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Prediction of probability for performing surgical treatment in the patients with lumbar spinal stenosis according to the severity of stenotic lesions: a 5- to 10-year follow-up study : 요추 척추관 협착증 환자에서 협착 병변의 중증도에 따른 수술적 치료 시행 가능성 예측: 5~10년 추적 연구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강동호

Advisor
김호중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lumbar spinal stenosisnatural historysurgical decisionmagnetic resonance imagingqualitative grading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의과대학 의학과, 2023. 2. 김호중.
Abstract
Background: We aimed to clarify difference in the surgical probabilities of lumbar spinal stenosis (LSS) with respect to surgical treatment according to severity of stenosis on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using qualitative grading system.
Methods: With the design of ret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a total of 1,008 patients diagnosed with LSS between 2011 and 2014 at our hospital were followed up for the mean duration of 7.6 years (5.17–9.8 years). We investigated severity of central and foraminal stenosis on initial MRI using Lee classification system and whether surgical treatment was performed. Logistic regression models were used to identify risk factors for surgery.
Results: During the mean follow-up period of 7.6 years, grade 3 maximal central stenosis showed the highest percentage of surgical treatment (57.9%–62.3%)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urgical probabilities according to concomitant foraminal stenosis. Surgical probabilities in grade 2 maximal foraminal stenosis was 22.2%-62.3% depending on concomitant central stenosis. Surgical probabilities in grade 3 maximal foraminal stenosis, were 22.2%–62.3% and 33.3%–57.9%, depending on concomitant central stenosis. Maximal central stenosis of grade 3 (OR [95% CI]: 3.90 [2.75–5.54]) and maximal foraminal stenosis of grade 2 or 3 (OR [95% CI]: 1.59 [1.21–2.09]) were significant risk factors for surgical treatment.
Conclusions: The high grades of maximal central and foraminal stenosis were risk factors for surgical treatment. Surgical probabilities were increased with higher grade of central and foraminal stenosis during the mean follow-up period of 7.6 years.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natural history of LSS differs according to grade of maximal central and foraminal stenosis.
배경: 요추 척추관 협착증 환자의 진단 당시의 초기 자기공명영상촬영(MRI)에서 협착의 정도를 평가하는 정성적 등급 체계로 평가한 방사선학적 중증도에 따른 보존적 치료 실패 및 수술 가능성을 추정하고자 하였다.
방법: 후향적 관찰 연구로서 2011년부터 2014년까지 우리 병원에서 요추 척추관 협착증 진단을 받은 총 1,008명의 환자를 평균 7.6년(5.17-9.8년) 동안 추적 관찰했다. 이성훈 등이 보고한 정성적 등급 시스템을 사용하여 진단 당시의 초기 MRI에서 중심 협착 및 추간공 협착의 중증도를 조사하였고, 추시 기간 중 환자의 수술적 치료 여부를 조사했다. 로지스틱 회귀 모델로 수술의 위험 요소를 식별하고자 하였다.
결과: 평균 추시 기간 7.6년 동안 3등급의 최대 중심 협착증인 환자들이 가장 높은 비율(57.9%-62.3%)로 수술적 치료를 받게 됨을 확인하였고, 이들에게 동반된 추간공 협착증에 따른 수술 확률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2등급과 3등급의 최대 추간공 협착증에서 수술을 받게 될 확률은 동반되는 중심 협착에 따라 각각 22.2%-62.3% 및 33.3%-57.9%였다. 3등급의 최대 중심 협착증(교차비, 3.90)과 2등급 또는 3등급의 최대 추간공 협착(교차비, 1.59)이 보존적 치료 실패의 유의한 위험인자였다.
결론: 높은 등급의 최대 중심 및 추간공 협착은 보존적 치료 실패의 위험인자였다. 진단 당시의 초기 MRI에서 협착증의 정도에 따라 수술적 치료의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결과는 요추 척추관 협착증의 자연사가 최대 중심 및 추간공 협착의 등급에 따라 다르다는 것을 시사한다.
Language
eng
URI
https://hdl.handle.net/10371/194183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4201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