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한국 중고령자의 건강행동 군집화 양상과 개인 및 지역사회 관련 요인 : Individual and Community-level Factors Associated with Clustering of Health Behavior Patterns in Korean Middle-aged and elderly Population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남윤성

Advisor
김홍수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중고령자건강행동군집화생태학적 모델지역사회건강조사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보건대학원 보건학과(보건정책관리학전공), 2023. 2. 김홍수.
Abstract
고령화 및 만성적인 저출산으로 중고령자가 우리나라 인구의 주 연령층이 되어가고 있는 상황에서, 중고령자의 건강관리가 중요한 주제로 대두되고 있다. 건강관리에 있어 건강행동은 큰 부분을 차지하는데, 선행연구들은 건강행동은 독립적으로 나타나지 않고 여러 건강행동이 군집화된 형태로 나타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고 보고 하고 있으나 전체 성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개인 수준 요인에 초점을 두고 있다는 한계점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중고령자를 대상으로 건강행동 군집분석을 시행하고, 건강행동 군집과 관련되어 개인, 개인 간, 및 지역사회 수준의 요인을 포함하여 다면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자료는 2019년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결측치를 제외한 만 50세 이상의 응답자로 128,594명을 대상으로 기술분석, chi-square, ANOVA, 군집분석, 다변량 분석을 시행하였다. 건강행동의 생태학적 모델과 선행연구에 근거하여 종속변수는 흡연량, 음주량, 신체활동량으로 선정하였고, 인구사회학적 요인(개인 수준), 사회적 지지와 사회적 관계(개인 간 수준), 및 거주지 특성과 지역의 물리적인 환경(지역사회 수준)을 고려하였다.
연구 결과 우리나라의 중고령자는 일반 성인에 비해 건강행동의 실천 정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전체 중고령자 중 13.2%가 현재 흡연중이었으며, 3.1%만이 고위험음주 습관을 가지고 있었고, 33.1%가 권장량을 넘는 신체활동을 하고 있었다. 성별, 연령, 혼인상태, 소득, 사회적 지지 등 개인적 수준과 개인 간 변수들은 흡연량, 음주량, 신체활동량과 유의미한 관련성을 보였다. 지역사회 수준 변수들 중 편의점/슈퍼, 금연구역, 공공체육시설의 밀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나 임상적 의의를 가질 정도의 효과 크기는 아니었다. 한편 건강행동 실천량을 대상으로 군집분석을 시행하였을 때 우리나라 중고령자는 흡연군,건강행동군,음주군,수동적 태도군의 4개의 군집으로 나뉘어졌고, 그 중 수동적 태도군이 다수를 차지하였다. 군집화 양상과 관련된 변인을 분석하였을 때 개별 건강행동과 마찬가지로 개인적 수준과 개인 간 수준의 변수들은 유의미한 연관성을 보였으나 지역사회 수준의 변수들은 유의미한 연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성별에 따른 하위군 분석 결과 남성의 경우 농어촌에 비해 도시에 거주하는 경우 흡연군, 수동적 태도군에 속하는 오즈가 각각 1.45배, 1.41배 높았다.
본 연구는 전국 규모의 대표성 있는 자료로 우리나라 중고령자의 건강행동과 건강행동 군집화 양상을 다양한 차원에서 파악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향후 더 다양한 지역사회 수준의 요인들과 정책 요인을 포함한 연구를 통해 건강행동의 군집화와 관련된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본 연구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As middle-aged and older adults become the main age group of the Korean population due to rapid aging and chronic low birth rate, health care for those population is emerging as an important issue in Korea. Health behavior forms an essential part of health management, and previous studies report that health behavior does not appear independently and that various health behaviors appear in a clustered form. However there is a limitation that these studies focus on individual-level factors, not community-level factors. Therefore, this study conducted a cluster analysis of health behavior in middle-aged and older adults, and conducted a multivariate analysis including intrapersonal, interpersonal, and community-level factors related to health behavior clusters.
The study data used the data from the 2019 Community Health Survey, and descriptive analysis, chi-square, ANOVA, cluster analysis, and multivariate analysis were conducted on 128,594 respondents aged 50 or older, excluding missing values. Based on the social-ecological model of health behavior and previous studies, dependent variables were selected as smoking, drinking, and physical activity, and independent variables were selected as demographic factors (intrapersonal level), social support and social relationships (interpersonal level), and residence characteristics and physical environments(community level).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middle-aged and older adults in Korea showed a higher level of practice of health behaviors than general adults. Among the total middle-aged and older adults, 13.2% were currently smoking, only 3.1% had high-risk drinking habits, and 33.1% were doing physical activity exceeding the recommended amount. Intrapersonal and interpersonal-level variables such as gender, age, marital status, income, and social support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amount of smoking, alcohol consumption, and physical activity. Among community-level variables, the density of convenience stores/supermarkets, smokefree areas, and public sports faciliti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the effect size was not large enough to have clinical significance. As a result of cluster analysis on the amount of practice of healthy behaviors, Korean middle-aged and older adults were divided into four clusters: 'smoking group', 'health behavior group', 'drinking group', and 'passive attitude group'. occupied the majorit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variables related to the clustering pattern, intrapersonal and interpersonal-level variables showed significant associations, but community-level variables did not show significant associations, just like individual health behaviors. As a result of subgroup analysis by gender, in the case of males, the odds of belonging to the smoking group and the passive attitude group were 1.45 and 1.41 times higher, respectively, when living in cities than in rural area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dentified the health behavior and health behavior clustering patterns of middle-aged and elderly Koreans in Korea with representative data on a national scale in various dimensions.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can be supplemented by identifying factors related to the clustering of health behaviors through studies including more diverse community-level factors and policy factors.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3720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4186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