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루시에(A. Lucier)와 로젠붐(D. Rosenboom)의 뉴로피드백 음악(Neurofeedback Music) 연구 : A Study on Neurofeedback Music by Alvin Lucier and David Rosenboom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예림

Advisor
오희숙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뇌파(Brainwaves)알파파(Alpha Waves)음화(Sonification)뉴로피드백 음악(Neurofeedback Music)앨빈 루시에(Alvin Lucier)데이비드 로젠붐(David Rosenboom)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음악대학 음악과, 2023. 2. 오희숙.
Abstract
The 21st century has been greatly interested in the brain, whose role has been extensively studied in various areas. The 'brain' has also emerged as a keyword in music, shortly after its increasing interest in medicine, and studies have actively investigated music-related human behavior in music perception and cognition. In addition to the scientific aspects, the brain is starting to be used as a creative element of music.
Brainwaves, energy generated in the brain, are used in music composition. Following Alvin Lucier (1931-2021) in the 1960s, Richard Teitelbaum (1939-2020) and David Rosenboom (1947-) have used brainwaves as a creative material. Similarly, Eduardo Reck Miranda (1963-) is actively combining brain waves with computer programs for Brain-Computer Music Interface. However, there is currently a lack of musicological studies involving the brain. Although studies are actively discussing the technical aspect of music composition using brain waves, there are limited specific research and aesthetic approaches.
This raises questions on the definition of music composed from brain waves, their aesthetic meaning and value, and the status of such music in modern music. To answer these questions, music composed from brainwaves through in-depth review of works by Lucier and Rosenboom were examined and thereby investigated the meaning of 'brain' used in modern music. Herein, music created with brainwaves was defined as Neurofeedback Music, and Music for Solo Performer (1965) by Lucier and On Being Invisible (1965) and On Being Invisible II: Hypatia Speaks to Jefferson in Dream (1994-95) by Rosenboom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analyses, three aesthetic meanings of neurofeedback music were derived.
In the three music pieces by Lucier and Rosenboom, alpha waves were used as the basic musical material. Rosenbloom added event-related potentials and used computer algorithms to compose music in a new innovative way. Brainwaves were measured from participants wearing electroencephalogram (EEG) on stage. As a result, Music for Solo Performer by Lucier show indeterminacy and improvisation. Indeterminacy is shown by the brain waves whose input value are always fluctuating and unpredictable. In addition, improvisation is shown in different aspects. This is indicated by brainwave data changing real-time depending on the stage, condition of the participant, and engineer who manipulates the variables.
On Being Invisible and On Being Invisible II by Rosenboom also show characteristics of indeterminacy and algorithmic improvisation. Indeterminacy is shown by alpha waves and event-related potential that do not repeatedly produce specific values as they are responses of the participants to external stimuli. Improvisation can be observed in that music is created by interaction between participants and circumstances on the stage as seen in the work by Lucier. However, in Rosenboom's work, data were input into an algorithm, and hence, algorithm improvisation is observed within the algorithm, which fluctuates depending on the situation.
A total of three aesthetic meanings of neurofeedback music can be derived from analysis of works by Lucier and Rosenboom. The first aesthetic meaning is the sound of consciousness expressed using technology. Although brainwaves do not show our thoughts, they indicate a state of consciousness that humans are performing cognitive and physical actions. Neurofeedback music selects a specific method named brainwaves and express the consciousness of participants as music with technology.
The second aesthetic meaning is interactiveness. As brainwaves are measured, the data are converted into sound, which is played on stages. Since the sound is transmitted back to the EEG wearer as an auditory stimulus, the participants (the EEG wearers) react again to form brainwaves. In this process, the brainwaves, expressed as sound, and participants continue to communicate and influence each other. As a result, a feedback system connecting the real-time brainwaves and external environment is formed, establishing a continuous interaction. Lastly, EEG wearers who participate in neurofeedback music are transformed into homo artis. Neurofeedback music uses brainwaves, and hence, participants can create the materials needed to make up music from the inside of their bodies without any specialized training or education. Therefore, brainwaves become the raw material that composes the music, and in the process, the participants simultaneously become artistic products and artists themselves and subsequently homo artis.
