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儒家 倫理思想의 權論 연구 : The Theories of Quan in Confucian Ethical Thought
朱熹, 伊藤仁斎, 戴震을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황인석

Advisor
김병환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주희(朱熹)이토 진사이(伊藤仁斎)대진(戴震)권(權)시중(時中)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범대학 윤리교육과, 2023. 2. 김병환.
Abstract
This dissertation aims to systematize the Confucian thinkers complex question and responses to the realistic application of moral norms by diachronically studying the theories of Quan(權) in Confucian ethical thought. The existing scholarship on Quan tends to simplify the confucian thinkers questions on the theories of Quan as a correlation between moral norms and moral expediency, that is, the theories of Jingquan(經權). However, this trend needs to be reconsidered when expanding the scope of analysis from Zhu Xis theories of Quan, which is the focus of the existing literature, to Ito Jinsai and Dai Zhens theories of Quan. The theories of Quan, which require sophisticated questioning and response are meaningful because they reaffirm the practicality of Confucian ethics, that is, they inform contemporary ethical decisions and moral education.
Etymologically, Quan in the Analects and the Mencius means weighing. Confucian thinkers expounded the theories of Quan in the form of annotations and commentaries on the references to Quan in Analects and Mencius. These references were the beginnings of the theories of Quan, and also crucial triggers for the ramification of the theories of Quan in subsequent generations. In the Analects, Quan refers to the competence in creatively transforming Li(禮). In the Mencius, Meng Zi associates Quan with the competence in the mean(時中), As well as, the conflict between moral norms. As a result, Meng Zi expanded the theme of Quan.
On the Question of how moral norms can be practically applied, Zhu Xis theories of Quan sets the conflict between moral norms as a major problem. As revealed in his argument with Chen Liang, Zhu Xis theories of Quan is based on moral motivism. In turn, his theories of Quan systematically synthesizes the Han Dynasty Confucian thinkers and Cheng Yis theories of Quan, criticizing social convention that advocate reckless consequentialism in the name of Quan, and admitting the violation of specific moral norms for a higher moral purpose in exceptional circumstances. Thats why Zhu Xi strictly defines who is eligible to exercise Quan and in what situation one can do so. He recognizes the difficulty in clarifying the conflict between moral norms through the his basic stance on the theories of Liqi(理氣), and explains that Quan is an unusual aspect of Li(理). Although Zhu Xi identifies Quan and the mean, his theories of Quan, which presupposes that normal and exceptional situations are distinct, does not conform to the question of the mean. Also, Zhu Xis theories of Quan does not value daily moral judgement because of his rigid requirements for exercise of Quan.
Ito Jinsai and Dai Zhen commonly deny Zhu Xis metaphysics of morals and value actual relationships between humans and their natural desires and emotions. Their theories of Quan are also parts of this philosophical project. They reinterpret Quan as foundational principle of moral practice, not as an expedient. Concernign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moral norms, Ito Jinsais theories of Quan set as a major problem the existence of the Other, who are not reduced to a common human nature. While paying attention to diverse situational context, Ito Jinsai insists that one should apply moral norms that are appropriate for the particular circumstances of the Other. Dai Zhens theories of Quan set as a major problem the situation in which natural desires and emotions are neglected when compulsively applying moral norms. In turn, he criticizes that the doctrine of Zhu Xi is incapable of exercising Quan. Dai Zhen emphasizes that desires can be harmoniously and mutually satisfied by learning and practicing external Li(禮).
The theories of Quan(權) in Confucian ethical thought can be classified based on the Confucian thinkers questioning and valuing of Quan, and their characteristics can be clearly distinguished through a mutual comparison. By presenting a comprehensive structure of the theories of Quan in Confucian ethical thought, we can provide an effective learning of the theories of Quan in the context of moral education. School curriculums of moral education treat narrowly the problems related to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moral norms. If the discussion of the theories of Quan is introduced here, students understanding and exploration of the difficulty of moral practice can be expanded. This is also in line with the fundamental goal of moral education. In addition, if the theories of Quan is introduced in the current Confucian ethical thought, which concentrates on the theories of heart-mind(心性) and self-cultivation(修養), they can highlight the practical aspect of Confucian ethical thought, which emphasize the flexibility of applying moral norms to a specific situation or context.
본고는 유가 윤리 사상의 권론을 통시적으로 고찰함으로써, 도덕규범의 현실적 적용에 관한 유가 사상가들의 복합적인 문제 설정과 응답을 재구성하고자 하였다. 기존의 연구는 유가 윤리 사상 권론의 문제 설정을 도덕규범과 임기응변적 조치 간의 관계, 즉 경권론으로 획일화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기존 연구에서 주된 분석 대상이었던 주희의 권론에서 나아가 이에 비판적인 이토 진사이와 대진의 권론까지 분석의 범위를 확장해 볼 때, 이러한 경향은 재고될 필요가 있다. 권론의 복합적인 문제 설정과 응답은 윤리학과 도덕 교육의 시의성 있는 주제와 접속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유가 윤리 사상의 현재적 가치를 재확인하는 의의가 있다.
