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박완서 소설에 나타난 모녀 관계 연구 : A Study on the Mother-Daughter Realationships in Park Wansuh's Novel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윤민희

Advisor
손유경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박완서모녀 관계한국 전쟁모녀 결속노년돌봄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2023. 2. 손유경.
Abstract
This thesis explored the complex web of emotions that emerge between mothers and daughters that dominate Park Wansuhs novels and form the mainstay these narratives. To do this, the mother-daughter narrative was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literary arguments that have thus far shaped the discourse around Parks novels including Korean War and testimonial narratives, narratives of middle-class womens survival tactics, events that became the catalyst for womens liberation, and the literary representations of old age and aging.
As an effect of the Korean War of 1950, the South Korean family structure underwent massive change with the decrease in household size. I have argued that it was during this time that mothers and daughters were compelled to adopt what I call maneuvering as a survival tactic. I use maneuvering to shed light on the literary and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mother-daughter narrative and the unique emotions that bonded them. Furthermore, I have contrasted the different sources of life that mothers and daughters in Parks novels depended on. I have shown how mothers in Parks work often fall into deep despair after losing their sons to war, and thereby also forfeit their will to live. In stark contrast to this, the daughters draw their will to live from their own decision to cherish their lives and a form of self-love. Previous discourse has not delved into these aspects of the mother-daughter relationship, and it is these very gaps that I have tried to fill through my thesis. Scholars have disproportionately fixated on the genders of the mothers and daughters and have long since argued that daughters are the only characters in Parks novels who have acknowledged the mothers subjectivity as a woman, and their internal development is often triggered by their understanding of their mothers who had grown up in an era of war and industrialization. There has also been a tendency to look at the love-hat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and daughters through a psychoanalyst lens to show that daughters are destined to hate and envy their mothers.
This thesis has mainly examined the mother-daughter relationship that appears in the serialized novels and late short stories published during the period of 1980 to 1990 and discovered a new facet to the mother-daughter narratives. I scrutinized the significance of daughters leaving their mothers in the early short stories to become independent, and then returning in the later short stories to care for their mothers. I have examined the way the daughter, constructed as a caregiver, and the bond formed between the caregiver (daughter) and the recipient (mother), i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caregiver role assumed by a wife for her husband and a daughter-in-law for her mother-in-law.
In 2.1., I examined the novels set in colonial Korea and the Korean war to look at the changes to the family structure and its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and daughters. I have shown how " Eommaui malttuk Ⅰ " (Mothers Stake Ⅰ), set before the Korean war, exemplifies the formation of the family around the mother. Thus, instead of focusing on the absence of the father brought on by the war that often led to the death of the male members in the family, and then on narrative of the family composed of mothers and sons, I looked at how the death of the men in the family affected the mother-daughter relationship and the methods of survival they adopted. I analyzed the rest of the novels similarly to argue that the physical and mental wounds and/or death of the son became a catalyst for internalizing anxieties about survival and about strangers. Moreover, this demise also led to the decision-making power, which was indispensable to running a family fell to the women, i.e., the mothers and daughters.
In 2.2., I examined novels such as Namok (The Naked Tree), Geu manteon singaneun nuga da meogeosseulkka (Who Ate Up All the Shinga?), Mongmareun gyejeol (The Thirsty Season) and Geu sani jeongmal geogi isseosseulkka (Was that Mountain Really There?) to explore the daughters shifting away from pining for their mothers love to finding self-worth in their own existence. In part, this thesis was also aimed at delineating the emotional response expressed by the daughters when their mothers lost their will to live upon their sons death. Thus, in this chapter, I looked at how Lee Kyungs selfhood in The Naked Tree culminates because after losing her mothers love and forces her consciousness to move out of her and externalize. Moreover, I showed how the love Lee Kyung has for Ok Hee Do helps her reaffirm her subjectivity.
In 3.1., I examined the return of the daughters who had left home in early short stories due to social realities, and the symbolic meaning of care they perform when they return in later short stories, to stay by their sick mothers and take care of them. The independence displayed by them contrasts with the kind asserted by sons during their puberty. While Closing the Door becomes the sons way of asserting their independence, it is Leaving the House that becomes the daughters. However, the daughters departure from the house also constitutes an abandonment of the mother as portrayed in " Mujung " (In the Fog) and " Museoun aideul " (The Scary Children). Furthermore, since the independent daughters return home becomes the basis on which their new subjectivity as the caregiver of their old, sickly mothers is established, I looked at how the daughters homecoming is deeply intertwined with their role as the caregiver. I analyzed " Eommaui malttuk Ⅱ " (Mothers Stake Ⅱ), " Hwangagui nabi " (The Butterfly of Hallucination), and " Gilgo jaemieomneun yeonghwaga kkeunnagal ttae " (When the Long and Boring Movie Ends) to explore the complex emotions daughters experience when they become their mothers primary caregivers. These short stories are written in a first-person narrative with the daughter talking about her relationship with her mother and constitute the Daughters Mother narratives.
