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Perinatal outcomes of triplet pregnancy experiencing vaginal birth : 질식분만을 경험한 삼태아 임신에서 주산기 예후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강민지

Advisor
전종관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Triplet pregnancyMode of deliveryTrial of laborTOLMaternal outcomesNeonatal outcomes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의과대학 의학과, 2023. 2. 전종관.
Abstract
Background: In clinical practice, most pregnant women with triplet pregnancy deliver via cesarean delivery. However, there are few data regarding the optimal delivery mode in triplet pregnancy, and previous studies were based on observational studies with conflicting results.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whether trial of labor (TOL) is an alternative option for triplet pregnancy.

Study design and population: This retrospective cohort study included women with triplet pregnancy who were delivered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since November 1997 to December 2021. The candidates for TOL were defined as the presenting part of the first fetus was vertex in triplets with absence of any contraindication for vaginal delivery. We compared maternal and neonatal outcomes between women with triplet pregnancy with attempted vaginal delivery and those with planned cesarean delivery. To reduce selection bias in the decision on the mode of delivery, we also used the propensity score matching method to compare the two groups.

Results: Of 487 triplet pregnancies, 216 were identified as candidates for TOL. Of these, 84 (39%) women attempted vaginal delivery, and 132 women chose planned cesarean delivery. Among the 84 cases of attempted vaginal delivery, 74 (88%) cases had successful vaginal delivery. Women who attempted vaginal delivery were more likely to be older and multiparous, have spontaneous preterm labor or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s, or receive antenatal corticosteroids and antibiotics. The rates of maternal and neonatal morbidities did not differ between cases of attempted vaginal delivery and those of planned cesarean delivery. The duration of hospital stay after delivery was shorter in cases of attempted vaginal delivery than in those of planned cesarean delivery. After propensity score matching to reduce these factors, the risks of maternal and neonatal morbidities did not differ between the two matched groups.

Conclusion: In triplet pregnancy, attempted vaginal delivery did not increase the risk of maternal and neonatal morbidities, and it resulted in a shorter postpartum hospital stay. Our data suggest that vaginal delivery in triplet pregnancy can be attempted at a hospital with staffs that have experience with breech vaginal delivery of multiple pregnancies.
배경: 임상적으로, 대부분의 삼태아 임신은 경험적으로 제왕절개 방법을 통해 분만된다. 그러나 삼태아에서 적절한 분만 방법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며, 이전의 대부분의 연구들은 관찰연구이고 그 결과 또한 논쟁의 여지가 있다.

목적: 이 연구는 삼태아에서 자연분만의 시도(trial of labor, TOL)를 분만방법으로 선택할 수 있을지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연구 설계: 1997년 11월부터 2021년 12월까지 서울대학교병원에서 분만한 삼태아 임산부 및 삼태아를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분만 시도의 대상자는 첫 번째 태아의 선진부가 두위이고 질식분만의 금기사항이 없는 산모를 대상으로 하였다. 자연분만을 시도한 군과 제왕절개를 계획하여 시행한 군 사이에 산모 및 신생아의 이환율을 비교하였다. 분만 방법을 결정하는 데에 있어서 선택 편의(selection bias)를 줄이기 위해 성향점수 매칭(propensity score matching) 방법을 사용하였다.

결과: 487쌍의 삼태아 임신 중에서 216건이 분만시도의 적응증이 되었다. 그 중 84(39%)명의 산모가 자연분만을 시도하였으며, 132명은 제왕절개를 계획하여 시행하였다. 84명의 자연분만을 시도한 경우 중에 자연분만에 성공한 건수는 74건이었다(88%). 자연분만을 시도한 군에서 산모의 나이가 더 많았고, 경산모였으며, 자연조기진통이나 조기양막파수, 스테로이드나 항생제를 미리 투여 받은 경우가 더 많았다. 산모 및 신생아의 예후는 자연분만을 시도한 군과 계획된 제왕절개를 시행한 군에서 의미 있는 차이가 없었다. 재원기간은 자연분만을 시도한 군에서 의미 있게 더 짧았다. 성향점수 매칭 방법을 사용하여 비교한 경우에도, 두 군 간에 예후의 차이가 없었다.

결론: 삼태아 임신에서 자연분만을 시도하는 것은 산모 및 신생아의 이환율을 높이지 않을뿐더러, 병원 재원기간을 줄인다. 그러므로 다태아 임신의 자연분만에 충분한 경험이 있는 병원에서는 삼태아의 자연분만 시도가 가능할 수 있겠다.
Language
eng
URI
https://hdl.handle.net/10371/194179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4884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