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전통무예의 스포츠화 연구 : Research on Sportfication of Traditional Martial Arts
기사(騎射)를 중심으로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권순용-
dc.contributor.author성제훈-
dc.date.accessioned2023-06-29T02:18:49Z-
dc.date.available2023-06-29T02:18:49Z-
dc.date.issued2023-
dc.identifier.other000000177183-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93874-
dc.identifier.uri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7183ko_KR
dc.description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범대학 체육교육과, 2023. 2. 권순용.-
dc.description.abstractCharacteristics of the culture of Horseback Archery seen in Korean history were developed on the natural environment of the forest area. This was recognized as a physical activity that was clearly distinguished from horseback archery seen in Chinese culture and nomadic culture.
In particular, in the history of China, the peoples who existed in the east of them were traditionally regarded as superior in horseback archery. In this study, the historical characteristics of such horseback archery were revealed. And exploratory research was conducted for figuring out possibility of horseback archery, a traditional Korean martial art, as sport.
As a result of analyzing documents and relics before the Three Kingdoms period, it was found that the physical activity of horseback archery in Korean history was staged in forest areas, unlike agricultural and nomadic peoples. With the development of horses, harnesses, bows and arrows suitable for the natural environment of the forest area, the continuous horseback archery method in which arrows are measured and shot at a high speed in proportion to the speed of the prey and the horse, as well as the tactic of shooting multiple arrows at one target and multiple targets at the same time. It was shown that the multi-shooting method of shooting arrows was possible.
The combination of advanced horsemanship and archery in the nor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maintained consistently until the Joseon Dynasty. More and more detailed documents are beginning to appear in Goryeo history than in the literature records of the Three States period. Goryeo people systematically learned horseback riding and archery from a young age which formed the basis of martial arts in the Goryeo Dynasty, and when they received military training as a group, they demonstrated their power on the actual battlefield without fail. Looking at the combat records of the Goryeo Dynasty, most of the cases in which a small numbers defeated a large number of enemies in a crisis situation were mostly done by cavalry of horseback archery.
As a result of attempting convergence with the Chinese military system focusing on horseback archery hunting of the Goryeo Dynasty, large-scale military training by King Kangmu and the institutionalization of talent selection called Mugwa were established. In this way, the physical activity of horseback archery became the basis of national institutionalization, and the individual's ability, which was expressed as good horseback archery(善騎射) before the Three States period, became a national skill in the Joseon Dynasty.
In the middle of the Joseon Dynasty, horseback archery were combined with science and technology. The opportunity came from the development of artillery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and it played a role in war like firearms such as rifles. In this way, horseback archery continued as a traditional martial art until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artillery, which was accelerated by the series of wars and domestic conflicts, the horseback archery continued as the national skill of Joseon, although a functional change was made from the main role of the battlefield to the role of an assistant.
What is interesting is that modern sports have been introduced, traditional martial arts have been reinterpreted in modern times, and horseback archery is being developed as an individual sporting event. Horseback archery reappeared by the civilians in the process of reinterpreting traditional martial arts in modern time period of Korea. And because of this strong cultural character, it shows a different character from existing sports events.
The characteristic of the tendency as a sporting event or game of horseback archery lies in its cultural inclusiveness. These characteristics are consistent with the characteristics that appeared in the process of analyzing the history of horseback archery in this study. In the natural environment of the Korean Peninsula, it has achieved convergence with other cultures and has developed in a complex form with science and technology. And in the process of becoming sporting event or game through the modern era, various cultures were able to harmonize together, transcending national boundari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urrent sporting event or game of horseback archery are that the players participating in the event have various cultural backgrounds, and that men and women of all ages can compete fairly in one place. Given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horseback archery, it has enough value as sport in modern society.
As a result of exploring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horseback archery and analyzing its characteristics, it necessary to reexamine traditional martial arts and sports in terms of space, object, and time. The concept as martial art is necessary which that can be practiced in an eco-friendly outdoor space away from indoors, and can be practiced not only in close contact between people but also at a distance. In addition, rather than focusing on physical strength, the concept can give a sense of tension in the moment.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this will be progressed by convergence with the latest technologies such as virtual reality, augmented reality, and mixed reality metaverse.
