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상상 모빌리티를 통한 치유감 형성 : Forming a sense of healing by imaginary mobilities: A case study on imaginary travels of young unemployed people in Seoul
서울시 취업 준비 청년층의 상상 여행 실험을 사례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박향기

Advisor
이정만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상상 모빌리티상상 여행치유감모빌리티적극적 상상서울시 취업 준비 청년층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회과학대학 지리학과, 2023. 2. 이정만.
Abstract
본 연구는 이동을 상상하는 것만으로도 치유를 느낄 수 있는가에 대한 질문에 답을 하고자 진행되었다. 이와 같은 질문은 인류의 이동이 극히 제한된 코로나19 팬데믹, 자연재해, 전쟁과 같은 상황 속에서, 또는 신체적, 경제적, 시간적 제약으로 이동이 제한된 사람들에게 매우 필요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질문을 해결할 수 있는 지리학 부문은 건강지리학이다. 그동안 건강지리학은 물리적 모빌리티에 집중해왔기에 비물리적 상상의 영역에서 모빌리티와 치유 간 관계는 잘 다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앞에서 던진 핵심 질문에 답하기 위해, 또한 기존 건강지리학에서의 공백을 메우고자, 상상 모빌리티를 새롭게 개념화하였다. 상상 모빌리티란, 적극적 상상으로 접근한 상상의 영역에서 지리적 이동을 하는 것을 말하며, 상상으로의 모빌리티, 상상 내 모빌리티, 상상으로부터 나온 모빌리티 이렇게 3가지 이동을 수반한다. 본 연구는 상상 모빌리티의 한 유형으로서 상상 여행 실험을 설계하였고, 이를 치유가 필요하고 여행이 제한되어있는 서울시 취업 준비 청년층 50명(실험군 n=25, 대조군 n=25)에게 적용하였다. 구체적인 연구 목적은 첫째, 상상 모빌리티가 치유감을 형성할 수 있는지에 대한 여부를 6가지 심리척도 자료를 사용해 양적 분석하여 파악하는 것이다. 둘째, 상상 모빌리티가 어떻게 치유감을 형성하게 되었는지, 그 치유감 형성 작용 방식을 인터뷰, 글쓰기, 그림 자료를 통해 질적 분석하여 규명하는 것이다. 특히, 질적 분석은 상상 모빌리티에 수반되는 세 가지 모빌리티 유형인 상상으로의 모빌리티, 상상 내 모빌리티, 상상으로부터 나온 모빌리티가 각각 치유감 형성에 작용하는 방식을 파악하여 종합적인 결론을 내리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상 모빌리티를 행하는 것은 치유감 형성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드러났다. 상상 모빌리티를 통해 치유를 느낄 수 있는지 여부를 입증하기 위하여 상상 모빌리티의 한 유형인 상상 여행 실험을 실험군과 대조군의 양적 자료를 비교 분석한 결과, 상상 여행을 실시한 실험군이 실시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치유감 형성 효과가 있었음이 확인되었다. 단기적으로는(실험 직전-직후), 실험군의 주요 측정치 변화량(긍정, 부정, 기분상태)이 대조군의 주요 측정치 변화량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큰 차이가 있는 것으로 드러나, 상상 여행을 하는 것이 단기적으로 치유감을 형성하는 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기적으로는(실험 직전-2주 후-8주 후), 집단 내 비교에서 긍정 종속측정치에서만 효과를 보인 대조군에 비하여, 실험군은 주요 종속측정치 변화량(긍정, 부정, 기분상태, 불안)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집단 간 비교에서는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사전-2주 후 부정 종속측정치에서 유의미한 감소를 드러내어, 상상 여행이 장기적으로 부정적 감정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즉, 장기적 측면에서는 상상 여행의 치유감 형성 효과가 부분적으로 검증되었다.