In 3.2., I dissected the bonds of caregiving that exist between mothers and daughters following Parks emphasis on the distortion of the care daughters provide to mothers. In the later short stories, the bond that emerges between the caregiver (daughters) and the recipient of such care (mothers), i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bond that emerges between wives taking care of their husbands of daughters-in-law taking care of their mothers. The difference being that although the role of the caregiver is often seen as falling under female purview in the way it is passed down from woman to woman, society precludes daughters from holding the title of the caregiver absolutely. I looked at " Eommaui malttuk Ⅲ " (Mothers Stake Ⅲ) to show how the mothers funeral is not led by the daughter but the eldest grandson of the mother, an act that alienates the daughter from becoming the owner of the care despite performing it. Furthermore, I analyzed The Butterfly of Hallucination and When the Long and Boring Movie Ends to investigate the guilt the daughters experience for having usurped the role of caregiver from the eldest son of the mothers oldest brother. The internal compensation (reward) given to the daughter who takes care of the mother and the conflicts and psychological difficulties (shame) among family members are the main psychological undercurrents that characterize the bond of care in Parks works.
In conclusion, this thesis distanced itself from previous scholarship that viewed the close bond between mothers and daughters in Parks body of work as an obvious product of them belonging to the same gender and family. Instead, it examined the literary significance of these relationships by analyzing the multi-layered emotions that emerged from moments of conflicts and solidarity between the mothers and daughters because of them sharing and experiencing personal and familial history, and major historical events.
이 연구는 박완서 소설 세계가 모녀 관계에 대한 작가의 관심을 바탕으로 구축되었으며 어머니와 딸이 공존하면서 경험하는 여러 겹의 복잡한 감정이 박완서 모녀 서사의 중추가 됨을 밝히는 데 목표를 두었다. 이는 한국 전쟁 체험과 증언의 측면, 중산층 여성의 생존 방식에 대한 조명의 측면, 여성해방의식에 기반한 인물 및 사건 설정의 측면, 노년 삶의 문학적 형상화 측면, 신문 연재소설과 베스트셀러라는 점에서 부각되는 대중성의 측면에서 탐구되어 온 박완서 소설을 작가의 독특한 모녀상과 결합해 보는 시도를 포함하고 있다. 다섯 가지 측면 중에서도 한국 전쟁기에 형성된 모성이 딸의 자기 정체감 획득에 끼치는 영향과, 어머니의 집으로 돌아온 딸이 수행하는 아픈 어머니 돌봄의 의미를 중심으로 박완서 소설에 나타난 모녀 관계의 의미를 탐구하였다. 궁극적으로 이 연구는 애정과 증오가 공존하는 모녀 사이의 긴장 상태야말로 박완서가 조형하는 다채로운 모녀 관계의 밑동임을 확인하려는 문제의식을 갖는다.
이를 위해 가족 형태의 축소를 초래한 한국 전쟁시기의 모녀 사이에 형성된 공모(共謀) 의식을 생존을 위한 하나의 방략으로서 살피고, 어머니와 딸 사이에 특유한 감정 작용을 역사화하는 데 박완서 모녀 서사의 문학사적 의의가 있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여기서 나아가, 전쟁으로 인한 혼란함 속에서 아들을 잃은 어머니가 삶을 생기 있게 유지할 의지를 전적으로 상실할 때 도리어 딸에게는 자기 존재의 가치를 발견하기 위한 생존 반응으로서 스스로를 소중하게 여기고 사랑하려는 자기애가 발동되는 양상을 발견하였다. 이는 박완서 모녀 관계에 관한 선행 연구가 노출하는 한계를 보완하는 작업이 되었다. 선행 연구에서는 어머니와 딸이 같은 성별을 지녔다는 데 지나치게 많은 의미를 부여함으로써 딸을 어머니의 여성으로서의 정체성을 발견할 유일한 인물이자, 전쟁 및 산업화라는 역사를 지나온 어머니의 삶을 이해함으로써 내면의 성숙을 이루게 되는 인물로 해석하는 경향을 띠었다. 다른 한편으로는 소설에 나타난 모녀의 애증 관계의 양상을 의미화함에 있어 정신분석학 이론을 적극적으로 도입함으로써 딸이 어머니에 대한 질투와 원망을 운명적으로 갖게 된다는 관점을 견고하게 만드는 데 기여하는 바 있었다.
