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예비과학교사를 위한 담화맥락 기반 발문 반성 활동의 개발 및 적용 :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Context-based Reflective Activity on Questioning for Pre-service Science Teacher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성훈

Advisor
노태희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발문담화맥락예비과학교사교육실습생산적 반성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범대학 과학교육과(화학전공), 2023. 2. 노태희.
Abstract
Because the verbal interaction between the teacher and the student in science class mainly starts with the teacher's question, the teachers question is an important part of the verbal interaction. The teacher's question can help learners to construct science concepts, by allowing students to express their thoughts or scaffolding students learning activities. Many science teachers, however, have difficulties in using questions, and their understandings of questioning are reported to be insufficient. Therefore seeking effective ways to develop the practice of science teachers' questioning is needed. Accordingly, some studies are being conducted to improve the practice of teachers questioning, but most of them focus only on the cognitive aspect of questions. Teachers questions are connected not only with cognitive aspects but also other context aspects such as affective aspects, social aspects. Therefore, it can be useful to develop a activity to to develop the practice of teachers questioning in consideration of the context of the discourse.
The reflective activity is an effective way to develop the practice of teachers questioning. The productive reflection perspective which can analyze the integration of various aspects of teaching, can be practical for teachers to reflect their questioning in consideration of the context of the discourse. Using ones own video can be useful in reflective activity on questioning by providing accurate records of the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In order to develop the practice of science teachers questioning, it is necessary to focus on the education of pre-service teachers who can participate in systemic and intensive education. To develop the activity to improve the practice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questioning, the practice of their questioning needed to be investigated in advance. Studies analyzing the practice of pre-service teachers questioning considering the context of discourse, however, are very few. Accordingly, as a basic study to develop an activity to improve the practice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questioning, questions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were analyzed in consideration of the context of discourse, and the characteristics and deficiencies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questions were specified (Study I). In order to analyze the way pre-service science teachers considering the context of discourse,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reflection on the question considering the context of discourse were analyzed (Study II). Based on the results of studies, the context-based reflective activity on questioning for pre-service science teachers was developed. After applying the developed activity to pre-service science teachers, the influences of the activity on pre-service teachers reflection and questioning were analyzed (Study III).
In study I, pre-service chemistry teachers questions in their teaching practices were analyzed considering the context of discourse. Five pre-service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ir questions were analyzed by considering various data including class videos, interviews, and teaching-learning materials. Their questions were classified into relevant question, affective question, dead-end question, rhetorical question, and structuring question. Each question was also classified into appropriate question and convenient question by the aspect of proper responses of students. The analyses of the results indicated the differences in the frequencies of several types of questions depending on the content of the lessons. After using convenient questions, pre-service teachers proceeded to prepared classes as they rather than prompted students responses. The affective questions were rarely used. The dead-end questions were found to be used for promoting interaction with students. The rhetorical questions were us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arousing students attention and promoting their thinking.
In study II,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reflection on the question considering the context of discourse were analyzed for the purpose to develop the workshop to improve teachers questions considering the context of discourse. Four pre-service science teachers in the fourth grade participated in the study. Pre-service science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workshop.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reflection on the question considering the context of discourse were analyzed. Pre-service science teachers considered the types of questions which they learned in the workshop during the reflection. But the affective domains of students were rarely considered. Whether the students responded was considered as an important factor of reflection. The questions were evaluated based on the frequencies. A single question without context was reflected on. Various PCK elements were not considered comprehensively. Based on the results, the practical implications to develop a program for improving teacher expertise related to the questions considering the context of discourse were discussed.
In the study III, the context-based reflective activity on questioning for pre-service science teachers including video reflection and productive reflection perspectives was develop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Ⅰ and study II. Two pre-service science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study. We observed their lessons and reflections, and collected all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also conducted. The analyses of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consideration of some aspects such as learners cognitive development levels, students affective aspects and instruction strategy were increased after applying the program. The consideration of assesment were also increased. Pre-service teachers began to reflect on by focusing on the context of the discourse rather than to focus on a single question. From the perspective of productive reflection, the level of integration was increased. Pre-service teachers recognized the purpose of the question to understand the students thinking after the program, and their usage of the questions for the purpose increased. The classes were also planned in consideration of the student's various responses. If there was no response from the student, however, they felt the difficulties in using additional questions to understand the students thinking or elicit the students response when conducting teacher-centered traditional classes.
On the basis of the results, the ways to supplement the context-based reflective activity to improve the practice of pre-service teachers questioning and the practical implications to improve pre-service teachers questioning were discussed.
교사와 학생의 언어적 상호작용은 주로 교사의 발문으로 시작되므로 교사의 발문은 언어적 상호작용의 중요한 부분이다. 교사의 발문은 학생이 자신의 개념을 말할 수 있게 하고 이를 과학개념으로 연결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등 학습자가 스스로 개념을 구성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그러나 현직 및 예비과학교사는 발문을 효과적으로 사용하지 못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므로 과학교사들의 발문 능력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한편 과학교육 분야에서 발문 연구는 대부분 발문의 인지적 측면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발문의 사회적 측면에 대해서는 거의 고려하지 않았다. 따라서 발문이 이루어지는 담화맥락을 함께 고려하여 효과적인 발문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교사의 전문성을 향상시키는 대표적인 방법으로 반성 활동이 있다. 교사는 반성 활동을 통해 자신의 수업을 되돌아보며 능동적으로 개선해나갈 수 있다. 반성적 사고의 수준을 분류하는 기준 중 생산적 반성 관점은 수업에 관한 다양한 측면의 통합을 분석할 수 있는 관점으로 교사가 담화맥락을 고려하여 반성하는 것에 실제적인 도움을 줄 수 있다. 한편 자신의 수업 영상을 활용한 반성은 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을 정확한 기록으로 제공하여 발문을 반성하는데 효과적일 수 있다.
