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공동체주택 생활 문화 학습 과정 연구 : A Study on Co-Housing Living Culture Learning Proces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우희정

Advisor
한숭희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마을공동체공동체주택공동체학습문화역사적 활동이론공동체성문화기술지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범대학 교육학과(평생교육전공), 2023. 2. 한숭희.
Abstract
Conventional pedagogy has mainly concentrated that school-aged students in school studied specific subjects while lifelong education has expanded the concept of Education and Learning by focusing on learning of everytime, everywhere and everyone. Lifelong education scholars have observed learning process of adult learners in a specific environment. Especially, they have revealed that individuals and communities have grown through lost Communality in a village community. This study has started that learning is the phenomenon of interaction with others beyond individual cognitive level in specific situation and environment.
Precedent studies have focused on the government system to activate community in a broad level of village. I call these types of government-centered, top down community model Meaning-Model. However, this study has paid attention to voluntary and bottom-up model, Co-housing, which is a Fun-Model.
Co-housing has been begun as an alternative to overcome individualized housing culture in a capitalistic society. It was one of the community movements like education, ecosystem, economy and medical system. While seventy-seven percent of the Korean population has lived in an apartment house, many people have suffered from human alienation and social solitary which came from the growth of single elderly households, single-person household and nuclear family.
This study has emphasized on the importance of Communality by concentrating on the concept of Co-housing with a critical mind to Korean housing culture. The case of this study is a Warm-Hearted Place(WHP, tentative name) which is the 8th Happy Together House(HTH, tentative name) located in Sungmisan Village Community in Mapogu, Seoul. The residents of WHP have lived in the co-housing since October, 2021. WHP has 7 households. And, there are 13 adults and 10 children in the building.
Research questions have been raised. First, what is the meaning of Communality which have naturally learned from living together in co-housing? This study has dealt with not ubiquitous and timeless communality but historical and locational Communality. Second, how the residents of co-housing have learned their own Communality? They have learned Communality, not from formal and intentional education but from living of co-housing, itself. Then what is the detailed process of learning which spends time and shares space?
Since this study has dealt with informal learning in everyday life, I used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ethnographical case study. I participated and observed official meeting, informal events and community activities. I interviewed members with the questions from participatory observation. Because this study focused on the adult learners, study participants are 13 members except for the minors. With the focus on the official community rule which members have made by themselves, I collected local materials of personal social network service and HTH on-line community.
4th and 5th chapter of this study are the answers of the first question which has asked the meaning of Communality. In the 4th chapter, I have made the readers understand special co-housing living culture by describing everyday life of co-housing in detail. In the 5th chapter, I have explained Communality which clearly revealed through double-sidedness and contradiction in living together.
This study has defined the meaning of Communality of WHP residents. It is Never give up and Together or Separate, or loose community. Community members have chosen co-housing because they wanted to live together but they wanted to be respected about their own individuality at the same time. I defined the process of mediating and finding balance between Individuality and Collectivity as Communality.
6th chapter of this study is the answer for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which is the learning process of Communality of WHP residents. Above all, I have described how members learn together by interacting each other. Firstly, they take non-formal classes when they have some problems which is related to their life. Secondly, with their community works, each member plays their own part spontaneously with responsibility. Thirdly, they learn from seniors experience. They ask Sungmisan village community or senior members of 1th~7th HTH for help. Lastly, they learn each other directly by experiencing different way of life.
Also, I analyzed the aspects of community learning in WHP through Cultural Historical Activity Theory(CHAT). First of all, I have described four symptoms of contradiction and revealed that residents have experienced the contradictions which are suitable for each symptom. And, based on the meaning of four dimensions of contradictions, they have suffered from each dimension of contradiction. Most of all, I have explained that the residents have confronted the fundamental contradiction which is a primary contradiction. Since they wanted to live together, they chose to live in co-housing, but they wanted to live alone at the same time.
Secondly, on the basis of clash with objects, I have explained how activity elements have changed in a activity system. Two objects, Living together and Together or Separate collide in the activity system. To overcome this contradiction, Subject, Mediating Artifacts, Rules, Community and Divison of Labor are restructured. Through this process, residents can learn Communality. I call this Expansive Learning which is important in this study.
Thirdly, as a result of this expansive learning, Growth of Community Culture is made. As the elements of activity system are restructured and changed, community culture is grown to achieve new object, Together or Separate. It is not from intentional effort that subject try to achieve object but from unintentional learning that meet Mediating Artifacts, Rules, Community and Division of Labor meet and contradiction in the activity system. Most importantly, these human and inhuman elements continually change, extend and recreate. This is the evidence that community is a living and learning creature.
