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온 가족이 모여있는 가상의 거실 : Virtual Living Room Where the Whole Family Gathers: Married Korean's Lived Experiences of Family Group Chats
기혼자의 가족단톡방 활용 체험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지훈

Advisor
이재림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가족단톡방비대면 의사소통가족체계가족실천상징적 상호작용론해석학적 현상학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생활과학대학 아동가족학과, 2023. 2. 이재림.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인스턴트 메신저 단체대화방(이하 단톡방)을 활용한 가족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기혼자는 무엇을 체험하며, 이들에게 가족단톡방의 의미는 무엇인지 탐색하는 것이다. 가구 규모가 축소되고 개인의 사회적 시간이 증가하여 가족이 대면으로 소통하는 시간이 많지 않은 한국 사회에서, 가족단톡방은 가족이 비대면으로 상호작용할 수 있는 중요한 도구이자 공간으로 자리 잡았다. 오늘날 핵가족뿐만 아니라 확대가족, 기타 친인척과도 단톡방을 활용해 소통한다는 점에서, 가족단톡방은 더 넓은 범위의 하위체계를 포함해 가족체계를 이해하는 도구가 될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가족과 단톡방을 활용하여 상호작용하는 것을 가족실천의 예로 볼 때, 기혼자의 가족단톡방 활용 체험을 연구함으로써 오늘날 한국가족이 단톡방에서 어떻게 가족을 실천하고 구성하는지를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더불어, 역할, 정체성, 상호작용, 맥락에 따라 개인이 의미를 구성한다는 상징적 상호작용론의 관점에서 단톡방 활용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새로운 소통채널로 등장한 가족단톡방의 맥락, 한국가족의 상호작용 특성 등을 이해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자녀, 배우자, 부모 또는 배우자의 부모와 인스턴트 메신저인 카카오톡을 통해 일상적으로 소통하며, 가족단톡방이 한 개 이상 있는 성인남녀 10명이었다. 반구조화된 심층면접을 통해 수집한 자료를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온 가족이 모여있는 가상의 거실, 가족단톡방, 각자의 방식으로 사용하는 가족단톡방, 유용하지만, 보조적으로 활용하는 가족단톡방이라는 3개의 주제를 도출하였다.
첫째, 연구참여자들은 단톡방을 활용하여 형성가족뿐만 아니라 본인이나 배우자의 원가족, 친인척 등 다양한 가족구성원과 소통하였다. 그 안에서 참여자들은 가족과 일상과 정보를 공유하고 가족행사를 논의하였다. 단톡방에 가족만 있다는 점에서 참여자들은 편하게 소통하였지만, 반대로 가족이기에 답장을 기대하거나 메시지를 조심스럽게 작성하기도 했다. 둘째, 연구참여자들은 각자의 방식에 맞게 가족단톡방을 주체적으로 활용하였다. 참여자들은 가족관계 및 대화주제에 따라 단톡방에 포함할 가족구성원을 선택했으며, 다른 구성원과 갈등이 있을 때 참여자와 일부 가족구성원들은 단톡방에서 나가기도 했다. 마지막으로, 연구참여자들은 단톡방을 통해 가족과 비대면으로 편리하게 소통하였다. 예를 들어, 불편한 관계의 가족구성원에게 감정을 배제하고 연락할 수 있었고, 직접 메시지를 교환하지 않는 가족의 일상도 자연스럽게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텍스트 중심이라 메시지의 내용이 제대로 전달되지 않을 수 있고, 메시지의 내용이 단톡방에 있는 모든 구성원에게 공개된다는 점에서 면대면 대화나 전화를 함께 활용하였다. 특히, 가족관계에서 서로의 목소리를 듣고 신체를 맞대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에서 참여자들은 가족단톡방이 면대면 대화나 전화를 대체할 수 없다고 하였다.
