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Lineages, Legitimation, and the Materiality of Sŏn Masters in Late Chosŏn Buddhism (17th-19th centuries) in Korea : 조선시대 후기(17-19세기) 불교의 법통과 선사 관련 물질 문화: 보현사와 대둔사에서 전개된 청허 휴정의 법통과 물질문화
The Role of Materiality in the Emergence and Development of Ch'ŏnghŏ Hyujŏng's Lineage at Pohyŏnsa and Taedunsa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TROMBETTA MARCO

Advisor
이주형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법통설보현사대둔사선사 (禪師)물질문화청허휴정권력승탑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인문대학 고고미술사학과(미술사학전공), 2023. 2. 이주형.
Abstract
본 연구는 조선후기 (17-19세기)에 일어난 불교계의 변화, 그리고 이 변화와 연결된 불교 물질성의 역할을 고찰한다. 조선시대 후기의 대표적인 특징은 선종의 부흥과 법통설의 설립과 전개라고 말할 수 있다. 법통설은 선사(禪師)를 불교의 종교적 경험의 핵심적인 요소로 만들었다. 결과적으로 불교계에 새로운 지도층이 등장하면서 조선 불교의 성격은 전반적으로 변화되었다.
조선후기에 다양한 종류의 선사 관련 물질문화가 대량으로 생산되고 널리 유포되었다. 승탑, 탑비, 진영, 가사, 발우 등, 다양한 매체를 포함한 이 물질문화는 본래 한반도에 알려져 있었으나 조선후기 불교계의 변화와 함께 그의 상징적인 의미와 용도가 크게 바뀌었다. 새로운 불교의 패러다임의 설립과 전개에 선사 관련 물질문화는 근본적·적극적인 열할을 맡았다.
논문은 두 부분으로 나눠져 있다.
1부는 법통설의 설립과 전개과정에 집중한다. 법통설은 조선 후기 불교의 새로운 패러다임이 되고 한반도의 불교를 혁명적으로 변화시켰다. 17세기 초반에 묘향산 보현사의 교단에 의해 본격적으로 설립된 법통설 개념의 전개는 지적 작업이었으나 이 개념이 성공하기 위해 필수적인 요소 중 하나는 선사 관련 물질 문화였다. 이 물질문화는 상징성이 높고 누구나 직접적으로 접근하기가 쉽다. 선사를 불교의 핵심으로 삼는 법통설은 이러한 물질 문화의 힘 덕분에 성공적으로 확산할 수 있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법통설을 설립한 교단은 이미 한반도에 현존하던 다양한 물질적 매체의 의미를 사용하고 변경했다. 선사 관련 물질성은 문헌으로 시작한 이론적인 개념한테 누구에게나 직접 경험할 수 있는 확실한 모양새를 주었다. 제1장에서는 법통설의 이론적인 면을 검토하고 제2장에서는 법통설을 탄생시키기에 선사 관련 물질문화는 어떤 역할을 가졌는지에 대해 고찰하고 그 역할의 범위를 탐색했다. 당시 선사 관련 물질문화의 생산과 그의 의미 확정을 선도한 이들은 교단의 리더가 된 승려들이었다는 사실을 밝히고나서 그들의 원래 목표에 집중하고 보현사 교단의 맥락에 나타난 결과를 연구했다. 1부에 연구되는 물질문화는 주로 선사의 사리 그리고 이와 관계 있는 대형 유물 (승탑, 비석)이었다는 점이 중요한 특징이다.