Fourth, I have explained that since WHP is a fun-model, it cannot be analyzed through the epistemological circulation process of expansive learning. In the lifelong education field, case studies analyzed by expansive learning are mainly top-down meaning model, which is a government-centered. The members of WHP had gathered life itself, to live more fun and romantic life, so it is a bottom-up and fun model. Therefore, WHP does not properly respond to circulation process of expansive learning because it is rhizomic and connected horizontall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by analyzing mutual learning channels and aspects in the specific community movement, Co-housing, I have contributed to develop and expand the concept of Community learning. Also, I have discovered that Together or separate of their object is double-bind, which is the primary contradiction of Activity Theory.
Second, since WHP is fun-model which is different from meaning-model, I have explained that it does not perfectly respond to circulation process of expansive learning. As community is fundamentally fun-model, we should take a look at this types of community and study learning process microscopically.
전통적인 교육학은 학령기의 학생들이 학교라는 공간에서 교과목을 학습하는 현상에 주로 주목하였으나 평생교육학은 나이에 상관없이, 전 연령대의 학습자가 학교를 넘어 전방위적으로 이루어지는 학습에 주목함으로써 교육과 학습의 개념을 확장시켰다. 평생교육학자들은 성인학습자들이 자신이 속한 환경 가운데 학습하는 과정을 관찰하였으며 특히 마을공동체, 마을교육공동체에서 현대사회의 잃어버린 공동체성을 통해 개인과 집단이 성장해 나가고 있음을 밝혔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본 연구는 학습이 개인의 인지적인 차원을 넘어 각자가 처한 환경과 상황에서 타인과의 상호작용 가운데 이루어지는 현상임을 밝히기 위해 시작되었다. 본 연구 역시 이러한 학습 과정을 주목하고자 공동체주택이란 사례를 선택하였다.
공동체주택은 자본주의 사회에서 지나치게 개별화되어 버린 주거 개념을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교육, 생태, 의료, 경제 등 여러 마을 공동체운동 중 하나로 시작되었다. 대한민국의 인구 중 77%가 아파트, 연립 및 다세대주택 등의 물리적으로는 공동주택에 사는 반면 독거노인과 1인 가구 증가, 개인주의와 핵가족 형태의 주거 문화로 인해 인간소외, 사회적 고립감을 느끼는 인구수는 늘어갔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한국 주거문화에 문제 의식을 가지고 공동체주택에 주목함으로써 공동체성의 중요성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배경이 되는 공동체주택은 서울시 마포구 내 성미산마을에 위치한 8개의 함께 살아 행복한 집(함살집, 가칭) 중 가장 최근에 지어진 따뜻한 공간(따공, 가칭)이다.
본 연구에서 집중하고자 하는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동체주택에서 생활하며 자연스럽게 학습하게 되는 공동체성의 의미는 무엇인가? 둘째, 공동체주택 구성원들은 그들만의 공동체성을 어떻게 학습하게 되는가? 이들은 공동체성을 형식적이고 의도적으로 배우기보다 공동체주택의 삶 그 자체를 통해 배운다. 그렇다면 공간을 공유하고 시간을 함께 보내며 배우는 구체적인 과정은 어떻게 될까?
본 연구는 일상생활에서의 무형식학습을 다루므로 질적연구인 문화기술지(Ethnography)적 사례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공동체주택의 공식적인 회의, 공동체활동, 행사, 비공식적 모임 등을 참여관찰하였고 참여관찰하며 생겨나는 의문들을 기록하여 심층면담하였다. 또한 구성원들이 작성한 공동체규약을 중심으로 공동체주택 생활과 관련된 개인의 SNS 글, 함살집 카페에 올라온 글들을 현지자료로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4장과 5장은 첫 번째 연구 문제인 공동체성의 의미에 대한 답이다. 4장에서는 연구자가 관찰한 공동체주택 주민들의 일상적인 삶을 상세히 서술하여 일반적이지 않은 공동체주택의 생활문화를 독자들이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5장에서는 함께 사는 삶의 양면성과 모순 속에서 명확히 드러나는 공동체성을 설명하였다. 본 연구에서 정의한 따공 주민들에게 있어서의 공동체성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로, 포기하지 않는 마음이다. 둘째로, 따공의 공동체성의 의미는 따로 또 같이, 즉 느슨한 공동체이다. 연구자는 구성원들이 개별성과 공동성 사이에서 공동체성을 조율하고 균형을 찾아가는 과정을 공동체성의 의미로 해석하였다.
