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Essays on Monetary Policies, Housing Markets, and International Capital Flows : 통화정책, 부동산 시장 및 국제 자본 흐름에 대한 논문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형지

Advisor
이재원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Housing boomHousehold creditRental housingMonetary policyInternational capital flowFinancial crisis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회과학대학 경제학부, 2023. 2. 이재원.
Abstract
This dissertation consists of two articles on monetary poicies and housing markets and one article on international capital flows. Chapter 1 analyzes how the effectiveness of monetary policy shocks are affected by leveraged housing boom period, when housing prices have surged with excessive levels of leverage. Threshold SVAR models are estimated on three small open economies - Norway, Korea, and Canada - by using minimum of the standardized real house price gap and household credit gap as a threshold variable. For all countries, the effects of monetary policy shocks on real house prices and output turn out to be more significant and stronger during the boom regime when the both real house price gap and household credit gap are above the threshold value.

Chapter 2 expands the scope of discussion into rental housing markets. In terms of monetary policy transmission mechanisms, the role of homeownership decision channels, where households could decide between mortgaged housing and rental housing, is examined focusing on sticky responses of housing rents to monetary policy shocks. A New Keynesian model incorporated with homeownership channels shows that substitution of mortgaged housing with rental housing after interest rate hikes results in smaller short-term effects of monetary policies but more persistent long-term effects. Rent rigidity, on the other hand, amplfies the short-term effect of monetary policy by suppressing this substitution, but its quantitative effect is limited and temporary.

Chapter 3 examines the effectiveness of post-AFC reforms of AFC economies, which had tightened capital controls since the Asian Financial Crisis (AFC) to decrease the volatilities from international capital flow shocks. By classifying ASEAN+3 economies into AFC economies and Non-AFC economies, Bayesian panel VAR models are estimated on three sub-groups: (i) AFC economies in the AFC episodes, (ii) AFC economies in the GFC episodes, and (iii) Non-AFC economies in the GFC episodes. For AFC economies, the negative effects of net capital outflow shocks on real GDP growth rate during the AFC period become weaker during the GFC period. Furthermore, during the GFC episodes, AFC economies are more resilient to net capital outflow shocks than Non-AFC economies. These findings support the effectiveness of post-AFC reforms to strengthen resilience to capital flow shocks in AFC economies.
본 학위논문은 통화정책 및 부동산 시장에 대한 두 개의 소논문과 국제 자본 흐름에 대한 하나의 소논문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1장에서는 부동산 가격과 가계 부채가 모두 상승하는 레버리지 부동산 호황 국면 (boom regime)과 그렇지 않은 국면 (normal regime)에서 통화정책의 효과가 어떤 차이를 갖는지를 비교분석 하였다. 이를 위해 실질 부동산 가격 갭과 가계 부채 갭의 최소값을 문턱 변수 (Threshold variable)로 사용하여 노르웨이, 한국, 캐나다의 3개 소국 개방 경제에 대해 문턱 구조적 벡터자기회귀모형 (Threshold SVAR model)을 추정하였다. 추정 결과 모든 국가에서 레버리지 부동산 호황 국면 동안 실질 부동산 가격 및 생산량에 대한 통화정책의 효과가 더 크고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2장에서는 임대 주택 시장으로 논의를 확장하였다. 즉 가계가 금리 변동 이후 대출을 통한 주택 보유와 주택 임대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한 주택 소유 결정 채널 (homeownership decision channel)이 통화정책 전달 경로에 미치는 영향을 금리 충격에 경직적으로 반응하는 주택 임대료 (sticky housing rent)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주택 소유 결정 채널을 포함하도록 확장한 뉴케인지언 모형 (New Keynesian model)을 통한 분석 결과 가계들이 금리 인상 충격 이후 대출을 통해 구입한 주택을 임대 주택으로 대체하는 주택 소유 결정 채널은 통화정책의 단기 효과를 약화시키지만 장기 효과는 강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비탄력적 주택 임대료는 임대 주택으로의 대체를 단기적으로 억제하여 통화정책의 단기 효과를 강화하였지만, 그 영향은 일시적이고 제한적이었다.

제3장에서는 아시아 금융 위기 경험 국가들의 외환위기 이후 금융개혁(post-AFC reform)이 국제 자본 흐름 충격에 따른 변동성을 완화시키는데 효과적이었는지를 실증 분석하였다. ASEAN+3 국가들을 아시아 금융 위기를 경험한 국가들 (AFC 경제)와 그렇지 않은 국가들 (비 AFC 경제)로 분류한 후, (i) AFC 기간의 AFC 경제, (ii) GFC 기간의 AFC 경제, (iii) GFC 기간의 비 AFC 경제라는 세 개의 소집단에 대해 베이지안 패널 벡터자기회귀 모형 (Bayesian panel VAR model)을 추정하였다. 추정 결과 AFC 경제에서 순자본 유출 충격이 경제성장률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은 AFC 기간에서 GFC 기간으로 가면서 약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GFC 기간 동안 순자본 유출 충격의 경제 성장률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 역시 AFC 경제에서 비 AFC 경제에 비해 덜 지속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외환위기 이후 금융 개혁이 국제 자본 흐름의 변동성을 완화하는데 효과적이었음을 시사한다.
Language
eng
URI
https://hdl.handle.net/10371/193922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4617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