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한국어 '-게' 구문의 역사적 연구 : A Historical Study on '-key' Construction in Korean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 Authors
- Advisor
- 장윤희
- Issue Date
- 2023
- Publisher
- 서울대학교 대학원
- Keywords
- 구문 ; 구문문법 ; 사동 구문 ; 결과 구문 ; 결과 ; 판단 ; 목적 ; ‘-게’ ; 부사형 ; construction ; construction grammar ; causative ; resultative ; judgement ; purpose ; -key ; adverbial
- Description
- 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2023. 2. 장윤희.
- Abstract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syntactic and semantic features of '-key(-게)' construction and its historical development in Middle Korean and Modern Korean. The '-key' construction refers to a set of construction that shares not only the form of 'V1P-key V2' but also close relativeness in terms of transitivity and the event structure. We examined the aspect of the prototypical characteristics of '-key' construction and its development in historical perspective from the Middle Korean. We argued the affinity between causative construction, resultative construction, psychological judgement construction and purpose construction of 'V1P-key V2' construction by comprehensively examining the examples in historical materials.
Each chapters are organized as follow. In Chapter 1,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subject of the study, and the research method were presented, and previous studies were reviewed. Chapter 2 discusses the grammatical characteristics of the verb ending '-key' in meddle Korean, and examined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V1P-key V2' construction. It was discussed that the '-key' adverbial was mainly used as part of a construction indicating the meaning of 'result' in Middle Korean. Chapters 3 to 6 described the causative construction, resultative construction, psychological judgment construction, and purpose construction, respectively.
Chapter 3 discusses the syntactic and semantic features of causative construction, which appears as '-key ho-', especially in terms of syntactic structure and case realization. We examined that the causee was mainly realized as an instrumental case in the 14th century, and then appeared as a subject, object, or dative, instrumental case after the 15th century.
Chapter 4 discusses the syntactic and semantic features of the 'V1P-key V2' resultative construction. We regard the case in which a transitive verb is used for V2 as a typical resultative construction. The case in which a intransitive verb is used for V2 was treated as a non-typical resultaitve construction. The case in which the verb 'kul-(굴-)' is used for V2 was also interpreted in the framework of the resultative construction and was discussed its multilayered characteristics of '-key kul-' construction in Contemporary Korean is the product of the synchronic change.
Chapter 5 discusses the syntactic and semantic features of the 'V1P-key V2' psychological judgment construction. We argued that the '-key' adverbial of the judgment construction is related to the resultative construction in that it represents the speaker's judgment result on the object. We examined the typical cases of psychological judgement construction of V2 as 'neki-(너기-)', 'soyngkakho-(ᄉᆡᆼ각ᄒᆞ-)', and discussed its development of using other verbs.
Chapter 6 discusses the syntactic and semantic features of the 'V1P-key V2' purpose construction. We argued that the purpose construction of Middle Korean was closely related to the causative construction, because the V2 was restricted in caused motion verb and speech verb. We examined the development of '-key' as a subordinate connective verb ending of purpose.
Chapter 7 summarizes the main points revealed so far as a conclusion and presents the remaining questions.
본고는 중세 한국어와 근대 한국어 자료를 대상으로 하여 -게 구문이 보이는 통사ㆍ의미적 특성과 그 역사적 발달 과정을 구문의 관점에서 기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게 구문이란 V1P-게 V2 구성이라는 형식을 공유하고 타동성(transitivity)과 결과사건과 원인사건이라는 사건 구조의 측면에서 밀접하게 관련이 있는 일련의 구문을 가리킨다. 본고는 중세 한국어 시기부터 -게 구문이 보인 원형적 구문의 양상과 그것이 확장해 가는 모습을 역사적 관점에서 검토하였다. 예문을 포괄적으로 살펴봄으로써 V1P-게 V2 구문이 보이는 사동 구문과 결과 구문, 판단 구문과 목적 구문 사이의 연관성을 논의하였다.
각 장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제1장에서는 연구 목적과 연구 대상, 연구 방법을 제시하고 선행 연구를 검토하였다. 제2장 기본적 논의에서는 중세 한국어의 어미 -게의 문법적 특징을 논의하고 V1P-게 V2 구문의 유형과 특징을 살펴보았다. 중세 한국어에서 -게 부사형은 주로 결과(result)의 의미를 표시하는 구문의 일부로 사용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제3장부터 제6장은 각각 사동 구문, 결과 구문, 판단 구문, 목적 구문을 기술하였다.
제3장에서는 -게 ᄒᆞ-로 나타나는 사동 구문의 통사 의미적 특징을 구문 구조와 피사동주의 격 실현과 그 변화 양상을 살펴보았다. -게 ᄒᆞ-의 선대형인 14세기 음독 구결 자료의 - -는 피사동주가 주로 도구격으로 실현되었고, 15세기 이후 주격, 목적격, 혹은 여격이나 도구격으로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제4장에서는 V1P-게 V2 결과 구문의 통사ㆍ의미적 특성을 논하였다. V2의 성격에 따라 상태 변화를 수반하는 타동사가 쓰이는 경우를 전형적인 결과 구문으로 보고 그 통사ㆍ의미적 특성을 살폈다. V2가 자동사인 경우도 비전형적인 결과 구문으로 다루었다. V2가 굴-인 경우 역시 결과 구문의 틀에서 해석하여 현대 한국어의 -게 굴- 구문이 보이는 다층적 성격이 통시적 변화의 산물임을 논의하였다.
제5장에서는 V1P-게 V2 판단 구문의 통사ㆍ의미적 특성을 논하였다. 판단 구문의 -게는 대상에 대한 화자의 판단 결과를 나타낸다는 점에서 결과 구문과 관련성을 주장하였다. V2에 너기-, ᄉᆡᆼ각ᄒᆞ- 등의 사유 동사가 오는 전형적인 판단 구문의 경우를 살펴보고, 심리 형용사와 -게가 결합하여 판단 구문의 용법이 확장해 가는 양상을 살펴보았다.
제6장에서는 V1P-게 V2 목적 구문의 통사ㆍ의미적 특성을 논하였다. 중세 한국어의 목적 구문은 V2가 이동의 타동사, 화법 동사인 경우로 이는 사동 구문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분석하였다. 또한 -게가 목적의 연결어미로 발달해 가는 양상을 살펴보았다.
제7장은 결론으로 지금까지 밝힌 주요점을 요약, 정리하고 남은 문제를 제시하였다.
- Language
- kor
- Files in This Item:
- Appears in Collections:
Item View & Download Count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