Following the advancement in brain research, there is an increasing tendency to apply the results of research to music. As art has gradually become a means of imagining and exploring the meaning of technology, there is an increasing interest in the trend of change in the relationship of brain with music. Neurofeedback music has helped to establish an interdisciplinary connectivity between science and art through a new material, 'brain'. Thus, it is expect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brain and music will grow more artistic and creative. Neurofeedback music is expected to become part of the modern music history, and follow-up studies on the scientific, technical, and aesthetic aspects would be conducted in the future.
21세기는 뇌가 지배하는 세상이 되었다. 다양한 분야에서 뇌를 접목하기 시작한 것이다. 이제는 의료계를 넘어서서 음악 분야 내에서도 뇌가 핵심 키워드로 등장하게 되면서 음악지각인지 분야에서 음악과 관련된 인간의 행위를 연구하는 경향이 활성화되고 있다. 그리고 과학적 측면 외에도 이제는 뇌를 음악의 창작 요소로 사용하기 시작했다.
음악 창작의 경우, 뇌에서 발생하는 에너지인 뇌파(Brainwave)를 활용한다. 1960년대 앨빈 루시에(Alvin Lucier, 1931-2021)를 시작으로, 리차드 타이텔바움(Richard Teitelbaum, 1939-2020), 데이비드 로젠붐(David Rosenboom, 1947-)이 뇌파를 창작의 재료로 사용했으며, 에두아르도 미란다(Eduardo Reck Miranda, 1963-)는 뇌-컴퓨터 음악 인터페이스(Brain-Computer Music Interface) 분야에서 적극적으로 뇌파를 컴퓨터 프로그램과 접목하여 작품 활동을 하고 있다. 하지만 이 분야에 관한 음악학적 연구는 매우 드물다. 뇌파를 활용한 음악 작품에 대한 기술적 측면의 논의가 주를 이루며, 작품 자체에 관한 구체적 연구 및 미학적 접근은 미미하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뇌파를 활용한 음악은 무엇이며, 이것의 미적 의미와 가치는 무엇인가? 이 음악이 현대음악 흐름 가운데 어디에 위치할 수 있는가? 그 해답을 차기 위해 연구자는 루시에와 로젠붐의 작품에 관한 심층적 연구를 통해 뇌파를 이용한 음악을 들여다보고, 이로부터 현대음악에서 사용되고 있는 뇌의 의미를 고찰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는 뇌파를 활용한 음악을 뉴로피드백 음악(Neurofeedback Music)으로 칭한 후, 루시에의 (Music for Solo Performer, 1965)과 로젠붐의 (On Being Invisible, 1976-79)와 〈보이지 않는 것에 대하여 2: 꿈속에서 제퍼슨에게 말하는 히파티아〉(On Being Invisible II: Hypatia Speaks to Jefferson in Dream, 1994-95)를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작품 연구를 진행한 후 뉴로피드백 음악의 미학적 의미를 세 가지로 도출하였다.
루시에와 로젠붐의 세 작품은 모두 알파파(Alpha Waves)를 기본 음악 재료로 사용하였으며, 로젠붐의 경우 사건관련전위(Event-Related Potentials)를 추가하고, 컴퓨터 알고리즘을 활용해 새로운 방식의 음악을 창작해내었다. 이때 뇌파는 무대 위의 뇌파 측정 기계(EEG)를 착용한 참여자로부터 측정된다. 그에 따른 결과로, 루시에의 은 불확정성(Indeterminacy)과 즉흥성(Improvisation)의 특징을 지닌다. 먼저 불확정성은 음악적 소재가 뇌파라는 점에서 음악에 입력되는 값이 항상 변동되며 예측될 수 없다는 점에서 드러난다. 두 번째로 즉흥성은 다양한 양상에서 드러난다. 실시간으로 축출되는 뇌파 데이터가 무대 위 상황에 따라, 참여자의 상태가 바뀜에 따라, 그리고 변수를 조작하는 엔지니어의 선택에 따라 계속해서 변한다는 점에서 즉흥성을 살펴볼 수 있다.
