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지속가능발전교육(ESD)을 연계한 가정과 교육과정 연구 : A Study on Home Economics Curriculum in connection with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윤소희

Advisor
손상희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지속가능발전교육가정과 교육과정역량지속가능성 핵심역량지속가능발전목표실천적 추론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범대학 협동과정 가정교육전공, 2023. 2. 손상희.
Abstract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ESD) is a global effort to realize the value of sustainability. Accordingly, education has evolved into one of the core vehicles to resolve the challenges of sustainable development. Recommendations in the school education sector propose that principles and values of sustainability be integrated into the curriculum. Furthermore, at the global level, numerous attempts have been made to link school curriculum with ESD. Additionally, the emphasis in the introduction of Koreas revised 2022 curriculum is on preparing students to develop the skills necessary to respond to sustainable development tasks; suggestions have also been made to include values involving sustainable development into the educational objectives and for those values to be reflected and taught in classes for all subjects. However, there are currently no consistent and systematic guidelines for incorporating ESD into the home economics curriculum. Furthermore, many in the field face challenges in teaching the concept of ESD in home economics classes due to a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sustainable development perspective.
Given this context,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ducational objectives and content for designing a home economics curriculum in connection with ESD; producing framework for educational objectives; identifying selection criteria for educational content; identifying and suggesting key competencies in sustainability and educational content at the level of educational objectives based on such framework and selection criteria; and finally, providing the data for practicing ESD in home economics classes at school.
Accordingly, through a literature review, the framework for educational objectives was generated; the directions for selecting educational objectives were reviewed to design the ESD-linked home economics curriculum. On this basis, the selection criteria for educational content were established after examining the guidelines for selecting the relevant educational content. Subsequently, a Delphi survey was conducted to identify key competencies in sustainability as well as the profile of key competencies in sustainability at the educational objective level. Additionally, a framework for key competencies in sustainability was presented by connecting the framework with the practical problem-solving process in the home economics curriculum. Finally, this study analyzed the content elements of the revised 2022 home economics curriculum and derived implications. By reviewing the selection criteria for educational content, it suggested a content system for the revised 2022 home economics curriculum under which ESD values could be incorpora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its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presented the directions for selecting educational objectives and content to design an ESD-linked home economics curriculum. Initially, the researcher explored the directions for selecting educational objectives because the characteristics and details of the educational objectives—important components for designing a curriculum—had to be identified first and the educational content had to be selected based on these educational objectiv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literature review, the educational objective of the ESD-linked home economics curriculum was to cultivate key competencies in sustainability by integrating knowledge, skills, attitudes, and values in the short term; in the midterm, the objective was to take the necessary steps to address issues related to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e long term, the objective was to realize a society where sustainable development could be achieved and, ultimately, achieve well-being for all by building environmental, economic, and social conditions for individuals and families, thereby contributing to the accomplishment of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Subsequently, the researcher studied the directions for selecting educational content, based on the educational objectives, to design the ESD-linked home economics curriculum, and consequently, the following four criteria for selecting educational content were identified: ① comprehensively reflecting the knowledge, skills, attitudes, and values required to nurture key competencies in sustainability in the process of designing the curriculum; ② expanding the scope of the curriculum to personal behaviors and social participation; ③ connecting the curriculum with the SDGs; and ④ incorporating the perspective of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e curriculum.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it presents a framework for educational objectives and the selection criteria for educational content by exploring the directions for selecting educational objectives and content, thereby establishing standards for internal consistency that can be utilized for designing the ESD-linked home economics curriculum.
Second, with a Delphi survey, this study collected expert opinions and identified key competencies in sustainability within the context of home economics, as well as the profile and framework for key competencies in sustainability. Accordingly, seven key competencies were presented: system thinking, anticipatory thinking, value thinking, strategic think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s, critical thinking—reflection, and practical problem-solving competency. Additionally, 20 specific key competencies in sustainability were identified and suggested. Therefore, by employing key competencies in sustainability in practical problem-solving, this study presented the framework for key competencies in sustainability, which is a combination of interconnected key competencies in sustainability from a comprehensive perspective. This helps resolve problems and take the best course of action by the process of practical reasoning in the context of sustainable development-related challenges.
