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남도 잡가 <보렴>의 기원과 20세기 판소리 창자의 <보렴> 수용 양상 : The origin of Namdo Japga and Pansori singers in the 20th-century Acceptance and Performance of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은비

Advisor
성기련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보렴남도 사당패판염불민간협률사판소리 창자남도 잡가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음악대학 음악과, 2023. 2. 성기련.
Abstract
This paper studies the origin and the acceptance pattern of pansori singers.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originated from the sound of Sadangpae in Gyeongseo-do, , and it had the same musical characteristics as it is today by Sinbangcho in the late 19th century. The preceding study on the origin of was reviewed by dividing it into the theory of the origin of in Sadangpae, Gyeonggi-do, and the theory of renovation of Sinbangcho. As a result of the review, all the hypotheses of the previous studies did not clearly explain the origin of so I tried to explain the origin of from a new perspective from the previous studies.

In Chapter II, through the editorial analysis of , it was found that shares various auspicious prayers such as , which was sung by shamanic songs in the Jeolla Province. Therefore, it could be found that originated not from the Sadangpaesori in Gyeongseo-do, but from a combination of Gosa-sori with a prayer function that existed independently in Namdo from before the 20th century. Through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examine the combination of various editorials and the possibility of intervention of the Changwoo group.

Chapter III examines the background of the acceptance of pansori singers in the early 20th century. By the end of the 19th century, the Sadangpae sound was treated as Japga in traditional society, and Pansori singers did not enjoy singing it, but from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Pansori singers began to sing in Jeolla-do. The background of Pansori singers' acceptance of the Sadangpae sound and call it was examined in connection with the activities of the singers of Namwon Hyeopryulsa led by Song Man-gap in the 1910s. It was confirmed that the Namwon Hyeopryulsa, led by Song Man-gap, belonged to Kim Jung-moon, who used to sing , and that some of the and lyrics of were shared among Song Man-gap and Kim Jung-moon's ≪Heungboga≫. Through the research in this chapter, it was found that as the pansori performance culture changed in the early 20th century, the singers of Namwon Hyeopryulsa, who pursued popularity, accepted the Sadangpae's and adapted it into . From the 1920s, was accepted by Pansori singers. The singing patterns of Pansori singers' in the mass media were examined through the List of Gyeongseong Broadcasting Station Korean Traditional Music Broadcasting』and the phonetic record. Until the 1940s, the classification name of was not decided, and it could be seen that two Namdo gisaengs sang mainly.

In Chapter IV, the musical changes of in the first and second half of the 20th century were examined mainly. sung by Lee Hwa-jung-sun, the younger brother of Lee Hwa-jung-sun, who learned the sound from Kim Jung-moon in Namwon Gwonbeon, and it has musical characteristics similar to the current . In the 1930s, Namdo gisaengs sang , and the rhythm frame was fixed to Jungmori-Jungjungmori rhythm. After the 1960s, the interfacial harmonization phenomenon accelerated, resulting in a longer length of the sound source, and a variety of sounds were used through the sound source analysis of Park Cho-sun and Han Nong-seon Chang and Ahn Sook-sun.
본 논문에서는 남도 잡가 의 사설을 분석하여 의 기원과 노랫말의 특징을 밝히고, 사당패 소리였던 이 창우집단으로 수용되는 과정과 20세기 초 이후 판소리 창자들이 부르는 의 음악적 특징에 대해 구명하였다.
제Ⅱ장에서는 의 사설 분석을 통하여 의 사설이 삼남지역의 무가와 절 걸립패가 부르던 등 다양한 축원적 기능을 하는 악곡들과 사설을 공유하고 있음을 밝혔다. 이 경서도 사당패소리 에서 기원했다는 선행 연구의 견해와 달리 의 사설은 20세기 이전부터 남도 지역에서 독자적으로 존재하던 축원적 기능을 갖는 무가와 고사소리 사설 등이 어우러져 완성된 것이며, 이러한 특징을 갖는 이유는 이 남도 사당패들이 부르던 에서 기원했기 때문임을 알 수 있었다.
제Ⅲ장에서는 20세기 초 판소리 창자들이 을 수용하게 되는 배경을 살펴보았다. 전통사회에서 잡가로 취급되던 사당패소리 을 판소리 창자들이 부르게 된 배경을 당대 공연 문화의 변동과 함께 살펴보았다. 그 결과 통속성을 추구한 남원협률사 소속 창자들이 1910년대부터 사당패의 을 수용하여 을 현행과 같은 음악적 특징을 갖는 곡으로 개작하여 부르기 시작했음을 알아내었다. 1920년대 이후에는 판소리 창자들이 남도잡가의 한 곡으로 을 부르기 시작함에 따라 대중매체에 나타난 판소리 창자들의 의 가창 양상을 유성기음반과 경성방송국 국악방송곡 목록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1920년대까지 의 악곡명과 갈래 명은 정해지지 않았으나, 1930년대 이후에 이라는 명칭으로 정착하여 남도 잡가의 첫 곡으로 부르기 시작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Ⅳ장에서는 20세기에 판소리 창자들에게 이 수용된 이후 의 음악적 변화를 살펴보았다. 현행 과 마찬가지로 중모리~자진모리의 장단 틀을 갖춘 최초의 음원은 남원협률사에서 활동한 김정문에게 소리를 학습한 이화중선과 그의 동생 이중선이 병창으로 1929년에 부른 임을 알 수 있었다. 1930년대 이후 은 남도 잡가의 첫 곡으로 자리매김하면서 여류 명창에 의해 불러졌다. 1960년대 이후의 의 음원은 박초선·한농선 창 과 안숙선 창 을 통해 살펴보았다. 20세기 후반기에 은 남도 잡가화 되어 계면조화 현상에 따라 음원의 길이가 길어지고 다양한 시김새가 구사되는 양상을 보였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4108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5191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