로젠붐의 와 에서 역시 불확정성과 알고리즘적 즉흥성(Algorithmic Improvisation)이 드러난다. 불확정성은 알파파와 사건관련전위는 외부 자극에 따른 참여자의 반응이기 때문에 특정한 값이 반복적으로 나오지 않는다는 점에서 드러난다. 다음으로 즉흥성은 루시에의 작품과 동일하게 참여자와 무대 위 상황에 따라 서로 간 상호작용하며 음악이 만들어진다는 점에서 살펴볼 수 있다. 하지만 로젠붐 작품의 경우 알고리즘에 데이터가 입력되면서 알고리즘 내부에서 자체적으로 상황에 따라 변동되는 알고리즘적 즉흥성이 드러난다.
루시에와 로젠붐의 작품 연구를 통해 뉴로피드백 음악의 미학적 의미는 다음의 세 가지로 도출될 수 있다. 첫 번째 미학적 의미는 테크놀로지로 구현된 의식의 소리이다. 뇌파가 어떤 생각을 하고 있는 것인지는 보여주지 못하지만, 인간이 인지적, 신체적 행위를 하고 있다는 의식 상태를 보여준다. 즉, 뉴로피드백 음악은 뇌파라는 특정한 방식을 선택하여 테크놀로지의 도움을 받아 뇌파를 찍는 참여자의 의식의 세계를 소리로 이끌어낸다.
두 번째는 인터랙티브니스(Interactiveness)이다. 뇌파가 측정되고, 그 데이터가 소리로 변환되며, 변환된 소리는 무대 위에서 재생된다. 그리고 그 소리가 청각적 자극으로 다시 EEG 착용자에게 전달되면서 참여자는 다시금 반응함으로써 또다른 뇌파를 형성한다. 이렇게 뇌파와 표출된 소리, 그리고 참여자는 계속해서 대화하며 서로 영향을 주고받게 된다. 이로써 실시간으로 형성되는 뇌파와 외부 사이를 잇는 피드백 시스템이 형성됨으로써 지속적인 상호작용의 면모가 드러난다.
마지막으로 뉴로피드백 음악에 참여하는 EEG 착용자가 예술인간(homo artis)으로 변모한다는 것이다. 뉴로피드백 음악은 뇌파를 사용함으로써 참여자는 전문적인 훈련과 교육을 받지 않아도 음악을 구성하는 재료를 신체 내부에서 만들어낼 수 있다. 결국 참여자의 뇌파는 음악을 구성하는 원료가 되고, 그에 따라 음악이 형성되면서, 참여자는 창조자이면서도 동시에 예술적 산물이 되어 스스로 예술 자체가 된 예술인간이 된다.
뇌에 대한 연구가 발전함에 따라 그 연구의 결과를 음악에 적용하는 현상이 점차 커지고 있다. 이에 예술이 기술에 대한 의미를 상상하고 탐구하는 하나의 수단이 되면서 음악과 뇌가 어떻게 연결되는지에 대한 변화의 추이는 주목될 수밖에 없다. 뉴로피드백 음악은 뇌라는 새로운 재료를 통해 과학과 예술을 넘나드는 간학문적 연결성을 내다보는 하나의 초석을 세웠기에, 뇌와 음악의 관계가 더 예술적이고 창조적으로 발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뉴로피드백 음악이 현대음악사 안에 자리매김될 수 있을 것으로 보며, 이후 과학적, 기술적, 미학적 측면을 포괄하는 후속 연구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4110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6434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