This study is also significant as it provided a reference for selecting educational objectives and content by suggesting key competencies in sustainability and its profile thereof. Furthermore,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presented the framework for key competencies in sustainability by connecting these competencies with the practical problem-solving process in the home economics curriculum; therefore, it defined key competencies in sustainability as a group of interconnected concepts in the problem-solving process, rather than a list of fragmented items.
Third, this study analyzed the content elements of the revised 2022 home economics curriculum and the content system of the curriculum, as well as suggested the content system for the revised 2022 home economics curriculum in connection with ESD. According to the analysis, connections with key competencies in sustainability, connections with SDGs, and perspectives on sustainable development were observed only in some content elements; contrastingly, no content elements could be expanded into social participation, indicating that the revised curriculum is still insufficient and inappropriate for ESD.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proposed educational content from the perspective of sustainable development to be incorporated into the content of the ESD-linked home economics curriculum. Under such curriculum, rather than simply work on, and search for solutions at the individual and family level, students could comprehensively develop the seven key competencies in sustainability, and participate in social activities with an interest in the challenges faced by the community, while communicating and interacting with the community. All this was made possible by the curriculums connection with the SDGs, the pursuit of coexistence and harmony based on temporal and spatial relationships, and an integrated perception of environmental, economic, and social dimensions.
Moreover, in presenting the content system for the ESD-linked revised 2022 home economics curriculum, this study confirmed the possibility of connecting the content elements with key competencies in sustainability; it suggested that the practical problem-solving competency, a meta-competency for the key competencies in sustainability, should be placed at a higher level of structure along with key ideas.
Finally,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it proposes a content system to practic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e educational field in connection with the revised 2022 home economics curriculum. Additionally, the content system suggested in this study reflected the connection between content elements and key competencies in sustainability as well as the practical problem-solving competency presented as being at a higher level of structure. Consequently, this study provided implications for the selection of educational content as well as the method of presenting educational cont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applied in the educational field and at school as follows:
These findings could serve as the basis for establishing educational objectives, selecting educational content, and designing instructional and learning courses in the process of designing the revised 2022 home economics curriculum for ESD for home economics classes at schools. Additionally, the profile for key competencies in sustainability could be utilized as the criteria for establishing specific targets and selecting the educational content required to cultivate these key competencies in sustainability. Furthermore, it is hoped that the framework for key competencies in sustainability would offer valuable implications on the interactions of the key competencies in sustainability throughout the process of resolving issues related to sustainable development and the understanding of how such competencies are developed; this could be examined and incorporated in the instructional and learning courses.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limitations:
First, this study examined the directions for selecting educational objectives and content, which are the components of the curriculum. However, it did not present comprehensive directions for a series of processes, including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assessment. In this regard, further research can explore and identify every element of the curriculum.
Second, this study did not classify and distinguish the types and hierarchy of the key competencies in sustainability, nor did it present an in-depth analysis of those competencies depending on the school level. Therefore, future studies should examine the key competencies in sustainability more specifically and analyze those competencies according to the school level.
