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일본의 북방영토 외교정책 연구 : A Study on Japan's Northern Territory Foreign Policy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최준석

Advisor
이정환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북방영토북방영토의 날일본·러시아 외교정책영토반환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회과학대학 정치외교학부(외교학전공), 2023. 2. 이정환.
Abstract
The territorial issue is a fundamental issue related to national sovereignty. Looking at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return to the northern territories, it can be seen that it remains an international task that must be continuously resolved in the Russo-Japanese relationship.
In the San Francisco Peace Treaty, Japan abandoned the Chishima Islands, but the scope of the Chishima Islands was not clarified under the treaty, and Japan originally thought that Minamichishima Island, Kunashiri Island, and Etorofu Island wer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Chishima Islands. I was thinking. After that, in the process of negotiations with the Soviet Union for the restoration of diplomatic relations, while demanding the return of Minamichishima Island, not limited to the Habomai Islands and Shikotan Island, the original territorial theory was put forward, and the Chishima Islands, which had been abandoned in the San Francisco Peace Treaty, were put forward. Cima has been expressed the view that it is not included. From this background, the geographical focus of this unique territorial theory was initially focused on Minamichishima Island. However, with the Japan-Soviet Joint Declaration of 1956, Japan-Soviet Reformation, and through the negotiations, Japan's territorial claims were specified as the four islands of Etorofu, Kunashiri, Shikotan, and Habomai Islands. The term northern territory for these four provinces was created after that.
In recent years, the Russian government has been strengthening the claim that these islands became part of Russian territory as a result of World War II, but since there is no peace treaty between Russia and Japan, furthermore, the final solution to the territorial issue after World War II The nonexistent state continues.
After the launch of the second Abe cabinet in 2012, while the distinction between the four northern provinces and the northern territories for their own territories was again becoming less rigorous, the 1956 Japan-Soviet Joint Declaration was made at the Singapore-Russia-Japan summit meeting in Singapore in November 2019. It was agreed that the negotiations would progress on this basis, and in subsequent replies by Prime Minister Abe and the Foreign Minister, etc., the expression inherent territory would not be used, and the Northern Territories would be the islands over which Japan has sovereignty. The change in the answer also affects the description in the diplomatic blue book, and there is no description surrounding the attribution of the four provinces, and the northern territories are described as islands over which Japan has sovereignty. The Russian side does not deviate from the 1956 Japan-Soviet Joint Declaration on the return of two islands and economic cooperation, but the Japanese side moves back and forth between the demand for the return of four islands as a principle and the demand for the return of two islands as a realistic compromise following the change of government. show the shape The most dramatic change occurred during the transition from the Mori Cabinet to the Koizumi Cabinet. The Japanese side, which realistically reviewed the theory of return of two islands during the Mori administration, turned to a more rigid theory of return of four islands in a lump sum with the advent of the Koizumi cabinet, and maintained this principle even in the Democratic Party administration.
The 2nd Abe cabinet eagerly stepped forward to resolve this issue and began realistic consideration of all alternatives, including the return of the 2nd degree first, but negotiations suffered difficulties. In the meantime, nationalism has also increased in Russia, and the issue of territorial cession has become a sensitive issue that even President Putin cannot deal with. The Japanese governments Act on Special Measures to Promote the Resolution of the Northern Territory Problem was amended to stipulate exchanges between the four provinces, the northern burial mounds, and free visits. However,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a lack of flexibility in the foreign policy toward Russia in relation to the Northern Territory response policy. Moreover, most civic groups related to the movement for the return of the northern territories support the collective return of all four provinces and have a relationship with the Cabinet Office. They are concerned about negotiations such as 2+α that once two islands are transferred, the other two islands cannot be transferred. Regarding the theory of return of the 4 islands, it should not be overlooked that there is a claim to the limit of the theory of return of the 4 islands in Japanese society, and there is a negative view of the theory of return to the 4 islands in public opinion polls. The Japanese government's lack of flexibility in the northern territories between Russia and Japan is also connected to the rigid attitude of Japanese society, and Japan's position to resolve the northern territories faces a difficult situation due to the strained structure of the foreign policy of the northern territories between Russia and Japan due to this. can be seen as However,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future changes as there is a possibility of change, such as the securing of flexibility in Japan's foreign policy toward Russia and the consequent leading public opinion in Japanese society, other than the unexpected variable of war.