어원적으로 볼 때, 『논어』와 『맹자』에 등장하는 권은 저울질을 의미한다. 권론은 『논어』와 『맹자』에 등장하는 권의 용례에 대한 주석과 해설의 형식으로 개진되었다. 이 용례들은 권론의 시초적 문제 설정이자, 후대에 권론이 분기하게 되는 중요한 계기이기도 하다. 『논어』에서 권은 예(禮)의 창조적 변형을 기획할 수 있는 역량을 의미한다. 『맹자』에서 권은 『논어』의 연장선에서 시중(時中)의 역량과 연계된다. 동시에, 본격적으로 권이 도덕규범 간의 충돌 문제와 연계되면서 그 논점이 확장되었다.
도덕규범의 현실적 적용 국면에서, 주희의 권론은 도덕규범 간의 충돌을 주요한 문제로 설정한다. 진량과의 논변에서 드러나듯이, 주희의 권론은 그의 동기주의적 윤리관에 기반해있다. 이에 따라, 주희의 권론은 한대 유가와 정이의 권론을 체계적으로 종합하여, 도덕적 편의주의와 결과주의를 권의 이름으로 옹호하는 세태를 비판한다. 또한 상위의 도덕적 목적에 따라 특정한 도덕규범을 위배하는 권의 행사를 제한적으로 인정한다. 주희가 권 행사의 상황·자격 요건을 엄격하게 설정하는 이유는 그 때문이다. 주희는 리기론의 기본적인 입장을 통해서는 도덕규범 간의 충돌을 해명할 수 없다는 난점을 인식하고 권은 리가 실현되는 특수한 양상이라고 설명한다. 주희는 권과 시중을 동일시하지만, 평상시와 비상시의 구분을 전제로 하는 주희의 권론은 시중의 문제 설정과 부합하지 않는 난점이 있다. 또한 권의 행사 자격을 엄격하게 설정함으로써 도덕적 재량권을 적극적으로 옹호할 수 없다는 난점 또한 있다.
이토 진사이와 대진은 공통적으로 주자학의 도덕형이상학을 부정하고 실제적 인간관계 그리고 그들의 자연스러운 욕망과 감정을 중시한다. 이토 진사이와 대진의 권론 또한 이러한 사상적 기획의 연장선에 있다. 이들의 권론에서 권은 임기응변이 아니라 도덕 실천의 일반적인 원칙으로 재해석된다. 도덕규범의 현실적 적용 국면에서, 이토 진사이의 권론은 본성적 동일성으로 환원되지 않는 타자의 존재를 주요한 문제로 설정한다. 현상의 다원성에 주목하면서, 이토 진사이는 타자의 구체적인 처지를 고려해 시의적절하게 도덕규범의 적용 방식을 변용해야 한다고 말한다. 대진의 권론은 도덕규범의 권위적이고 강제적인 적용과정에서 인간의 자연스러운 욕망과 감정이 경시되는 사태를 주요한 문제로 설정한다. 대진은 외재적 규범인 예를 학습하고 실천함으로써 욕망을 사회적으로 조화롭게 충족할 수 있다고 말한다. 나아가 주자학을 권을 행하지 못하는 사상이라고 비판한다.
주희, 이토 진사이, 대진의 권론은 주요한 문제 설정과 그에 따른 권의 위상을 기준으로 큰 틀에서 분류된다. 나아가 권론들의 상호 비교를 통해 각각의 특징이 명확히 드러난다. 이를 통해 유가 윤리 사상 권론의 종합적인 구도를 제시할 수 있다. 권론이 다루는 문제는 도덕규범의 현실적 적용에 관한 복합적인 문제들이며 이러한 문제 상황은 유가 윤리 사상에 국한되지 않는 윤리학과 도덕 교육의 보편적인 문제이다. 그러나 현행 도덕과 교육과정에서 유가 윤리 사상의 권론은 언급되지 않고 있다. 도덕과 교육과정에 권론의 논의가 도입된다면 도덕 실천의 현실적인 곤경에 대한 이해와 탐구의 지평을 넓힐 수 있다. 또한 유가 윤리 사상 서술에 권론의 논의가 도입된다면, 유가 윤리 사상의 실천 지향적 면모를 부각할 수 있다. 이러한 방향은 도덕교육과 인성교육의 근본적인 목표와도 부합한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3850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7128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