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Risk Factors of Refractory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among Very Low Birth Weights Infants : 극소저출생체중아에서 불응성 호흡곤란증후군의 위험요인에 관한 연구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신정민

Advisor
최창원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preeclampsiapreterm infantpulmonary surfactantsrespiratory distress syndromevery low birth weight infant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의과대학 의학과, 2023. 2. 최창원.
Abstract
Objective
To evaluate risk factors of refractory respiratory distress (RDS) among very low birth weight (VLBW) infants.
Method
VLBW infants who were born and registered in Korean Neonatal Network (KNN) between January 2013 and December 2020 were analyzed. Infants who died within postnatal 5 days, were not diagnosed as RDS, or were not given surfactant were excluded. Study population was divided into non-refractory RDS group in which infants were administered surfactant once, and refractory RDS group in which infants were administered surfactant 2 or more times. Adjustment of confounding factors were done by multivariable logistic regression.
Results
After adjusting with confounding factors, male sex (adjusted odds ratio (aOR = 1.169), cesarean section delivery (aOR = 1.576), presence of maternal hypertensive disorders of pregnancy (aOR = 1.538), low 5 min Apgar score (aOR = 1.237) were analyzed as risk factors of refractory RDS. Gestational age (aOR = 0.795), completion antenatal steroids administration (aOR = 0.809) and presence of chorioamnionitis (aOR = 0.792) were shown to be protective factors of refractory RDS. Overall neonatal outcomes of refractory RDS group including various respiratory morbidities were poor compared with the non-refractory RDS group.

Conclusion
Maternal hypertensive disorders of pregnancy were found to be considerable risk factors of refractory RDS in addition to previously known risk factors of RDS. Perinatal distress represented by low 5 min Apgar score was also found to be a risk factor of refractory RDS.
목적
조산아들에게서 초기 호흡기 상태는 치료 경과에도 영향을 미치며 장기적으로 성장 발달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같은 재태 연령, 출생 체중을 가진 조산아들이더라도 조산과 연관된 여러 주산기 요인들에 따라 서로 다른 초기 호흡기 질환의 중등도를 보인다. 본 연구를 통하여 Korean Neonatal Network (KNN)에 등록된 조산아들 중 출생 초기 2회 이상 폐표면활성제를 투여해야 했던 조산아들과 1회만 투여하였던 조산아들을 비교하여 출생 초기 호흡기 경과의 중증도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 요인들을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2013년 1월부터 2020년 12월 사이에 KNN에 등록 된 재태 연령 23이상, 32주 미만의 조산아들 중 호흡곤란증후군으로 폐표면활성제를 1회 이상 투여하였던 경우를 대상으로 하였다. 폐표면활성제를 1회만 투여 받았던 비 불응성 호흡곤란증후군 군과 2회 이상 필요하였던 불응성 호흡곤란증후군 군으로 나누어 불응성 호흡곤란중후군의 위험 요인과 조산아 유병율을 비교해 보고, logistic regression을 통하여 odds ratio를 구한다.
결과
총 10,560명의 대상자 중 비 불응성 호흡곤란증후군 군이 7,732명 (73.2%), 불응성 호흡곤란 증후군 군이 2,828명 (26.8%) 이었다. 단변량 분석을 통해 확인 된 교란 변수들로 보정하였을 때 남아 (aOR = 1.237), 제왕절개 분만 (aOR = 1.576), 산모의 임신 연관 고혈압성 질환 (aOR = 1.538) 그리고 낮은 5분 아프가 점수 (aOR = 1.237) 이 불응성 호흡곤란 증후군 군의 위험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재태 연령 (aOR = 0.795), 산전 스테로이드 투여의 완료 (aOR = 0.809), 융모양막염의 존재 (aOR = 0.792) 들은 불응성 호흡곤란 증후군 군의 위험을 낮추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산전 요인들로 보정하였을 때 전반적은 신생아 유병율 및 질환 이환율은 불응성 호흡곤란 증후군 군에서 불량하였다.

결론
기존에 호흡곤란증후군의 위험 인자로 알려진 재태 연령, 출생 체중, 성별과 더불어 산모의 임산 연관 고혈압성 질환은 호흡곤란 증후군의 위험요인이며, 초기 호흡기 상태를 악화시키는 요인이다. 낮은 5분 아프가 점수로 대변되는 주신가 곤란 또는 분만 가사 또한 불응성 호흡곤란 증후군의 위험요인이다.
Language
eng
URI
https://hdl.handle.net/10371/194188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5952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