영토 문제는 국가의 주권에 관계되는 기본적인 문제이다. 이처럼 북방영토에 반환에 대한 역사적 전개 과정에서 보면 러일 관계에서 지속해서 해결해야 할 국제적 과제로 남아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에서 일본은 치시마 열도를 방기하였으나 동 조약상 치시마 열도의 범위는 명확하게 되어 있지 않고, 애초 일본은 남치시마, 쿠나시리 섬 및 에토로후 섬이 치시마 열도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그 후 소련과 국교회복을 향한 교섭 과정에서 하보마이 군도 및 시코탄 섬에 한정하지 않고 남치시마의 반환을 요구해 나가는 가운데 고유의 영토론을 전면에 내세우게 되어,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에서 방기한 치시마 열도에 남치시마는 포함되지 않는다는 견해를 나타내게 되었다. 이러한 경위로부터 이 고유의 영토론의 지리적인 초점은 애초 남치시마에 맞추어져 있었다. 그러나 1956년의 일소공동선언, 일소국교회복이 이루어지면서, 그 교섭을 거쳐, 일본의 영토요구는 에토로후, 쿠나시리, 시코탄, 하보마이 군도의 4도라고 명시된 것이다. 이 4도를 가리키는 북방영토라고 하는 말도 그 후 생겨난 것이다.
최근 수년의 러시아 정부는 제2차 세계대전의 결과로서 이들 섬이 러시아의 영토 일부로 되었다고 하는 주장을 강화하고 있으나, 러일 간에는 평화조약이 없으므로 더욱이 제2차 세계대전 후의 영토 문제의 최종적 해결이 되어 있지 않은 상태가 계속되고 있다.
2012년 제2차 아베 내각 발족 후에는 다시 고유의 영토에 대한 북방4도와 북방영토의 구별이 엄밀히는 되지 않는 형태가 되어가는 가운데 2019년 11월의 싱가포르 러일 수뇌회담에서 1956년의 일소공동선언을 기초로 하여 교섭을 진전시켜 나갈 것이 합의되어 그 후 아베총리대신 및 외무대신 등의 답변에서는 고유의 영토라는 표현을 사용하지 않게 되고, 북방영토는 일본이 주권을 가지는 섬들이라는 답변을 한다. 이러한 답변의 변화는 외교청서에서의 기술에도 영향을 주어, 4도의 귀속을 둘러싼 기술이 없고 북방영토는 일본이 주권을 가지는 섬들이라고 기술되어 있다. 러시아 측은 1956년 일소 공동선언에 기초하여 2개 도서 반환 및 경제협력 안에서 벗어나지 않는 양상을 보이지만, 일본 측은 정권의 교체에 따라 원칙론인 4개 도서 반환 요구와 현실적 타협안인 2개 도서 반환 요구 사이를 오가는 양상을 보인다. 가장 극적인 변화를 보인 것은 모리 내각에서 고이즈미 내각으로 넘어가는 시기였다. 모리 정권기 2개 도서 선 반환론을 현실적으로 검토하던 일본 측은 고이즈미 내각의 등장과 함께 보다 경직된 4개 도서 일괄 반환론으로 돌아서며, 민주당 정권에서도 이 원칙을 유지하였다.
아베 2기 내각에서는 이 문제의 해결에 의욕적으로 나서서 다시 2도 우선 반환을 포함한 모든 대안을 두고 현실성 있는 고려를 시작하였으나 협상은 난항을 겪었다. 그러는 사이 러시아에서도 내셔널리즘이 고조되어 영토할양 문제는 푸틴 대통령도 함부로 다루기 어려운 민감한 사안이 되었고, 러시아의 실효 지배는 더욱 공고화되어 현재는 2도 반환조차도 요원해진 상황이다. 일본정부의 북방영토문제 등 해결 촉진 특별조치법이 개정되어 4도 교류, 북방성묘, 자유 방문 등이 명문화되고, 북방영토의 날 제정, 시민단체를 통한 영토반환운동에 대한 지속적인 예산지원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북방영토 대응정책과 관련해서 대러 외교정책에는 유연성이 부족하다고 볼 수 있다. 더욱이 북방영토 반환운동과 관련한 대부분의 시민단체는 4도 일괄 반환을 지지하고 있으며 내각부와 관계를 가지고 있다는 점이다. 이들은 2+α와 같은 협상안에 대해서 한번 2개 섬을 양도받고 나면 나머지 2개 섬은 양도받지 못한다고 우려하고 있다. 이와 같은 4도 반환론에 대해서 일본사회에서는 4도 반환론의 한계를 지적하는 주장도 있고, 시민 여론조사에서도 4도 반환론에 대해 부정적인 시각이 있음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러일 간의 일본정부의 북방영토의 유연성 부족은 일본사회의 경직된 태도와도 연결되며, 이것에 기인하는 러일 간의 북방영토 외교정책의 경색구도로 인해 북방영토 해결을 원하는 일본의 입장은 어려운 상황에 직면하게 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다만 전쟁이라는 돌발변수 이외의 일본의 대러 외교정책의 유연성 확보와 그에 따른 일본사회의 주도적인 여론 등 변화가능성도 있으므로 미래변화는 주목해 볼 필요가 있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3965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7069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