-
dc.description.abstract한국의 역사에 보이는 기사의 문화적 특성은 산림지역이라는 자연환경 위에서 전개되었다. 이는 중화의 문화, 유목문화에 보이는 기사와 명확히 구분되는 신체활동으로 인식되었다. 특히 중화의 역사에 자신들의 동쪽에 존재하는 민족들은 전통적으로 기사에 뛰어난 것으로 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기사의 역사적 특성을 밝히고, 한국의 전통무예인 기사가 스포츠화될 가능성을 탐색해보았다.
삼국시대 이전의 문헌과 유물들을 분석한 결과 한국의 역사에서 기사라는 신체활동은 농경민족, 유목민족과 달리 산림지역을 무대로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산림지역의 자연환경에 적합한 말과 마구, 활과 화살이 발달하여 사냥감과 말의 속도에 비례하여 빠른 속도로 화살을 재어 쏘는 연속기사법(連續騎射法)과 또한 한 목표를 여러 번 활을 쏘는 전법과 동시에 여러 개의 목표에 활을 쏘는 다연발기사전법(多連發騎射戰法)이 가능함이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한반도 북부에서 고도의 기마술과 활쏘기의 조합은 선기사(善騎射), 중기사(重騎射), 상기사(尙騎射)라는 전통으로 남아 조선
시대까지 일관되게 유지된다.
삼국시대의 문헌기록 보다 고려사에 점점 더 자세한 기사의 기록이 나타나기 시작한다. 고려인들이 어렸을 때부터 체계적으로익힌 기마술과 활쏘기는 고려시대 무예의 근간을 이루고 있었고, 이들이 단체로 군사훈련을 받으면 실제 전쟁터에서 그 위력을 어김없이 발휘하였다. 고려시대의 전투기록을 볼 때 위기의 상황에서 소수로 다수의 적을 격퇴한 경우는 대부분 기병들의 기사였다.
고려시대의 기사사냥을 중심으로 중국식 군사제도와의 융복합을 시도한 결과 강무(講武)라는 왕을 중심으로 하는 대규모 군사훈련과 무과(武科)라는 인재선발의 제도화가 진행되었다. 이렇게 기사라는 신체활동이 국가제도화의 근간이 되며, 삼국시대 이전부터 선기사(善騎射)라고 표현된 개인의 능력은 조선시대에는 국기(國技)가 되었다.
조선시대 중반에 기사는 과학기술과의 복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 계기는 임진왜란 이후 화포의 발달이 이루어지자 조총과 같은 화기와 같이 전쟁에서 역할을 하게 되었다. 이렇게 기사는 조선시대의 최후까지 전통무예로 이어졌다. 임진왜란 이후 정묘, 병자 호란으로 가속화된 화포의 발달과 함께하여 비록 전장의 주역에서 보조의 역할로 기능적 변화가 이루어지기는 했지만, 기사는 조선의 국기로서 지속되었다.
흥미로운 점은 근대스포츠가 도입되고 현대에 전통무예에 대한 재해석이 이루어지며 기사는 개별 종목으로서 경기화가 진행되고 있다는 점이다. 기사는 현대의 한국에서 전통무예가 주목받으며 재해석 되는 과정에서 민간에 의해 다시 등장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문화적 성격이 강하기에 기존 스포츠 종목들과 무예와는 다른 성격을 보인다.
기사의 경기화에 보이는 특징은 문화적 포용성에 있다. 이러한 특징은 본 연구에서 기사의 역사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특성과 일치한다. 한반도라는 자연환경 안에서, 다른 문화와도 융합을 이루어내었고, 과학기술과도 복합적인 형태로서 발전해왔다. 그리고 근현대를 거쳐 경기화 되는 과정에서는 국가를 초월하여 다양한 문화가 함께 어우러질 수 있었다.
현재 기사경기에 보이는 특성은 기사대회에 참가하는 선수들이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가지고있으며, 남녀노소가 한자리에서 공정하게 경기를 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기사의 문화적 특성을 보았을 때 현대사회에서 스포츠로서의 가치는 충분히 있다고 본다.
