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아마티아 센의 정의론의 시민교육적 함의 : A study for the citizenship educational implications of Amartya Sen's theory of justice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오명운

Advisor
김형렬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센의 정의론시민교육역량 자유사회선택이론자유주의 패러독스열린 공평성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범대학 윤리교육과, 2023. 2. 김형렬.
Abstract
본 연구는 아마티아 센(Amartya Kumar Sen)의 정의론의 시민교육적 함의를 모색한다. 센의 정의론은 인류 공통적인, 부정의에 대한 강한 지각을 말하면서 이를 기반으로 합리적이고 실질적인 자유를 증진하는 데 목적을 둔다. 본 연구는 학제적인 성격의 센의 정의론을 해석하기 위한 예비적 고찰들을 다루고, 이어서 센의 정의론을 종합적인 관점에서 네 가지 특징들로 재구성하였다. 첫째, 센의 정의론은 실현 중심의 비교접근방식을 추구한다. 둘째, 실질적인 자유로서 역량을 주장한다. 이때 역량 자유는 자유의 다면성 관점을 전제한다. 셋째, 자유의 다면성을 사회선택이론으로 해석한 것으로서 센의 자유주의 패러독스를 또 다른 특징으로 다룬다. 도덕적 관점에서 사회선택이론의 적용은 센 정의론만의 독특한 전개과정이기도 하다. 넷째, 센의 사회선택이론을 통한 공적추론의 강조는 구체적인 실천방식으로서 센의 민주주의론으로 확장된다.
그러나 센의 정의론은 크게 세 가지 한계를 보인다. 우선 선험적 제도주의에 대한 비판이 이에 대한 잘못된 이해에 기반하고 있다는 비판과 제도의 중요성을 오히려 간과했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둘째, 역량 개념의 여러 한계들도 비판받는다. 역량은 방법론적 개인주의를 추구하기에 인정의 문제와 같은 사회구조적인 문제를 해결하기도 어려울뿐더러 내용이 구체적이지 않아 평가와 같은 실제 적용에 대한 한계도 제기된다. 마지막으로 센의 민주주의 방식은 제도적 고려 없이 공적추론만 강조하게 되고, 심의에 대한 세심한 고려가 부족하여 기존 심의민주주의 한계를 그대로 지적받을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도출해낸 센 정의론의 근본적인 문제점은 역량과 비교접근방식(사회선택이론)의 초점이 근본적으로 다르다는 것이다. 이로 인하여 실천성 비판이 계속 제기될 수밖에 없기에 비록 센의 주장과는 다르더라도 열린 공평성의 관점에서 역량이 구체적으로 제시될 필요성이 있다. 이는 센의 본의와도 크게 어긋나지 않을뿐더러 역량과 비교접근방식 두 접근의 본질적인 충돌도 해소 가능하다.
몇 가지 한계에도 불구하고 센의 정의론이 추구하는 확장된 자유의 범위나 세계시민주의 관점은 도덕과 시민교육에 다음과 같은 함의를 제공한다. 첫째, 자유의 다면성 관점에서 자유의 범위를 확장할 수 있다. 기존 도덕과 교육과정에서 다루는 자유는 자유주의의 개인적 자유로서 공화주의의 공동선과 대비된다. 그러나 센은 역량을 비롯하여 비간섭 자유나 비지배 자유 모두 자유의 다면성 관점에서 상호보완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고 말한다. 자유의 다면성 관점에서는 개인선이 반드시 공동선과 대립되는 것이 아니라, 더 많은 정보를 반영하여 더 합리적이고 실질적인 자유를 모색할 수 있다. 이에 교육과정에 기술된 자유를 개인적 자유로만 다루지 않고, 일반적 자유의 다양한 관점을 반영하여 새롭게 기술해야 한다. 이러한 관점은 기존의 분배정의에도 새로운 기준을 제시할 수 있다.