2부에는 해남 대흥사/대둔사가 소유하던 다양한 선사 관련 유물의 해석과 이 유물들과 연결된 여러 사건의 예를 통해 법통설의 전국적인 확산, 그리고 이 확산과 함께 일어난 선사 관련 물질문화의 개념적인 변화를 해석해 보고자 한다. 초기 법통설은 명확한 지역에 활동하던 교단의 확실한 리더십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그런데 그 힘은 상당했기 때문에 법통설을 구체화시킨 물질문화와 함께 조금씩 변경되면서 조선의 다른 지역과 각 지역의 교단에 상당한 속도로 확산되었다. 물질문화는 이 확산 과정에 상당한 역할을 맡았는데 동시에 선사 관련 물질문화의 의미는 각 지역과 종교적 상황에 맞춰서 새로운 의미를 가지게 되었다. 2부는 연구 범위의 문제로 인해 대둔사의 사례에만 집중하지만 비슷한 상황을 조선후기 동안 번창한 거의 모든 사찰에서 찾을 수 있다. 선사 관련 물질문화의 연구를 통해 조선후기 교단 구성원들의 자기 인식, 교단과 후원 추구의 문제, 불교자들과 물질성의 복잡한 관계, 사찰의 물질적 재산에 대한 승려의 인식 등 다양한 흥미로운 주제를 탐구할 수 있고, 불교사에 대해 보다 깊은 이해를 얻을 수 있다. 1부에 등장한 유물에 비해 2부에 등장하는 선사 관련 물질문화는 형식적으로나 성격적으로나 보다 다양하다는 것이 특징이다. 이 점은 선사 관련 물질문화 용도의 다양화를 반영한다.
This dissertation explores the role of materiality in the development of Korean Buddhism during the Late Chosŏn period, between the seventeenth and the nineteenth centuries. The Buddhism of this period is characterized by the introduction of newly developed Dharma lineage narratives, which put the figure of the Sŏn master at the center of the contemporary religious experience. From this, a new leadership emerged, reshaping the whole Korean monastic community.
A large amount of materiality connected to Sŏn masters was produced and circulated in the Late Chosŏn period. While most of the media forming this complex corpus (including stupas, funerary/hagiographic steles, portraits, monastic robes, alms bowls) were already known in the Korean peninsula in the previous historical periods, the new developments in Buddhism since the seventeenth century attributed to the materiality of Sŏn masters new meanings and functions. Crucially, this reinvented materiality had a fundamental, active role in the development and diffusion of the new Buddhist paradigm.
This dissertation is divided in two sections, each one exploring the events at two of the key Buddhist sites of the Late Chosŏn period, Pohyŏnsa on Mount Myohyang, and Taedunsa (or Taehŭnsa, as it is currently known) on Mount Turyun. Part One thus focusses on the early phases of lineage narratives in connection with the community centered around master Chŏnghŏ Hyujŏng at the Pohyŏnsa monastery. Here, I argue that lineage narratives, and the related reinvention of Sŏn master materiality, were first implemented as tools to settle local issues of succession after Hyujŏng death. I first introduce the textual sources that contributed to the creation of lineage narratives and those that supported the affirmation of Sŏn masters as the central figure of Late Chosŏn Buddhism. I then attempt to demonstrate the role of materiality in the creation of these texts, as well as its practical implementation (especially through the construction of steles and stupas) in the processes of monastic succession and leadership assessment at Pohyŏnsa. In due time, I conclude, these tools proved so powerful and adaptable that the forms of Buddhism they promoted spread to all the regions of the country, transforming the nature of Korean Buddhism in its entirety.
Part Two discusses the expansion and transformation of the new forms of Buddhism, focusing on the Sŏn master related material production of Taedunsa monastery through a series of interconnected case studies. In it, I attempt to demonstrate how the community of Taedunsa adopted and adapted the paradigms of the materiality of Sŏn masters discussed in Part One. Through the adoption of these new paradigms, Taedunsa, once a minor monastery, quickly rose to prominence to a national level. This was achieved through creative and manifold adaptations of Sŏn master materiality, which allowed the monastery to grow a solid and stable leading group, to negotiate its social and economic role on a par with the state and the Confucian community, and to maintain a lasting influence on the Buddhist community of the whole Chosŏn kingdom.
Language
eng
URI
https://hdl.handle.net/10371/194225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6950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