기사의 역사적 전개를 살피며 그 특성을 분석한 결과 공간, 대상, 시간적인 측면에서 전통무예와 스포츠를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실내(Indoor)에서 벗어나 친환경적인 야외 공간(Out Door)에서 수련할 수 있으며, 사람 간의 밀접 접촉뿐 아니라 거리를 두고 수련할 수 있으며, 체력을 위주로 하기보다는 찰나의 순간에 이루어지는 긴장감을 줄수 있는 무예와 같은 개념 역시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부분은 향후 가상현실(Virtual Reality),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더 나아가 혼합현실(Mixed Reality) 메타버스 등의 최신 기술과의 접목으로도 진행될 것으로 본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5
3 선행연구의 검토 7
4. 연구방법 13
5. 용어의 정의 16

Ⅱ. 삼국시대 기사(騎射)의 문화적 특징 25
1. 삼국시대 이전 기사(騎射)의 문화적 배경과 특징 25
1) 기사가 발생한 지역의 지리적 특징 25
(1) 대초원 유목생활과 기사의 관계 25
(2) 산림지역 반농반목 생활과 기사의 관계 27
2) 좋은 말의 생산과 기마술의 발달 과정 29
(1) 초원에서 말의 생산과 기마술의 발달 29
(2) 산림지역에서 말의 생산과 기마술의 발달 31
3) 군사 전술로서 기사의 발달 33
(1) 대초원에서 군사 전술로 발달한 기사의 특징 33
(2) 산림지역에서 군사 전술로 발달한 기사의 특징 35
2. 삼국시대의 문헌에 보이는 기사(騎射)의 특징 39
1) 삼국시대 기사의 전통적 특징 39
(1) 삼국시대 기사의 전통적 공간 범위 40
(2) 삼국시대 기록에 보이는 기병의 특징 42
(3) 삼국시대 선기사(善騎射)의 전통적 특징 44
2) 삼국시대 기마술의 특징 44
(1) 기사 복식의 전통적 특징 44
(2) 마종과 기마술의 관계 46
(3) 마구로 본 기마술의 특징 48
3) 삼국시대 활쏘기의 특징 51
(1) 유목민에게서 볼 수 없는 활의 특징 51
(2) 삼국시대 활과 화살의 특징 53
(3) 삼국시대 활쏘기의 특징 55
3. 고구려 고분벽화에 보이는 기사법의 특징 58
1) 기사의 위치 변화로 본 기사법의 특징 58
(1) 사냥 장소와 마종으로 본 기사의 특징 58
(2) 사냥감을 추격하는 기사의 특징 60
(3) 사냥감과의 방위로 본 기사의 특징 61
2) 기사의 속도로 본 특징 64
(1) 기사에서 속도의 중요성 64
(2) 연속으로 기사하는 모습의 특징 65
(3) 다수의 사냥감을 동시에 기사하는 장면의 특징 66
3) 몰이사냥 하는 방식으로 본 기사법의 특징 68
(1) 몰이사냥 대상과 기사의 관계 68
(2) 소규모 몰이사냥으로 본 기사법의 특징 79
(3) 대규모 몰이사냥으로 본 기사법의 특징 70
4. 소결 72

Ⅲ. 고려시대 기사(騎射)의 군사무예적 특성 74
1. 고려시대에 전해진 기사(騎射)의 전통적 특성 74
1) 고려에 전해진 마종(馬種)의 특징 75
(1) 말교역으로 본 한반도 북부와의 관계 75
(2) 한반도 북부에서 수입한 말들의 특성 76
(3) 몽골로부터 받아들인 말들의 특성 78
2) 고려에 전해진 활과 화살의 특성 78
(1) 명적과 효시의 전통적 특성 78
(2) 각궁과 호시의 전통적 특성 79
(3) 고려 후기 화살의 특징 80
3) 고려시대 선기사의 특성 81
(1) 중국의 사신이 본 고려의 기사 81
(2) 기사하는 인물들에 대한 평가 84
(3) 선기사(騎騎射)하는 인물들의 특성 86
2. 북방민족과의 전쟁에 보이는 기사(騎射)의 특징 90
1) 거란과의 전투에 보이는 고려 기사의 특징 90
(1) 거란 대비 인재선발 방식으로 본 기사 90
(2) 무인의 전투에 보이는 기사의 특징 92
(3) 거란과의 전쟁 후 군사훈련에 보이는 기사 97