둘째, 세계시민주의에 공평한 관찰자로 대표되는 열린 공평성 개념을 적용하여 세계시민주의를 더 정교화시키고 당위성을 높일 수 있다. 기존 도덕과 교육과정에서 다루어지는 세계시민주의의 구체적인 내용은 해외원조에 대한 여러 관점들이다. 그러나 이러한 형식적인 분리는 오히려 실천에 대한 시급성과 정당성을 약화시킬 우려가 있다. 또한 롤스의 제도주의적 접근이나 싱어의 공리주의적 접근은 모두 세계시민주의로서 한계를 보인다. 따라서 위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센의 열린 공평성 관점을 교육과정에 명시해야 한다. 열린 공평성은 전 인류의 관점에서 개방적이고 더 합리적인 추론을 추구한다. 이는 공감에만 기초한 이익평등고려의 원칙보다 더 나아간 것이라 볼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seek the citizenship educational implications of Amartya Sen's theory of justice. Sen's theory of justice refers to a strong perception of manifest injustice in common with mankind and aims to promote rational and substantive freedoms based on the perception. This study deals with preliminary considerations to interpret Sen's theory of justice, which is an interdisciplinary character, and then reconstructs into four characteristics from a comprehensive perspective covering the entire Sens theory. First, Sen's theory of justice pursues a realization-focused comparison approach. Second, Sen's theory of justice argues for capability as a substantive freedom. Capability as freedom presupposes the plurality of aspect of freedom. Third, this can interpreted as a social choice theory which is called a 'Sen's liberal paradox', which is treated as another feature. From this moral point of view, the application of social choice theory is also a unique process of Sen's theory of justice. Fourth, The emphasis on public reasoning through social choice theory leads to Sens democracy theory as a specific practice method of justice.
However, Sen's theory of justice shows three limitations. First of all, criticism is raised that criticism of a transcendental institutionalism is based on a wrong interpretation of it, and that the importance of the institution is rather overlooked. Second, several limitations of the concept of capability are also criticized. Capability pursues methodological individualism, so it is difficult to solve social structural problems such as the problem of recognition. In addition, difficulties in actual application such as evaluation are raised because the capability list is not specific. Finally, Sen's democratic method has a problem of emphasizing only public reason without institutional consideration. And due to the lack of careful consideration of deliberation, the existing limitations of deliberative democracy can be pointed out equally.
The fundamental problem with the Sen's theory of justice derived in this study is that the each focus of capability and comparison approach(social choice theory) is fundamentally different. As a result, criticism of practicality is inevitably raised, so even if it is different from Sen's argument, there is a need for specifically presented capability list from the perspective of open impartiality. This is not much contrary to Sen's original intention, and it is possible to resolve the essential conflict between the two approaches, capability and the comparison approach.
Despite some limitations, the extended scope of freedom and the perspective of cosmopolitanism pursued by Sen have great implications for moral and citizenship education. First, the scope of freedom can be expanded from the plurality of aspect of freedom. The freedom covered in the existing moral curriculum is the personal liberty of liberalism and contrasts with the common good of republicanism. However, Sen says that both freedom as non-interference and freedom as non-domination, and also capability, are complementary to each other in terms of the plurality of aspect of freedom. From the plurality of aspect of freedom, the personal good does not necessarily conflict with the common good and can be seek more reasonable and substantive freedom by reflecting more information. Therefore, freedom described in the curriculum should not be treated only as personal liberty, but should be newly described by reflecting the plurality of aspect of freedom. This perspective can also present new criteria for the distributive justice.
Second, it is possible to further refine the concept of global citizenship and increase its legitimacy by applying the concept of open impartiality represented by 'impartial spectator'. Specific examples of cosmopolitanism covered in the existing moral curriculum are several perspectives on foreign aid. However, this ritual technical separation may rather weaken the urgency and legitimacy of aid. In addition, both Rawlss institutional approach and Singer's utilitarian approach show limitations about global citizenship. 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Sen's perspective of open impartiality must be specified in the curriculum. Open impartiality seeks more open and better reasoning from the eyes of mankind. This goes further than the principle of equal consideration of interests based on empathy.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3848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5547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