본 연구의 6장은 두 번째 연구문제인 주민들이 공동체성을 어떠한 과정을 통해 학습하는지에 관한 답이다. 우선, 따공의 주민들이 상호작용하며 함께 배우는 학습 과정을 밝혔다. 첫째로, 구성원들은 비형식적 교육을 수강함으로써 배운다. 둘째로, 공식적으로 일부 구성원은 대표, 회계, 서기, 시설, 환경의 임원진이며 비공식적으로 서로의 필요를 보며 각자 역할을 자발적이고 책임감있게 담당하며 학습하고 있었다. 셋째로, 성미산마을 주민들과 인근에 위치한 함살집 1~7호 선임자들로부터 경험을 전수 받는다. 넷째로, 구성원들 간의 다양한 삶을 통해 생활 학습한다.
또한, 문화역사적 활동이론을 통해 따공 주민들의 공동체성 학습의 양상을 분석하였다. 첫째로, 엥게스트롬이 설명한 4가지 모순의 징후를 서술하고 따공의 주민들이 각 징후에 적합한 모순을 겪고 있음을 밝혔다. 그리고 엥게스트롬의 4가지 차원의 모순의 의미를 기반으로 주민들이 각 차원의 모순을 경험하고 있음을 드러냈다. 무엇보다도, 공동체주택 주민들이 함께 살기 위해 공동체주택에 입주하였지만 개별적인 삶을 동시에 존중받기를 원하는 1차모순의 처했음을 서술하였다.
둘째로, 목표의 충돌을 바탕으로 활동체계 내 활동요소들이 변화하는 과정을 설명하였다. 따공의 구성원들은 함께사는 삶과 따로 또 같이 두 가지 목표가 충돌하는 모순을 경험한다. 이 모순을 극복하기 위해 주체, 매개물, 규칙, 분업, 공동체 등을 재조정하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 주민들은 공동체성 학습을 한다. 이를 연구자는 주민들의 확장학습이라 명명하며 여기서 본 연구의 중요한 의의가 있다.
셋째로, 이러한 확장학습을 통해 공동체문화의 성장이란 결과를 만들어냈다. 활동체계의 요소들이 조정되고 변화하며 공동체문화는 따로 또 같이라는 목표를 이루며 함께 더 잘 살 수 있도록 성장한다. 주체가 객체를 이루려는 의도적인 노력이 아닌, 구성된 매개물, 규칙, 분업, 공동체라는 요소와 모순을 만나며 학습을 할 수밖에 없는 활동체계에 내던져진 것이다. 중요한 것은 이러한 인간적/비인간적 요소들이 계속해서 변하고 확장하면서 재창조된다는 점이다. 이는 공동체가 살아 움직이며 공동체가 학습한다는 증거이다.
넷째로, 따공은 재미 모델이므로 확장학습의 인식론적 순환 과정에 적합한 형태로 해석될 수 없음을 설명하였다. 평생교육학계에서 확장학습 모델을 통해 분석한 사례들은 주로 관 주도의 의미 모델이다. 따공은 삶 그 자체를 위해 모였으며 재미와 낭만을 위해 자발적으로 모인 공동체이므로 재미 모델이다. 따라서 따공은 리좀적인 판이며 수평적으로 연결, 접속되기 때문에 확장학습의 순환과정에 적절히 대응되지 않음을 밝혔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로, 공동체주택이란 특수한 주거 환경 속에서 구성원들이 상호학습하는 경로 및 양상을 살펴봄으로써 공동체학습 개념을 이해하고 발전시키는데 기여하였다. 또한, 공동체주택 주민들에게 있어서의 공동체성의 의미인 따로 또 같이가 이중구속 상황임을 발견함으로써 이들의 목표가 엥게스트롬이 주장한 1차 모순임을 드러내었다.
둘째로, 따공은 평생교육학계가 그동안 주목해온 관 주도의 의미 모델과는 다른 재미 모델이므로 확장학습의 순환과정에 완벽하게 대응되지 않음을 설명하였다. 공동체의 본질은 재미 모델적 측면이 강하므로 이러한 공동체를 면밀히 살펴보며 그 가운데 일어나는 학습을 미시적으로 밝힌데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3807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5968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