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성인의 발화 수준에 따른 유아의 영상 내용 이해와 우연적 단어학습 : Children's Content Comprehension and Incidental Word learning During Video Watching According to the Utterance Level of an Adult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박상아

Advisor
최나야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영상유아발화 수준내용 이해우연적 단어학습고관여 발화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생활과학대학 아동가족학과, 2023. 2. 최나야.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4-year-olds comprehension of the content and acquisition of incidental word learning according to the different adults utterance levels while watching a video. Adult utterance levels were divided into three levels: high involvement utterance, low involvement
utterance, and no utterance. This study tried to empirically reveal if there is a relationship between adult speech during childrens video watching and their language development. For the experiment, 100 4-year children were collected from 9 childcare centers and 4 kindergarten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in South Korea. The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he three groups: high involvement utterance group (18 males and 16 females), low involvement utterance group (19 males and 15 females),
and no utterance group (17 males and 15 females) respectively. The children were instructed to watch two YouTube videos of 4 minutes length each, and the experimenter provided the children with prescripted utterances in each group. After watching each video, tasks were provided to measure childrens extent of comprehension of video content and amount of novel words that appeared in the video. Given that individual language ability of each child can affect the task performance, receptive vocabulary was measured at the end as a control variable. All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6.0 program.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to calculate the mean, standard deviation, and frequency. Covariance analysis (ANCOVA) and Bonferroni main effect test were conducted as well. The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ICC) was used to confirm the degree of consistency between the interraters.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y, childrens comprehension of video content varied according to the level of adult utterance. comprehension of video content was assessed through both factual comprehension and inferential comprehension. In both types of comprehension, the group with high involvement utterance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video content comprehension than the other two groups did.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verage number of incidental word learning in each group depending on the adult speech. In specific, the group exposed to adults high involvement utterances learned more new words through the video than the other group did. Thir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content
comprehension and incidental word learning scores between the low involvement utterance group and the no utterance group.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only observed between the high involvement utterance group and the low involvement utterance group, as well as between the high involvement utterance group and the no utterance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 that 4-year-old childrens
comprehension of video content and incidental word learning varied based on the level of adult utterance when co-viewing. This suggests that high involvement speech from an adult during video watching,
which facilitates children to actively expand their thinking process, makes the children retain more information from what they see and hear from the video. It also allows them to think about the content more, which can ultimately lead to learning and remembering things better. In regards to incidental word learning, whenever the adult mentioned the words presented in the video with the context, children understood the correct meaning of the target words and remembered them better. This, in turn, indicates that qualitatively low level of adult utterance that lacks meaningful information was found to be no different than saying nothing.
In the environment of overflowing audiovisual materials, adults' conscious utterance supports children's language-cognitive development by providing clues to help children understand and allow them to focus on new vocabulary. In this era of overflowing audiovisual stimuli, adults' conscious utterances plays a crucial role in supporting children's language and cognitive development by offering clues to enhance comprehension and directing their attention to novel vocabulary
이 연구는 4세 유아가 영상을 시청할 때 성인이 제공하는 발화의 수준에 따라 영상에 대한 내용 이해와 우연적 단어학습에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성인의 발화 수준은 고관여 발화, 저관여 발화, 무발화의 총 3가지 수준으로 나누었다. 이를 통해 유아가 영상을 시청할 때 경험하는 성인의 발화가 언어 발달적 결과와 관련이 있는지 경험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지역의 어린이집 9곳과 유치원 4곳에서 4세 유아 100명을 표집하여 고관여 발화 집단(남 18명, 여 16명), 저관여 발화 집단(남 19명, 여 15명), 무발화 집단(남 17명, 여 15명)에 각각 무선할당하였다. 유아들이 약 4분 길이의 아동용 유튜브 영상 2개를 시청하는 동안 실험자는 집단별로 계획된 발화를 유아에게 제공하였다. 각 영상 시청 후, 유아에게 영상과 관련한 내용을 얼마나 이해하였는지와, 영상에 등장한 새로운 단어를 얼마나 학습하였는지를 측정하는 과제를 실시하였다. 유아의 언어능력이 과제 수행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점을 고려하여 마지막으로 수용어휘력을 측정한 후 분석 시 통제변수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6.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기술통계분석을 통해 평균, 표준편차, 빈도를 산출하고, 공분산분석(ANCOVA)과 Bonferroni 주효과검정을 실시하였다. 평정자 간 일치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급내상관계수를 확인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의 발화 수준에 따라 유아의 영상 내용 이해의 정도가 달랐다. 내용 이해는 사실적 이해와 추론적 이해로 나누어 살펴보았으며, 두 이해의 종류에서 모두 고관여 발화 집단이 다른 두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수준의 내용 이해를 보였다.
둘째, 성인의 발화 수준에 따라 집단별로 교정된 우연적 단어학습의 평균에 유의한 차이가 있어, 성인의 고관여 발화를 경험한 집단이 다른 두 집단에 비해 영상에서 접한 새로운 단어를 더 많이 학습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내용 이해와 우연적 단어학습에서 저관여 발화 집단과 무발화 집단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고관여 발화 집단과 저관여 발화 집단, 고관여 발화 집단과 무발화 집단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는 유아와 영상을 함께 시청하는 성인의 발화 수준에 따라 4세 유아의 영상 내용 이해와 우연적 단어학습에 차이가 나타남을 밝혔다. 이는 아동이 능동적으로 사고 과정을 확장시킬 수 있도록 촉진하는 고관여 발화가 유아로 하여금 영상으로부터 보고 듣는 내용을 더 잘 수용하게 하고, 그에 대해 생각하게 하며, 궁극적으로 더 잘 학습하고 기억하게 함을 의미한다. 새로운 단어를 학습함에 있어서도, 영상에서 제시된 단어를 성인이 맥락과 함께 다시 언급하는 행위가, 유아가 그 단어의 올바른 의미를 파악하고 잘 기억하는 것을 도움을 보여주었다. 반면, 영상을 시청하는 유아의 옆에서 성인이 유아에게 추가적으로 의미를 전달하지 않는 질적으로 낮은 수준의 발화는 아무 말을 하지 않는 것과 별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시청각 자료가 넘쳐나는 환경 속에서 성인이 아동을 의식하여 수행하는 발화는 아동의 이해를 돕는 단서를 제공하고, 새로운 어휘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아동의 언어인지 발달을 촉진함을 뒷받침한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3991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6272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