또한 이 연구는 1980~90년대 발표한 연작소설 및 후기 단편소설에 나타난 박완서 모녀 관계의 새로운 국면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때 초기 단편소설에서 어머니로부터 자립하기 위하여 집을 떠났던 딸들이 후기 단편소설에서 어머니 곁으로 돌아와 수행하는 어머니 돌보기의 상징적 의미를 검토하였다. 특히 돌봄자로서 딸이 세워지는 작품에서 돌봄 수행자(딸)와 돌봄 대상자(어머니)가 관계를 맺는 방식이, 아내가 남편을 돌보거나 며느리가 시부모를 돌보는 작품과 비교하였을 때 확연하게 다른 특징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2장 1절에서는 일제강점기부터 한국 전쟁기를 배경으로 한 소설에 나타난 가족 인식의 협소화와 모녀 결속의 양상을 조망하였다. 특히 한국 전쟁 이전 시기를 배경으로 하는 「엄마의 말뚝 1」에서부터 어머니 중심으로 구성된 가족 형태가 나타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 전쟁이 초래한 남자 구성원의 죽음과 관련하여 박완서 주목한 문제란 단순히 아버지 가장 없는 모자녀 가족 형태를 서사화하는 데 있기보다 남자 구성원의 죽음 이후 어머니와 딸이 삶을 살아간 방식에 있었음을 화두로 올렸다. 이러한 관점으로 나머지 소설들을 분석했을 때 박완서 소설에서 아들의 신체·정신적 상해와 죽음이 가족 구성원으로 하여금 생존에 대한 불안을 내면화하도록 하는 사건으로서 가족 밖 외부인에 대한 경계심을 추동하는 요인이 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그 뿐만 아니라 가족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의사결정 역할이 모녀를 포함한 여자 가족 구성원에게 압도적으로 부과되는 계기가 되고 있었다.
2장 2절에서는 어머니의 애정에 대한 기갈로부터 멀어지는 동시에 자기 존재의 가치 있음을 확인하고자 분투하는 자리로 나아가는 딸의 서사가 『나목』,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 『목마른 계절』, 『그 산이 정말 거기 있었을까』에 걸쳐 마련되고 있음을 분석하였다. 이는 아들의 죽음을 목도한 어머니가 극심한 무력감에 빠져 있을 때, 딸이 보이는 정서적 반응을 추적하고자 한 이 연구의 당초 목적이기도 하였다. 이 절에서는 『나목』에서 옥희도에 대한 이경의 사랑이 자기 긍정에 대한 욕구를 반영한다는 점을 조명하였다.
3장 1절에서는 초기 단편소설에서 현실적인 문제로 집을 떠났던 딸들이 후기 단편소설에서 어머니 곁에 머물며 수행하는 돌봄의 상징적 의미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박완서 소설 속 성장기 아들의 자립이 방 문 닫기라는 비교적 단순한 방식으로 그려지는 데 비해 딸의 자립은 집 떠나기로 서사화된다는 흥미로운 사실을 발견하였다. 딸의 자립이 집을 떠나는 것일 뿐 아니라 어머니를 떠나는 문제로 복잡화되는 양상을 보여주는 단편소설로 「무중(霧中)」, 「무서운 아이들」을 살폈다. 또한 딸의 자립 문제는 나이들고 아픈 어머니를 돌보는 주체로서 딸이 등장하게 되는 토대가 되며 딸들의 돌아옴이 어머니 돌봄으로 귀착된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특히 어머니를 돌보는 일차적 주체가 될 때 딸들이 느끼는 감정이 「엄마의 말뚝 2」의 경우와, 「환각의 나비」, 「길고 재미없는 영화가 끝나갈 때」의 경우에서 상호 대비됨에 주목하였다. 어머니와의 관계에 대하여 딸이 이야기하는 방식으로 구축된 박완서 모녀 서사는 딸의 어머니라는 이름과 어머니의 딸이라는 이름을 길어 올리고 있었다.
3장 2절에서는 딸의 돌봄의 의미가 왜곡되는 양상에 착목한 박완서의 시선을 따라감으로써 모녀 간 돌봄의 굴레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후기 단편소설에서 돌봄 수행자(딸)와 돌봄 대상자(어머니)가 관계 맺는 방식은 아내가 남편을 돌보거나 며느리가 시부모를 돌보는 단편소설과 비교하였을 때 확연하게 다른 특징을 보이고 있었다. 그 다름은 여성에게 돌봄의 책무를 승계하면서도 그 주체가 딸인 경우 돌봄의 자격은 부여하지 않는 사회적 통념으로부터 기인하였다. 어머니의 장례식을 주도할 권한이 딸보다 장손에게 무겁게 실리는 장면을 통하여 가족 내에서 딸이 주변화되는 문제를 형상화한 작품으로 「엄마의 말뚝 3」을 읽었다. 「환각의 나비」, 「길고 재미없는 영화가 끝나갈 때」는 딸 자신이 어머니를 돌보는 일이 장남에게 기대되는 역할을 빼앗는 일이라고 여기며 죄책감을 느끼는 양상이 두드러짐을 보였다. 어머니를 돌보는 딸에게 주어지는 내적 보상(보람)과, 가족 구성원 사이에서 겪게 되는 갈등 및 심리적 어려움(면구스러움)은 박완서 소설에 나타난 사적 돌봄의 굴레를 독해하는 주요한 심리적 역동이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박완서 소설에 나타난 모녀 관계의 끈끈함을 동성의 혈연 가족 구성원끼리 형성하리라 기대되는 선험적 유대감으로 한정하여 분석하는 선행 연구의 관점으로부터 거리를 두고 있다. 그 대신 개인사, 가정사, 역사적으로 핵심이 되는 사건을 공유한 모녀가 결속하거나 갈등하면서 퇴적해 온 여러 겹의 감정 작용을 공존의 흔적으로 의미화함으로써 박완서 소설에 나타난 모녀 관계의 문학적 의의를 고찰하였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4248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6407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