Third, in suggesting the educational content for the ESD-linked home economics curriculum, the connection between content elements and the key competencies in sustainability was presented based on the profile for the key competencies in sustainability. However, no clear conceptualization was performed for the relationship. Thus, future research on this issue should have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designing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지속가능발전은 지속가능성의 가치를 실현하기 위한 전 지구적 차원의 노력으로, 교육은 지속가능발전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핵심적인 수단으로 발전해 왔다. 학교 교육에서도 지속가능성의 원칙과 가치를 학교 교육과정에 통합할 것을 권고하고 있으며, 세계적으로 지속가능발전교육을 학교 교육과정에 연계하기 위한 시도들을 이어가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에서 지속가능발전 과제에 대한 대응 능력을 개정 중점 사항으로 강조하고 있으며, 지속가능한 발전이 포함된 가치를 교육목표에 포함하고, 모든 교과에 연계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지속가능발전교육을 가정교과에 연계하기 위한 체계적이고 일관성 있는 지침이 부재하고, 지속가능발전 관점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실제 학교 현장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을 가정교과에 연계하여 실행하는 것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으며, 연구의 목적은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연계한 가정과 교육과정 설계를 위한 교육목표와 교육내용의 선정 방향을 고찰하여 교육목표 프레임워크와 교육내용 선정 준거를 도출하고, 이에 근거하여 교육목표 차원의 지속가능성 핵심역량을 규명하고 교육내용을 제안하여, 실제 가정과 수업 현장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실행하는데 활용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문헌연구를 통해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연계한 가정과 교육과정 설계를 위한 교육목표의 선정 방향을 고찰하여 교육목표 프레임워크를 도출하였고, 이에 근거하여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연계한 가정과 교육과정 설계를 위한 교육내용의 선정 방향을 고찰하여 교육내용 선정 준거를 마련하였다. 다음으로, 델파이 연구를 통해 교육목표 차원의 지속가능성 핵심역량 및 지속가능성 핵심역량 프로파일을 제안하였고, 지속가능성 핵심역량을 가정교과의 실천적 문제해결 과정에 연계하여 지속가능성 핵심역량 프레임워크를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2022 개정 가정과 교육과정의 내용요소를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고, 교육내용 선정 준거를 반영하여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연계한 2022 개정 가정과 교육과정의 내용체계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와 그에 따른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연계한 가정과 교육과정 설계를 위한 교육목표와 교육내용의 선정 방향을 제시하였다. 먼저 교육목표의 선정 방향을 고찰하였는데, 교육과정을 설계하는 데 있어서 교육과정의 구성요소인 교육목표의 성격과 내용을 밝히는 작업부터 선행될 필요가 있으며, 교육목표는 교육내용 선정의 근거가 되기 때문이다. 문헌연구를 통해 고찰한 내용을 종합해 보면,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연계한 가정과 교육과정 의 교육목표는 단기적으로 지식, 기능, 태도·가치를 통합하여 지속가능성 핵심역량을 함양하는 것이고, 중기적으로 지속가능발전과 관련된 문제해결을 위한 행동을 취하는 것이며, 장기적으로 SDGs 달성에 기여함으로써 지속가능발전이 가능한 사회를 실현하고 궁극적으로 개인·가족을 둘러싼 모두를 위한 환경적, 경제적, 사회적 조건을 형성하는 것 즉 웰빙에 이르는 것으로 밝혀졌다.
다음으로 교육목표에 근거하여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연계한 가정과 교육과정 설계를 위한 교육내용의 선정 방향을 고찰한 결과, ① 지속가능성 핵심역량 함양에 요구되는 지식, 기능, 태도·가치의 총체적 반영 ② 개인적 행동과 사회적 참여로의 확장 ③ SDGs 연계 ④ 지속가능발전 관점 반영을 포함하는 4개의 교육내용 선정 준거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교육과정의 구성요소인 교육목표와 교육내용의 선정 방향을 고찰하여 교육목표 프레임워크와 교육내용 선정 준거를 제시함으로써,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연계한 가정과 교육과정 설계를 위한 내적 일관성이 있는 준거를 마련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둘째, 델파이 연구를 통해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가정교과 맥락의 지속가능성 핵심역량 및 지속가능성 핵심역량 프로파일과 지속가능성 핵심역량 프레임워크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가정교과 맥락의 지속가능성 핵심역량으로 시스템 사고, 예측, 가치 사고, 전략적, 대인관계, 비판적 사고-성찰, 실천적 문제해결 역량을 포함하는 7개의 지속가능성 핵심역량을 제안하였으며, 지속가능성 핵심역량을 