2) 여진과의 전투에 보이는 고려 기사의 특징 98
(1) 여진 대비 군사훈련에 보이는 기사 98
(2) 신기군 창설과 기사의 관계 100
(3) 무인의 전투에 보이는 고려 기사의 특징 104
3) 몽골과의 전투에 보이는 고려 기사의 특징 106
(1) 몽골 대비 별초의 편제에 보이는 전통적 특징 107
(2) 무신정권의 마별초 훈련에 보이는 기사 110
(3) 몽골과의 전투에 보이는 고려 기사의 특징 111
3. 고려 후기 사냥으로 본 기사(騎射) 양상과 특징 114
1) 일상생활 속 사냥으로본 기사의 목적 114
(1) 한반도 북부에서의 기사사냥의 양상 114
(2) 고려의 국제적 지위와 기사사냥의 중요성 117
(3) 무인의 생활에서 기사사냥의 목적 120
2) 무예수련으로 본 기사의 특성 122
(1) 사냥방식에 보이는 무예의 성격 122
(2) 기사 연습 수단으로서의 기사사냥 123
(3) 무인의 무예로서 기사사냥의 특성 126
3) 군사훈련으로 본 기사사냥의 특징 130
(1) 기사사냥이 가진 군사훈련의 성격 130
(2) 몰이사냥 방식으로 본 기사의 위력 131
(3) 대규모 군사훈련으로 본 기사 사냥의 특징 135
4. 소결 139

Ⅳ. 조선시대 기사(騎射)의 변화과정에 보이는 특징 140
1. 고려말 군사훈련에 보이는 기사의 전통적 특징 140
1) 고려말 한반도 북부 기사의 전통적 특징 141
(1) 국내외 정세의 변화와 이성계의 등장 141
(2) 이성계의 지역적 기반을 통해 본 기사의 특징 143
(3) 이성계의 전투에 보이는 기사의 전통적 특징 144
2) 군제 개혁과정에 보이는 기사의 전통적 특징 148
(1) 중국식 군사훈련의 도입과정에 보이는 기사 148
(2) 진법훈련에 보이는 기사의 전통적 특징 150
(3) 왜구의 침입과 군사훈련의 변화 152
3) 고려말 군사훈련에 보이는 기사의 전통적 특징 154
(1) 최영의 기사 사냥으로 본 군사훈련의 특징 154
(2) 우왕의 요동정벌 과정으로 본 기사사냥의 특징 157
(3) 군사훈련의 변화과정에 보이는 기사의 전통적 특징 159
2. 조선전기 기사의 제도화과정에 보이는 기사의 특징 164
1) 여말선초 군제개혁에 보이는 기사의 특징 164
(1) 태조의 즉위교서에 보이는 기사의 양상 165
(2) 정도전이 구상한 강무에 보이는 기사의 특징 166
(3) 정도전 구상한 무과에 보이는 기사의 특징 169
2) 강무의 제도화 과정에 보이는 기사의 특징 172
(1) 조선초 강무의 시행과 한계 172
(2) 강무의 제도화 과정에 보이는 기사의 전통적 특징 174
(3) 군례로서 강무에 보이는 기사의 전통적 특성 176
3) 무과시취의 제도화 과정에 보이는 기사의 특징 178
(1) 조선초 무과시취의 시행 과정에 보이는 기사 178
(2) 기사 시험방식의 변화에 보이는 기사의 전통적 특성 179
(3) 무과시취의 법제화 과정에 보이는 기사의 특징 183
3. 조선후기 기사의 변화과정에 보이는 특징 185
1) 기사의 훈련방식 변화에 보이는 기사의 특징 185
(1) 군사적 장기에 대한 인식 변화에 보이는 기사의 특징 185
(2) 강무제의 시행변화에 보이는 기사의 특징 188
(3) 모구와 삼갑사의 도입으로 본 기사의 특징 190
2) 화포의 도입과정에 보이는 기사의 특징 192
(1) 임진왜란 초기 전투에 보이는 기사의 한계 192
(2) 절강병법의 도입과정에 보이는 기사의 특징 195
(3) 화포의 도입과정에 보이는 기사의 특징 197
3) 화포의 도입이후에 보이는 기사의 특징 199
(1) 전략전술 변화에 보이는 기사의 기능 변화 199
(2) 기병훈련에 보이는 기사의 특징 202
(3) 무과시취에 보이는 기사의 특징 205
4. 소결 209

Ⅴ. 근현대 기사의 스포츠화 가능성 탐색 211
1. 근현대의 스포츠로서 기사(騎射)의 재해석 211
1) '스포츠화'로 본 전통무예의 재해석 211
(1) 문명화과정과 근대스포츠의 특징 214
