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자전거 모빌리티 구성과 실천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Construction and Practice of Cycling Mobility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박찬우

Advisor
권순용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자전거모빌리티행위자-네트워크 이론라이프스타일 스포츠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범대학 체육교육과, 2023. 2. 권순용.
Abstract
본 연구는 오늘날 한국사회에서 자전거를 타는 사람들을 주목하고 그 현상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모빌리티 이론을 중심으로 자전거 모빌리티의 구성과 실천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는 2021년 7월부터 2022년 12월까지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2년 이상 자전거를 이용하여 통근/여가/실내운동 참여 경험을 갖고 있는 34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심층 인터뷰와 참여관찰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크게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자전거 모빌리티를 작동시키는 주요 구성요소를 살펴보았다. 자전거 모빌리티 구성요소를 살펴보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행위자-네트워크 이론을 차용하여 자전거 모빌리티를 구성하는 주요 구성요소를 공간, 기계(자전거), 행위자로 구분하고, 각각의 구성요소를 살펴보았다. 자전거 도로의 생성과 유형은 자전거 모빌리티를 발생시키는데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반면, 자전거 도로의 소멸은 자전거를 타는 사람들에게 부정적인 경험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또한 자전거 모빌리티와 기계의 관계에서 자전거의 유형은 이동할 수 있는 거리의 차이로 나타나고 있었으며, 장비의 차이는 참여자들에게 서로 다른 경험을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모빌리티와 행위자의 관계에서 최근 강조되고 있는 건강에 대한 중요성과 라이프스타일의 변화가 자전거를 타는 행위와 긴밀한 관계를 맺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둘째, 자전거 모빌리티의 실천은 자전거를 타는 사람들의 목적에 따라 통근이동, 여가이동, 가상이동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자전거 통근은 모빌리티의 일상화로 거리, 도로, 시설 등이 중요한 고려사항으로 여겨지고 있었으며, 자전거 통근의 긍정적 경험을 통해 습관이 형성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자전거 여가/여행은 모빌리티의 확장으로 지속적으로 자전거를 타는 것은 물리적 거리의 확장과 경험의 확장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가상이동은 현실에서의 다양한 제약으로부터 자유롭게 하며 보다 운동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 주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셋째, 자전거 모빌리티의 사회적 의미는 위험의 이중구조, 속도의 위계화, 사회적 규범의 부재로 나타나고 있었다. 자전거와 관련하여 위험에 대한 인식은 두 가지 측면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자전거에 대한 진지함의 차이는 위험에 대한 인식의 차이로 나타나고 있었으며, 이는 자전거를 타는 방식, 장비 등의 차이로 나타나고 있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 자전거와 관련된 다양한 갈등은 속도에 따른 것으로 이해할 수 있었다. 이는 단순히 자동차와 자전거의 갈등뿐만 아니라 자전거와 보행자, 자전거와 자전거 사이에도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자전거와 관련된 규범은 주로 동호회 위주로 생성되고 있었으며, 도로를 공유하는 다양한 사람들이 공유하는 규범은 부재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자전거 모빌리티의 구성과 실천을 이해하고 분석하는 작업은 그동안 추상적인 수준으로 논의된 모빌리티 이론을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서 분석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또한, 그동안 자전거와 관련된 연구가 교통 또는 스포츠/여가활동으로 분리되었다는 점에서 이를 극복하기 위한 시도라는 점에서 시사점이 있다.
This study attempts to pay attention to people who cycles in South Korea. To be more specific, this study examines cycling mobilitys composition and practical aspects focusing on mobility theory.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July 2021 to December 2022. 34 research participants who have cycled for commute/leisure/indoor activity for more than 2 year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interviewed and observed.
The thre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ed. Firstly, the construction that makes cycling mobility was analyzed. This study adopted Actor-Network Theory to classify cycling mobilitys key construction as space, bicycle, actor and analyze how each construction is related to mobility. To be specific, the space, that is cycling road, was affinitive with cycling mobility. Because of that, people who cycles recognize the dissolution of cycling road as negative experience. Also, the type of bicycle and difference of equipment were related to the moving distance and experience of participants. Lastly, the mobility shows strong connection with the importance of health and change of lifestyle of the actor.
Secondly, peoples purpose of cycling was analyzed. The purpose have been assorted into commute, leisure and virtuality. Commuting through cycling is routinization of mobility. Through positive experiences, participants habituate cycling commute and street, road, facilities were considered critical elements. Cycling leisure/travel is understood as an extension of mobility. The consistent cycling is an extension of physical distance and experience. The virtuality provides relatively free and focusable environment to cycle compared to reality that holds various restrictions.
Thirdly, the social implication of bicycle mobility was categorized as dual structure of risk, hierarchy of speed and lack of social norms. The risk related to bicycle is shown through two aspects. The seriousness of riding bicycle has been classified through the awareness of danger. The awareness of danger could be shown through the way of cycling or the gears the rider uses. Also, various conflicts related to cycling was shown to be related with speed. This conflict could be between bicycle and car, bicycle and pedestrian or even bicycle and bicycle. Lastly, the social norms regarding cycling have been generated through cycling clubs. Because of that, the norms among every type of people who shares road is missing.
This study provides certain implications considering the analyzation and understanding of cycling mobility construction and practice was done through specific case. Also this study has overcame the fragmentary viewpoint against cycling mobility that categorizes it as traffic or sports/leisure.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3873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7141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