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자밀 자키(Jamil Zaki) 공감 이론의 도덕 교육적 함의 연구 : Building empathy in moral education for young learners through the lens of Jamil Zaki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엄국영

Advisor
정창우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자밀 자키공감공감의 변화 방법구성된 감정 이론공감의 정확성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범대학 윤리교육과, 2023. 2. 정창우.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critical analysis on Jamil Zaki's perspective on empathy, giving implications on moral education. Past studies of empathy in moral education have focused on fixism, which defines emotion and empathy as unchangeable traits. On the other hand, Zaki refers to emotion and empathy as malleable traits, meaning there is a possibility of improving students' ability to empathize with others. However, there have been few studies related to malleability of empathy. In addition, most studies on the Moral/Ethics curriculum are based on the definition of empathy from Martin Hoffman, which is limited to empathic distress. However, according to Zaki's perspective, it is critical to think inclusively about empathy in terms of three elements: experience sharing, mentalizing, and empathic concern. Thus, studies criticizing the 2015 revised Moral/Ethics curriculum in the lens of Zaki are in need.
His argument consists of three concepts on empathy. First, he mentions the malleability of human nature, explaining human nature is continuously changing. Second, he defines empathy as an umbrella term to cover three elements: experience sharing, mentalizing, and empathic concern. Lastly, he argues that empathy is a result of making decisions based on psychological tuning. Thus, based on three concepts of empathy, people can choose empathy through conscious interventions. For example, two kinds of intervention can be followed: one is fast-twitch change, which is unlikely to endure, such as nudge and contact, and the other is slow-twitch change, which is durable, such as meditation, mindset and social norms.
Two aspects need to be discussed to adopt Jamil Zaki's argument to moral education, when it is adopted to moral education. First, his concept of empathy is suitable for moral education because it satisfies the two necessities: morality, referringan ability to solve problems considering socio-cultural needs. and malleability, meaning the ability to be easily changed with a wide range.
Next, the concept of empathic accuracy needs to be extended into 1) the accuracy of experience sharing 2) the accuracy of mentalizing and 3) the accuracy of empathic concerns. This is because Jamil Zaki's understanding of empathic accuracy is limited to only one aspect, that is, mentalizing. However, based on the theory of constructed emotion, emotions are social reality. People construct their instances of emotion as a conceptual system within specific social contexts.
Jamil Zaki's argument provides three implications. First, the moral educational curriculum should embrace the mobilist view of empathy. The guidelines in the 2015 revised Moral/Ethics curriculum underestimate the malleability of human nature. Second, in terms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t is important to develop question strategies to improve empathic accuracy. Finally, instructional models of utilizing social norms need to be developed to build empathy for young learners.
본 연구는 자밀 자키(Jamil Zaki)의 공감 이론을 비판적으로 이해하고 그의 이론이 도덕과 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덕과 교육에서 활용하는 윤리학 및 도덕심리학 이론들은 감정 및 정서, 공감은 변화할 수 없는 기질이라는 심리학적 고정주의에 기반하고 있다. 그러나 자키는 이를 비판하면서 심리학적 유동주의의 관점에서 공감의 잠재적인 변화가능성을 긍정한다. 또한, 지금까지 이루어진 공감에 대한 논의는 주로 호프만의 이론에 근거했다. 그러나 호프만읜 이론은 공감을 공감적 고통의 차원에서만 다룬다는 점에서 그 한계가 뚜렷하다. 반면, 자키는 공감을 정서적, 인지적, 동기적 측면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개념으로 규정한다. 이처럼 자키의 이론은 기존의 도덕과 교육에서의 공감에 대한 논의가 지닌 한계를 비판하고, 이를 극복할 수 있는 시사점을 준다는 점에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자밀 자키의 이론은 세 가지 주장으로 이루어진다. 첫째, 인간의 본성은 계속해서 변화한다는 심리학적 유동주의의 관점에서 공감을 이해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둘째, 공감은 경험 공유(정서적 측면), 정신화(인지적 측면), 공감적 염려(동기적 측면)를 포함하는 포괄적인 개념이다. 셋째, 공감은 자신이 겪고 있는 심리적 경험을 재빠르고 민첩하게 변화시키는 심리적 조율을 통한 선택의 결과이다. 자키는 이를 바탕으로 의도적인 개입을 통해서 사람들이 공감을 선택하도록 변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개입에는 넛지와 같이 공감을 변화시키지만 그 효과가 지속되지 않는 단기적 변화 방법과 사회적 규범을 활용한 접근과 같이 그 효과가 장기적으로 지속되는 장기적 변화 방법이 있다.
이러한 자키의 공감 이론이 도덕과 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찾기 위해서는 다음 두 가지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 첫째, 자키의 공감 개념이 도덕성과 변화 가능성이라는 조건을 충족하는지 검토해야한다. 도덕성이란 사회적 배경과 시대적 요구를 고려하면서 도덕적인 행동을 할 수 있는 경향성을 의미하고, 변화 가능성은 잠재적인 변화의 범위가 넓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자키가 제시하는 넓은 의미의 공감 개념은 이러한 조건을 충족하므로 도덕과 교육에 적합한 대상이라고 할 수 있다.
두 번째, 공감의 정확성을 세 가지 차원에서 이해해야 한다. 자키는 공감의 정확성을 정신화의 정확성으로 이해한다. 그러나 구성된 감정 이론에 따르면, 사람들은 개인적 경험, 사회·문화적 배경의 차이로 인해 같은 감정 개념을 사용해서 서로 다른 감정 사례를 구성한다. 이를 통해 공감을 이해한다면, 공감의 정확성 문제는 경험 공유의 정확성, 정신화의 정확성, 공감적 염려의 정확성으로 확대되어야 한다. 이 세 가지 정확성이 모두 확보되어야 비로소 도덕적으로 공감할 수 있다.
자키의 공감 이론이 도덕과 교육에 주는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과정의 측면에서 심리학적 유동주의를 수용해야 한다. 2015개정 도덕과 교육과정에는 심리학적 유동주의와 고정주의가 혼재되어 있으므로 이를 수정할 필요가 있다. 둘째, 공감의 단기적 변화 방법을 활용한 교수·학습 방법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 공감의 정확성을 기르기 위한 질문 및 발문 전략을 개발해야 한다. 셋째, 공감의 장기적 변화 방법을 활용한 교수·학습 모형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 사회적 규범을 활용한 공감의 변화 방법을 도덕과 교육에 맞게 적용한 공감의 교수·학습 모형을 개발해야 한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3851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6122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