 확률이 유의하게 낮았다.

결론
팬데믹 시기의 미충족 의료 경험 확률을 유의하게 증가시키는 최근 발열·기침 경험과 경제적 피해 우려는 변수의 특성상 정책적 개입을 통하여 미충족 의료 경험에 미치는 효과를 조절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향후 코로나19 팬데믹과 같은 전염병 사태 재발 시, 각 개인의 의료 접근성을 고려한 정책을 설계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3718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4397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