둘째, 상상 모빌리티는 내면의 지리에 몰입, 탐험, 실천하게 도와줌으로써 치유감 형성 작용을 하였다. 여기에서, 내면의 지리란 사람의 마음속 형성된 지리를 의미하며, 개인의 갈망들이 표상화된 모빌리티적 요소들(모빌리티(수단), 사회적 관계, 머무름)이 심겨있는 공간 형태를 띠고 있다.
상상 모빌리티 중 첫 번째 유형인 상상으로의 모빌리티는 현실에서 내면의 지리로 이동하는 것으로, 아픔을 주던 제한된 현실을 일시적으로 단절시키고 제한이 없는 내면의 지리에 몰입할 수 있게 이끌어주어 치유감 형성에 작용하였다. 이러한 상상으로의 모빌리티는 현실의 걱정과 근심에서 잠시 벗어날 수 있게 하는 작용이 있었으며, 자신이 진정으로 갈망하는 인생의 여정을 그릴 수 있는 내면의 지리의 배경지를 셋팅할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자유함과 안도감을 허락해주었다. 이는 이후 모빌리티 단계에서 치유적 작용이 일어나게 하는 기반이 되었다.
상상 모빌리티 중 두 번째 유형인 상상 내 모빌리티는 내면의 지리 안에 모빌리티 궤적을 그리며 그 안에 심겨있었던 모빌리티적 요소(모빌리티 (수단), 사회적 관계, 머무름)를 발견 및 탐험하게 하였으며, 이러한 모빌리티적 요소는 각기 또는 상호 연결되어 그동안 몰랐던 개인의 갈망을 깨닫게 하여 치유감 형성에 작용하였다. 내면의 지리라는 공간은 홀로는 치유감 형성에 작용할 순 없었으며, 상상 내 모빌리티가 내면의 지리 공간을 탐험해줌으로써 치유감 형성에 작용할 수 있었다.
상상 모빌리티 중 세 번째 유형인 상상으로부터 나온 모빌리티는 제약이 없었던 내면의 지리에 그렸던 모빌리티 궤적을 제약된 현실의 지리에서도 실현 가능한 방식으로 그려나가며 실천해나갈 때 치유적으로 작용하였다. 상상 여행 실험 종료 2주 후, 8주 후에도 치유감을 지속시킨 실험군 연구참여자 8명은 상상 여행을 통해 기존 관점에 변화가 일어났고, 이러한 변화된 관점은 일상의 지리에서 상상 속 내면의 지리에서 경험했던 모빌리티적 요소(모빌리티, 사회적 관계, 머무름)를 실천할 때에 기존과 다른 방식으로 수정하도록 이끌었다. 이들은 제한된 현실 속에서도 최대한 실현 가능한 방식으로 모빌리티를 재구성하여 실천해나감으로써 상상 여행 이후에도 지속적인 치유감을 얻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론이 물리적 모빌리티를 넘어 비물리적 모빌리티와 치유감 형성 관계를 이해하는데 통찰력을 제공했을 뿐 아니라, 인간에게 맡겨진 기초적인 상상력을 활용한 지리를 통해 이동이 극심히 제한된 상황 속에 처한 인류가 생명력을 유지할 수 있는 치유의 끈이 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s key question is whether and how imaginary mobilities can be conducive to forming a sense of healing. Despite the growing intere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mobility and health in health geography, there has been less attention to mobility in the non-physical imaginary realm and its effects on health. This study conceptualised imaginary mobilities to answer the key question and bridge the gap in research. Imaginary mobilities refer to mobilities moving from A to B in imagination intentionally accessed by active imagination. It can be categorised into three types of mobilities, namely, into, in, and from imagination. To verify the question, Imaginary Travels as a type of imaginary mobility was designed and 50 young unemployed people living in Seoul, were examined (experimental group: n = 25; control group: n = 25). The research design aimed to demonstrate the immediate and long-term therapeutic effects of Imaginary Travels as imaginary mobility using three psychological questionnaires in the quantitative analysis. Furthermore, the qualitative analysis was applied to map the immediate and long-term therapeutic effects of Imaginary Travels as imaginary mobility using data derived from interviews and diary entries. The qualitative analysis figured out how each of the three types of mobilities (i.e. mobilities into imagination, in imagination, and from imagination) entailed in imaginary mobilities acts on forming a sense of healing.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quantitative statistical analysis found that imaginary mobilities are conducive to forming a sense of healing. The analysis revealed significant effects in the experimental group in contrast to the control group. In the short term (i.e. immediately after the experiment), Imaginary Travels among the experimental group revealed significant results in all three questionnaires as opposed to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s long term (i.e. two weeks after the experiment) effects showed significant decreases in the PANAS-negative score.

Second, the qualitative analysis examined that imaginary mobilities were conducive to forming a sense of healing by immersing, exploring, and practising inner geographies. The inner geographies had a spatial structure where elements of mobilities (i.e. the forms of mobility, social relationship, and stillness) were planted in which participants' desires were represented.
Mobilities into imagination as the first stage of imaginary mobilities allowed participants to move from the real to the inner geographies. The mobilities formed a sense of healing by temporarily disconnecting from the worries and constraints in reality and leading them to immerse themselves in the inner geographies without limitations. The mobilities into imagination created a sense of freedom and relief because participants could pull themselves out of reality. Also, the mobilities have become the basis for the subsequent imaginary mobilities stages.
Moreover, mobilities in imagination helped participants draw the trajectory of mobilities on the inner geographies and explore the elements of mobilities (i.e. forms of mobility, social relationship, and stillness) planted in them. These elements of mobilities were interconnected to each other and realised the participants desires that they had not known so far, which acted on creating a sense of healing. The space of inner geographies could not work alone to form a sense of healing, but the mobilities in imagination could act on forming a sense of healing by exploring the inner geographical space.
Lastly, mobilities from imagination acted therapeutically when practising the trajectory of mobilities drawn in the unrestricted inner geographies feasibly even in the constrained real geographies. Eight participa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who continued to have a sense of healing two weeks and eight weeks after the end of the Imaginary Travels transformed their existing perspective through the Imaginary Travels, which led to practising mobilities differently in real life. Even in the limited reality, they reconstructed and practised in a way as feasible as possible, which obtained a continuous sense of healing even after the Imaginary Travels.

These findings have implications for understanding mobilities and their associated sense of healing in the imaginary realm beyond the physical realm. This conclusion is expected to form a fundamental strength facilitating individuals and society to endure challenging times, when physical mobility is extremely restricted such as pandemics, wars, and natural disasters, through geography using basic imagination given to humans.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3975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6096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