이와 같은 체험을 토대로 볼 때 가족단톡방의 의미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가족단톡방은 다양한 하위체계에 속해 가족관계를 이어가는 가상의 거실이었다. 기혼자는 단톡방을 통해 가족과 비대면으로 근황을 빠르게 공유하면서 관계를 느슨하게라도 이어갔다. 그러나 기혼자의 경계에 따라 가족과 상호작용하는 방식 차이가 있었다. 둘째, 가족단톡방은 가족을 주체적으로 실천하기에 적절한 가상의 거실이었다. 가족과의 대면 소통이 감소하는 시점에 기혼자는 단톡방을 통해 본인의 역할을 수행하는 등 일상적으로, 규칙적으로 가족을 실천하였다. 또, 가족단톡방은 가상의 공간이라는 점에서 기혼자는 본인의 가족관계 및 상황에 따라 단톡방을 주체적으로 구성하였다. 셋째, 젠더와 연령에 따라 가족 내 위계와 역할이 차별화되는 한국가족에서 가족단톡방은 전통적인 가족규범이 상호작용 패턴을 결정하는 가상의 거실이었다. 기혼자가 단톡방을 활용하여 가족과 상호작용하는 과정에서 가부장적 가족규범이 작동하면서 젠더화되고 위계화된 상호작용 방식이 등장하기도 하였다. 넷째, 비대면의 특성이 있는 가족단톡방은 긍정적인 가족관계를 위해 가족과의 대면 상호작용을 필요로 하는 가상의 거실이었다. 스마트폰 없이는 살 수 없는 사회에서도 단톡방은 가족구성원과 상호작용하는 보조적인 수단으로, 가족과의 대면 상호작용을 대체할 수 없었다.
본 연구는 부모, 자녀, 형제자매, 배우자뿐만 아니라 배우자의 원가족, 친인척 등 확대가족까지 고려하여 가족단톡방 활용 체험과 의미를 탐색하였다는 점에서 학문적 의의가 있다. 또, 가족단톡방을 하나의 체계로 이해하여 그 안에서 나타나는 가족의 복잡한 관계와 역동을 이해할 뿐만 아니라, 기혼자가 단톡방에서 어떻게 가족을 실천하는지, 그리고 한국가족의 맥락과 단톡방을 활용한 상호작용, 기혼자의 역할 및 정체성이 어떻게 한국가족의 상호작용에 반영되는지를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이론적 함의를 지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lived experiences of married adults who interact with their families using a group chat application. In Korea where families do not have much time to interact face-to-face due to smaller households and increased individual social time, family group chats have become an important tool to interact without meeting face-to-face with family members. As family group chats are increasingly used to communicate with ones extended family and relatives as well as the nuclear family, group chats can be a tool to understand the family system including a wider range of subsystems. In addition, given that interacting with family members through group chats can be a family practice, examining this practice can help us understand how married people experience and organize their families. Lastly, since the symbolic meaning is based on ones role, identity, interaction, and context according to symbolic interactionism, we can understand the role of group chats in family communication, the context of Korean families when interacting with family members, and the role or identity of married people by exploring their lived experiences when interacting with family members using group chat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0 married women and men who routinely communicate with their children, spouses, parents, and parents-in-law through the Kakaotalk application, and who had experienced at least one family group chat. Data were analyzed based on van Manens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method.
The results showed that participants interacted with various family members such as extended family members and relatives as well as nuclear family members through group chats. They shared details about their daily life or discussed family events. Family group chats were also a place where family members gathered and communicated comfortably. However, they often were careful about exchanging messages so as not to lower the quality of family relationships. Participants also used and constructed family group chats in their own way. Family members were chosen to be included in group chats according to the quality of family relationships or conversation topics. Some family members left group chats when there were conflicts with other family members. Group chats became a tool for participants to conveniently interact from a distance instead of face-to-face with their family members. However, group chats could not replace face-to-face conversations or phone calls, as hearing family members voices and physical contact were still considered important for family relationships.
Family group chats were perceived as the virtual living room where the whole family gathered in various forms. First, family group chats were the virtual living room where various subsystems could gather virtually and keep in touch with family members who were difficult to meet face-to-face. Second, family group chats were the virtual living room where married people developed the family practice of sharing their daily lives and performing their family roles. Given that group chats were a virtual space, married people independently organized the space according to family relationships, such as excluding family members with whom they had uncomfortable relationships, or they left the group chats when there was a conflict. Third, family group chats were the virtual living room where traditional gender roles and patriarchy were evident in the context of Korean families. Fourth, family group chats were the virtual living room where the importance of face-to-face interaction between families for positive family relationships was emphasized in the era when people cannot live without a smartphone.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by exploring the lived experiences of married people who interact with family members using group chats by considering not only parents, children, siblings, and spouses, but also extended family members such as parents-in law and relatives. The findings have theoretical implications for understanding family group chats as a system, and examining how married people experience family in group chats. The findings also shed light on the context of the Korean family, the roles of family group chats, and the role and identity of married people in Korean family interactions.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3993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6762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