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한국어 수사의문문의 기능 및 형식 연구 : A Study on Functions and Forms of Korean Rhetorical Question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박지상

Advisor
박진호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의문문수사의문문편향간접화행불손성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2023. 2. 박진호.
Abstract
본고는 정보를 요구하는 일반의문문과는 다른 기능을 갖는 수사의문문의 전반적인 특성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수사의문문의 특징과 수사의문문이 담화에서 작동하는 방식을 설명하고, 여타 간접화행과의 차이점을 제시하며, 의문문을 수사의문문으로 해석되게 하는 형식적, 의미적 요소에 대해 살펴보고 이들에게서 의미적 경향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2장에서는 먼저 한국어 수사의문문의 특징을 세 가지로 정리한다. 수사의문문은 첫째로 형식은 의문문이지만 강한 단언, 비난, 명령, 감탄 등을 이행할 수 있고, 둘째로 청자에게 응답을 기대하지 않는 것이 보통이나 종류에 따라 응답을 오히려 요구하는 경우가 있으며, 셋째로 대체로 극성이 전환된 함축을 가지나, 항상 극성이 전환되지는 않는다. 이러한 관찰을 바탕으로 수사의문문을 형식, 발화 의도, 중의성 정도를 기준으로 분류할 수 있다. 다음으로, 수사의문문은 화자가 가진 믿음을 부정하는 상황을 마주했을 때, 그러한 믿음이 화청자의 공통 기반에 있다는 전제를 공고히 하기 위한 목적으로 발화될 수 있다. 한편 수사의문문은 질문 화행의 적정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므로 일반적인 의문문과 구별되며, 청자는 화자가 협력적인 대화 상대임을 가정했을 때 맥락적 단서를 활용해 그 함축을 추론해 낼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간접화행이 요청이나 명령의 발화수반력을 약화하여 공손성을 높인다면, 수사의문문은 반대로 발화수반력을 강화하고 불손성을 높이는 효과를 불러올 수 있다.
3장과 4장에서는 의문문을 수사의문문으로 해석되게 하는 형식적, 의미적 요소를 살피고 이들에게서 어떤 경향성이 나타나는지를 관찰한다. 형식적 요소들은 어휘 층위, 구문 층위, 숙어 및 속담 층위, 통사적 현상 층위로 나뉘며, 의미적인 요소로는 일반적 통념과의 대립, 항진명제, 화자 자신의 심리나 지식, 대상의 온전한 상태 및 태도에 대한 의심을 관찰할 수 있다. 이렇게 제시된 일부 항목들이 갖는 의미는 첫째, 명제가 실현 가능성이 극히 높음을 드러내는 인식 양태와 둘째, 명제가 실현 가능성이 극히 낮음을 드러내는 인식 양태, 그리고 셋째로 명제 내용을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화자의 태도를 표현하는 감정 양태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이러한 경향은 수사의문문이 강력한 발화수반력을 동반한다는 본고의 주장과 맥을 같이한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고는 수사의문문이 화자가 자신의 강한 믿음을 강조하고, 화청자의 공통 기반에 해당 믿음이 존재함을 공고히 하는 설득적인 의문문이라고 그 성격을 정리한다. 이는 수사의문문을 실현하는 형식적 요소나 의미적 요소가 가지는 경향성으로 뒷받침된다. 이러한 연구는 여타 의문문과 비교되는 수사의문문의 지위를 명확히 하면서, 한국어 교육 분야나 자연어 처리 분야에서도 실용성을 가질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overall features of rhetorical questions, interrogatives that have different functions from the ordinary information-seeking interrogatives, in Korean. To this end, I try to explain the characteristics of rhetorical questions, how they work in discourses, and how their illocutionary acts are different from other indirect speech acts. I also present lists of syntactic and semantic elements that give an interrogative a rhetorical interpretation, and investigate if any semantic tendency can be observed.
Chapter 2 accounts for three characteristics of Korean rhetorical questions. First, a rhetorical question is an interrogative in form but performs strong assertion, reproach, command, and exclamation. Second, typically a rhetorical question does not expect an answer from the hearer, but some of its subtypes may require a response. Third, a rhetorical question generally exhibits opposite polarity, but not always. From these observations, the subcategories of Korean rhetorical questions are based on three criteria: form, intention of utterance, and degree of ambiguity. A speaker utters a rhetorical question when facing context where their commitment is denied, in order to confirm their presupposition that the commitment is shared by the hearer. However, the hearer notices that the question is not an ordinary felicitous interrogative from its violation of felicity conditions of question, and on the assumption that the discourse participant is cooperative, tries to infer its implication with the given contextual clues. In addition, the indirect speech act of a rhetorical question can amplify the illocutionary force and impoliteness, while other indirect speech acts performed by interrogatives in general are purposed to mitigate the illocutionary force of requests and commands to compose them more polite.
Chapters 3 and 4 examine formal and semantic elements that cause rhetorical interpretations and investigate if any tendency can be generalized. Formal elements are classified by four levels: lexical level, construction level, idiomatic level, and syntactic phenomenon level. The semantic elements include contents conflicting with general knowledge, tautologies, the internal experience or knowledge of the speaker themselves, and the suspicion about the abnormal status or attitude of the target. Some of the elements presented are found to express epistemic modality, indicating extremely high or low possibility of the proposition, and emotive modality, which is the dismissive, dissatisfied attitude to the proposition. I argue that this tendency indicates that a rhetorical question is accompanied by an amplified illocutionary force, which is in line with the argument presented before.
This study concludes that a rhetorical question is an interrogative to emphasize the speakers strong commitment, to confirm the commitment is in the common ground, and to persuade the hearer, which is supported by the tendency observed in the frequent formal and semantic element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dentifies the position of the rhetorical questions when compared to other interrogatives, and can have practical uses in areas such as Korean as foreign language education and natural language processing.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4259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6843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