구체적으로 규명하여 20개의 지속가능성 핵심역량 프로파일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지속가능성 핵심역량을 실천적 문제해결 과정에 연계하여 개인·가족을 둘러싼 지속가능발전과 관련된 도전의 맥락에서 실천적 추론의 과정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고 최선의 행동을 취할 수 있도록 하는 통합된 관점의 상호 연관성이 있는 지속가능성 핵심역량의 집합인 지속가능성 핵심역량 프레임워크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지속가능성 핵심역량 및 지속가능성 핵심역량 프로파일을 제안함으로써, 교육목표, 교육내용 선정을 위한 참조체계를 제공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나아가 지속가능성 핵심역량을 가정교과의 실천적 문제해결 과정에 연계하여 지속가능성 핵심역량 프레임워크를 제시함으로써, 지속가능성 핵심역량을 분절적 목록이 아닌 문제해결 과정에서 상호 연계된 집합으로 제시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셋째, 2022 개정 가정과 교육과정 내용체계의 내용요소를 분석하였고,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연계한 2022 개정 가정과 교육과정의 내용체계를 제안하였다. 2022 개정 가정과 교육과정 내용체계의 내용요소를 분석한 결과, 지속가능성 핵심역량과의 연계성, SDGs 연계성, 지속가능발전 관점은 일부 내용요소에서만 확인할 수 있었고, 사회적 참여로 확장되는 내용요소는 전혀 제시되지 않고 있었으며,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실행하기에 여전히 미흡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반영하여,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연계한 가정과 교육과정의 교육내용으로, 7개의 지속가능성 핵심역량이 통합적으로 함양될 수 있고, 개인·가족 차원의 해결방안을 다루는 것에서 나아가 지역사회와 교류하며 지역사회가 직면한 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사회적 참여로 확장될 수 있고, SDGs와 연계되고, 시·공간적 관계성에 기반하여 공존과 조화를 추구하고, 환경, 경제, 사회적 차원을 통합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지속가능발전 관점이 내재된 교육내용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연계한 2022 개정 가정과 교육과정의 내용체계를 제안함에 있어, 내용요소와 지속가능성 핵심역량의 연계성을 제시하고, 지속가능성 핵심역량의 메타역량인 실천적 문제해결 역량을 핵심 아이디어와 함께 상위구조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실제 교육현장에서 2022 개정 가정과 교육과정에 연계하여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실행할 수 있는 내용체계를 제안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나아가 내용요소와 지속가능성 핵심역량의 연계성을 내용체계 안에 제시하고 실천적 문제해결 역량을 상위구조로 제시함으로써, 교육내용 선정뿐 아니라 교육내용 제시 방식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한 학교 현장에서의 활용방안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실제 가정과 교육현장에서 2022 개정 가정과 교육과정에 연계하여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수업을 설계할 때, 교육목표, 교육내용 선정 및 교수·학습 과정 설계를 위한 준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지속가능성 핵심역량 프로파일은 지속가능성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구체적인 목표 지점을 설정하고, 지속가능성 핵심역량 함양에 요구되는 교육내용을 선정하는 기준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지속가능성 핵심역량 프레임워크는 지속가능발전과 관련된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지속가능성 핵심역량이 어떻게 상호작용하여 함양되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학습과정을 포착하여 교수·학습 과정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교육과정의 구성요소인 교육목표, 교육내용의 선정 방향을 고찰하였지만, 교수·학습방법, 평가를 포함하는 일련의 과정에 대한 전체적인 방향을 제시하지 못하였다.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연계한 가정과 교육과정의 전체적인 요소들을 규명하는 연구가 후속연구로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둘째, 본 연구는 지속가능성 핵심역량의 유형과 층위를 구분하지 않았고, 학교 급별로 심화하여 제시하지 못하였다. 지속가능성 핵심역량을 보다 구체화하고 학교 급별로 심화할 수 있는 후속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셋째, 본 연구는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연계한 가정과 교육과정의 교육내용을 제안할 때, 내용요소와 지속가능성 핵심역량과의 연계성을 지속가능성 핵심역량 프로파일에 근거하여 제시하였지만, 내용요소와 지속가능성 핵심역량 간의 명확한 개념화를 제시하지는 못하였다. 이와 관련된 연구는 역량에 기반한 교육과정을 설계하는 데 있어서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며, 후속연구로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3901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6567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