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코로나19 시기 재택근무 도입에 따른 서울시 고용권역의 통근 유입 격차 : Differences in Commuting Inflow Patterns among the Employment Districts in Seoul along with the Adoption of Work-from-Home during the COVID-19 Pandemic Period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재건

Advisor
손정렬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코로나19재택근무통근패턴통근·통행격차생활이동데이터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회과학대학 지리학과, 2023. 2. 손정렬.
Abstract
Since the outbreak of the COVID-19 pandemic, work-from-home(WFH) has been adopted in a differential way depending on the industry and the nature of task. Although a number of studies analyzed the changes in urban commuting patterns along with the differential adoption of WFH, they have only focused on the differences among the industrial types of employment districts and have not fully considered the multi-faceted divide of WFH adoption in the labor market.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commuting disparity during the pandemic in more detail, by analyzing whether the home-to-work links converging at the same employment district show differences in decreasing rates by the average educational level of the origin area(home). This study uses Seoul Living Mobility Data to observe the commuting inflow patterns to the 54 employment districts in Seoul and involves a longitudinal multilevel model to quantitatively analyze the decreasing-recovery pattern of the commuting inflow volumes throughout the pandemic period. The main findings are two-fold.
First, during the accelerating stage of the early pandemic period (Jul.-Aug. 2020), there were internal differences, in which the inflow from the origin with a higher education level decreased relatively rapidly, within the same employment district. One of the reasons is that the workers with higher education levels are more likely to work in industries, where WFH is feasible, compared to the other workers in the same employment district. In particular, when the industrial structure of an employment district is polarized into the knowledge sector that can adopt WFH and the consumer service sector that cannot, the internal difference by the education level of the origin was more apparent. In addition, when an employment district is specialized in an industry, in which some occupations can adopt WFH and some cannot(for example, the business support service industry), the particular district shows apparent internal differences in its commuting inflow pattern.
Second, the internal differences in commuting inflow patterns persisted throughout the pandemic period. During the recovery phase of commuting(August to October 2020), the internal difference appeared in the form that the inflow from the highly educated origin recovers more slowly compared to the inflow from the less educated origin. Meanwhile, the size of the internal difference was larger in Gangnam CBD(specialized in the professional-service industry) than in Jongno CBD(specialized in the financial-insurance industry), because the high-skilled workers in the professional-service industry are more likely to maintain their WFH status. Furthermore, in the mid-to-late stage of the pandemic(since the year 2021), the difference in commuting patterns did not appear along with the industrial type of the employment districts, but in the form of internal differences by the education level of origins. This shows that as the pandemic is prolonged, the difference in commuting patterns cannot be explained solely by the industrial type of employment districts. Also, while the internal difference was more apparent in the city center in the early stages of the pandemic, it appeared in the periphery of Seoul in the mid to late stages, and this indicates that the spatial pattern of the commuting disparity has spread out.
This study sheds light on the differential impact of WFH on the urban commuting pattern, which has been under-studied so far, by analyzing the social experiment case of the enlarged WFH trend during the pandemic period. Also, by focusing on the internal differences in commuting inflows, this study reveals disparities in the commuting pattern even during the mid-to-late stage of the pandemic when public health measures were weakened. Furthermore, the empirical results of this study can support the policy measures to deal with health and economic issues entailed by the shifts in commuting patterns during the pandemic period.
코로나19 유행의 시작과 함께 노동시장 전반에서 재택근무가 급격하게 확대되었으나, 그와 동시에 재택근무는 산업 및 업무 특성에 따라 도입 여부가 나뉘었다. 이처럼 재택근무가 차별적으로 도입되는 흐름 속에서 통근패턴의 변화를 분석하는 연구가 다수 진행되어 왔으나, 기존 연구는 통근패턴의 지역적 격차를 고용권역의 산업유형에 따라 분석하는 데 그쳐, 실제 근로 현장에서 다면적으로 나타나는 재택근무 도입 차이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같은 고용권역 안에서도 출발지에 따라 통근의 내부편차가 나타나는지에 초점을 맞춰, 재택근무 도입에 따른 통근패턴 격차를 보다 세세하게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서울생활이동데이터를 이용하여 서울시 54개 고용권역으로의 통근 유입 패턴을 살펴보고, 종단적 다수준모형을 이용하여 통근 유입의 감소-회복 추이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크게 두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코로나19 초기의 확산기(2020년 7~8월)를 분석한 결과, 같은 고용권역 안에서도 교육수준이 높은 출발지로부터의 유입이 상대적으로 빠르게 감소하는 내부편차가 나타났다. 이러한 통근의 내부편차가 나타나는 이유 중 하나는 같은 권역에서 일하는 노동자 사이에서도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재택근무 전환이 상대적으로 수월한 산업에 종사하기 때문이다. 특히 명동권역과 같이 산업구조가 재택근무 도입이 가능한 지식부문과 그렇지 않은 소비자서비스부문으로 양극화된 경우에는 출발지의 교육수준에 따른 내부편차가 더 크게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각 산업 안에서도 직종에 따라 업무 특성과 재택근무 도입 가능성이 상이한 경우가 있는데(예를 들어, 사업지원서비스업), 이러한 산업에 특화된 권역에서도 교육수준에 따른 내부편차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둘째, 시간적 범위를 확장하여 분석한 결과, 통근의 내부편차는 팬데믹 전반에 걸쳐 지속적으로 나타났다. 우선 통근량이 회복되는 시기(2020년 8~10월)에는 고학력 출발지로부터의 유입이 저학력 출발지로부터의 유입에 비해 천천히 회복하는 형태로 통근의 내부편차가 나타났다. 단, 내부편차의 크기는 금융보험업에 특화된 종로 도심보다는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에 특화된 강남 도심에서 크게 나타났으며, 이는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의 고학력 종사자들이 재택근무를 상대적으로 오래 지속한 점에서 비롯되었다. 나아가 팬데믹 중후반기(2021년 이후)에는 재유행 시 통근 감소의 차이가 고용권역의 산업유형에 따라서 나타나지 않고, 특정 산업유형 안에서 교육수준에 따른 내부편차의 형태로 나타났다. 이는 팬데믹이 장기화될수록 통근패턴의 차이가 도착지의 산업유형만으로는 설명되기 어렵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팬데믹 초기에는 통근의 내부편차가 도심에서 나타난 것과 달리, 중후반기에는 서울의 주변부에서 나타나 통근 격차의 공간적인 패턴이 확산되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팬데믹의 사회적 실험 사례를 통해 그동안 재택근무가 도시통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에서 크게 주목하지 않은 차별성을 조명했다는 점, 그리고 내부편차라는 구체적인 패턴에 초점을 맞춰 팬데믹의 중후반기에서도 통근패턴의 차별적인 양상을 보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아울러 본 연구는 통근의 내부편차에 따라 감염 노출 등의 보건적 피해가 저학력 노동계층에게 집중되고, 상권 침체 등의 경제적 피해가 도심지역에 집중됨을 보여, 팬데믹에 따른 보건적 · 경제적 피해를 줄이기 위한 정책의 기초자료로도 활용될 수 있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3978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6147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