(2) 기사의 단절과 보사의 근대화 과정에 보이는 특징 216
(3) 양궁의 도입과 궁도의 재해석 과정에 보이는 특징 216
2) 근대 유럽승마의 도입으로 본 기사의 잠재성 탐색 219
(1) 일제강점기 마종의 개량과정에 보이는 특징 219
(2) 경마와 승마대회 개최에 보이는 특징 221
(3) 승마의 도입과정으로 본 기사의 잠재성 222
3) 전통무예의 현대적 재해석 과정에 보이는 기사 224
(1) 국가무형문화재 조사 대상으로서의 기사 224
(2) 국가무형문화재 활쏘기와 기사의 관계성 226
(3) 서울시 문화재 전통군영무예와 기사의 관계성 227
2. 근대스포츠와 구분되는 기사의 문화적 특성 229
1) 지리 환경으로 본 기사의 문화적 특성 229
(1) 한국 기사의 공간적 범위로 본 특징 229
(2) 자연환경과 말(馬)의 관계에 보이는 기사의 특징 232
(3) 인간과 환경의 공존관계로 본 한국 기사 문화의 특징 233
2) 역사적 경험으로 본 기사의 문화적 특성 235
(1) 한국인의 역사인식에 보이는 기사의 특성 235
(2) 무예의 인식에 보이는 기사의 특징 236
(3) 국기(國技) 차원의 인식에 보이는 기사의 특징 238
3) 융복합적 관점으로 본 기사의 문화적 특성 240
(1) 한국 기사의 역사에 보이는 다문화적 특성 240
(2) 두 가지 신체 능력의 융합으로 본 기사의 특징 242
(3) 과학기술과 문화기술과의 복합 측면으로 본 기사의 특징 243
3. 국제경기대회로서 한국 기사의 잠재력 검토 244
1) 무예와 스포츠관련 정책으로 본 기사의 경기화 가능성 탐색 244
(1) 21세기 동시대 스포츠와 무예의 정책적 연관성 244
(2)말산업 육성법으로 본 기사의 경기화 가능성 탐색 247
(3)국제경기대회 지원법으로 본 국제경기화 가능성 탐색 250
2) 실크로드의 문화적 특성으로 본 국제경기대회 가능성 탐색 251
(1) 유네스코 무형유산 등재를 통한 국제협력의 가능성 251
(2) 일본의 야부사메로 본 국제경기대회 가능성 탐색 252
(3) 터키식 기사 콰바크로 본 국제경기대회 가능성 탐색 254
(4) 매사냥으로 본 기사의 국제경기대회 가능성 탐색 256
3) 세계기사선수권대회에 보이는 국제경기대회 가능성 탐색 260
(1) 경기 규정으로 본 기사의 종목화 가능성 탐색 260
(2) 회원국으로 본 경기화 가능성 탐색 261
(3) 기사의 국제경기대회 가능성 탐색 263
4. 소결 267

Ⅵ. 결론 269

참고문헌 275
Abstract 292
-
dc.format.extentxi, 294-
dc.language.isokor-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Horseback Archery-
dc.subjectEquestrianism-
dc.subjectArchery-
dc.subjectCavalry-
dc.subjectHunting-
dc.subjectSortfication-
dc.subject.ddc796-
dc.title전통무예의 스포츠화 연구-
dc.title.alternativeResearch on Sportfication of Traditional Martial Arts-
dc.typeThesis-
dc.typeDissertation-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Sung Je Hoon-
dc.contributor.department사범대학 체육교육과-
dc.description.degree박사-
dc.date.awarded2023-02-
dc.title.subtitle기사(騎射)를 중심으로-
dc.contributor.major스포츠과학-
dc.identifier.uciI804:11032-000000177183-
dc.identifier.holdings000000000049▲000000000056▲000000177183▲-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