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중학교 과학 교과서에 나타난 시각적 입자 표상 분석 :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물질영역을 중심으로 : Analyzing Visual Representations of Particles in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 : Focused on Matter Units under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전유선

Advisor
노태희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시각적 입자 표상과학 교과서2015 개정 교육과정외적 표상물질의 입자성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범대학 과학교육과(화학전공), 2023. 2. 노태희.
Abstract
이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과학 교과서의 물질 영역 단원에 제시된 시각적 입자 표상 활용 실태를 분석하였다. 4종의 교과서의 시각적 입자 표상의 활용 방식, 활동 방식과 요구하는 활동 수준을 본문, 탐구, 평가 영역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시각적 입자 표상은 본문 영역에서 가장 높은 빈도로 제시되었으며 평가 및 탐구 영역에서는 유사한 빈도로 제시되었다. 본문 영역에서는 보조적 활용이 주로 나타났으며 평가 및 탐구 영역에서는 직접적 활용이 주로 나타났다. 물질의 특성 단원에서는 시각적 입자 표상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으나 일부 교과서에서는 입자 표상을 통해 미시적 측면과 연계하여 개념을 설명하고 있었다. 활동 방식의 경우 본문과 평가 영역에서 해석하기가 가장 높은 비율로 제시되었으나 탐구 영역에서는 다양한 활동 방식이 나타났다. 요구하는 활동 수준은 본문 영역의 경우 찾기 활동이 주로 나타났으며 탐구와 평가 영역에서는 유추하기 활동이 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시각적 입자 표상 제시 및 활용 방안에 대한 교육적 함의를 제안했다.
This study analyzed the use of visual representations of particle presented in the material unit of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 under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he type of use, the activity type, and the required level of activity were analyzed by dividing them into the main text, inquiry, and evaluation areas. Visual representations of particle were presented with the highest frequency in the main text area and similar frequencies in the evaluation and inquiry areas. Auxiliary use type was mainly shown in the main text area, and direct use was mainly shown in the evaluation and inquiry areas. Although few visual particle representations appeared in the Characteristics of Materials section, some textbooks explained this concept in connection with the microscopic aspect through representations of particle. In the case of the activity type, The interpretation type was presented as the highest ratio in the main text and evaluation areas, but various activity types were presented in the inquiry area. In the case of the required activity level, finding activities were mainly shown in the main text area, while inferring activities were mainly shown in the inquiry and evaluation areas. Based on the results,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the presentation and use of visual representations of particle were suggested.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3765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5269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