과학교사의 발문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체계적이고 집중적인 교육이 가능한 예비교사의 교육에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 예비교사의 발문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활동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예비과학교사의 발문 사용을 체계적으로 분석하는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그러나 지금까지 담화맥락을 고려하여 예비교사의 발문을 분석한 연구는 매우 부족하다.
이에 예비과학교사를 위한 담화맥락 기반 발문 반성 활동을 개발하기 전 기초 연구로 예비과학교사의 발문을 담화맥락을 고려하여 분석함으로써 예비과학교사의 발문에서 나타나는 특징과 부족한 점을 구체화하였다(연구 I). 그리고 예비과학교사가 자신의 수업 영상을 보며 발문을 반성할 때 담화맥락을 어떻게 고려하는지 조사하였다(연구 II). 이후 연구 I과 II의 결과를 바탕으로 예비과학교사를 위한 담화맥락 기반 발문 반성 활동을 구성하고, 이를 예비과학교사에게 적용한 후 이들의 반성과 발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연구 III).
연구 I에서는 교육실습에 참여한 예비과학교사 5명의 발문을 담화맥락을 고려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의 한 차시 수업을 녹화하였고, 교수학습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면담도 수행하였다. 담화맥락을 고려하여 발문 유형을 분류한 선행연구의 분석틀을 참고하여 발문을 내용 관련 발문, 정의적 발문, 폐쇄적 발문, 수사적 발문, 구조적 발문으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각 발문을 학생들의 응답을 토대로 적절한 발문과 교사 편의적 발문으로 분류하였다. 연구 결과, 몇 가지의 유형의 발문은 예비교사들이 맡은 수업 내용의 특성에 따라 빈도가 다르게 나타났다. 교사 편의적 발문을 한 후 예비교사들은 학생들의 응답을 유도하기보다는 교사가 답을 제시하는 방식으로 주로 수업을 진행하였다. 또한, 예비교사들은 학생들의 응답 내용을 활용하는 발문들과 정의적 발문은 거의 사용하지 않았다. 예비교사들은 학생의 학습 정도를 간단하게 파악하고 상호작용을 촉진하기 위한 목적으로 폐쇄적 발문을 활용하였다. 수사적 발문은 내용을 강조하기 위한 목적뿐 아니라 학생들의 주의 집중을 유발하거나 사고를 촉진하는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연구 II에서는 효과적인 발문 사용을 위한 반성 활동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 예비과학교사 4명을 대상으로 발문을 반성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담화맥락을 고려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참여자들에게 담화맥락을 고려한 발문 사용에 관한 워크숍을 실시하였고 워크숍이 끝난 후 연구참여자들은 자신의 수업 비디오를 보며 발문을 반성하였다. 연구자는 반성 과정을 관찰하고 면담을 실시하였다. 수집한 자료를 지속적 비교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과학교사가 자신의 발문을 반성하는 과정에서 새롭게 알게 된 발문 유형을 적극적으로 고려하는 모습을 보였다. 예비교사들은 발문에 대해 반성할 때 학생의 정의적 측면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였다. 또한 학생의 응답 여부를 중요한 반성 요소로 고려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발문을 반성할 때 발문 빈도를 바탕으로 평가하는 모습을 보였으며 단일한 발문에 초점을 두고 반성하였다. 또한 반성 과정에서 다양한 PCK 요소에 대한 통합적인 고려가 부족한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담화맥락을 고려한 발문 반성 과정을 안내하는 것만으로는 예비교사가 담화맥락을 고려하여 발문을 반성하기에 충분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예비교사가 자신의 발문에 대해 반성하고 반성을 토대로 개선된 발문을 실행해볼 기회를 충분히 제공할 필요가 있다.
연구 III에서는 연구 I과 II의 결과를 종합하여 예비과학교사를 위한 담화맥락 기반 발문 반성 활동을 개발하였고, 이를 예비교사들에게 적용한 후 발문 반성 활동이 예비교사의 반성과 발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사범대학에 재학 중이며 교육실습에 참여한 2명의 예비과학교사가 연구에 참여하였다. 교육실습에서 예비교사들의 수업과 발문 반성 활동 과정을 관찰 및 녹화하였고, 예비교사들이 제작한 교수학습 자료를 수집하였다. 또한 수업과 발문 반성 활동에 대한 반구조화된 면담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발문 반성 활동 전과 후의 반성과 발문을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교사들은 발문 반성 활동 적용 중 학습자와 학습 측면에서는 학습자의 인지적 발달 수준이나 정의적 측면 등에 대한 고려가 증가하였고, 지도 측면에서는 수업 운영보다는 자신의 지도 방식에 초점을 맞춘 반성이 더 증가하였다. 평가 측면에 대한 고려 또한 증가하였다. 예비교사들은 담화맥락에 초점을 맞추어 발문을 반성하기 시작하였으며 통합적 반성 수준이 높아지는 모습을 보였다. 예비교사들은 학생의 생각을 파악하기 위한 형성평가의 관점을 발문의 목적 중 하나로 인식하였다. 그러나 학생의 응답이 없는 경우 학생의 생각을 파악하기 위해 추가적인 발문을 활용하는 것을 어려워하였다. 또한 예비교사들은 학생의 다양한 응답을 고려하는 대화적 담화 관점에서 수업을 계획하고 실행하였다. 그러나 교사 중심의 강의식 수업을 진행할 때 학생의 다양한 응답을 이끌어내며 수업하는 것을 여전히 어려워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예비과학교사의 효과적인 발문 사용을 위한 시사점에 대해 논하였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3763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6276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