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한국어 허락 화행 연구 : A Study on Korean Permitting Speech Act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조연수

Advisor
문숙영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허락 화행문장 유형본질 조건의도성 상태갱신 잠재성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2023. 2. 문숙영.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at permitting speech acts are a subtype of assertives by examining the essential conditions, intentional state, and update potential of permitting speech acts, and to examine the specific realization aspects of permitting speech acts in Korean.
Permitting speech acts have been treated as a subtype of directive speech acts in that they are the reason for the listener's performance. However, unlike directives that are the direct reason for listeners to perform an action, permitting speech acts allow listeners to choose the action by removing obstacles that existed in the listener's performance of the action. In addition, permitting speech acts differ from directives in terms of the intentional states, and update potential, which are the criteria for judging speech acts, so it is necessary to distinguish permitting speech acts from directives.
In chapter 2, the basis for analyzing permitting speech acts was laid. In Section 2.1, the concept of speech acts to be studied in this paper was established by examining the concepts of locutionary acts, illocutionary forces, and perlocutionary effects. Prior to the identification of permitting speech acts, the main types of speech acts were examined, focusing on Leech (1983). In addition, by dividing the two types of assertive into 'descriptive speech acts' and 'claim speech acts', the basis for explaining the two aspects of permitting speech acts was laid.
Section 2.2 examines the concepts of direct and indirect speech acts, and examines the interpretation process of indirect speech acts based on the 'principle of cooperation' and 'felicity conditions' according to Searle (1975).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the speech acts has a degree of directness and indirectness. In addition, by examining the directness and indirectness of permitting speech acts, it was revealed that permitting sentence types do not exist in Korean, and the directness of permitting speech acts in Korean was the highest when it realized through -eodo doida in declaratives.
Section 2.3 examines the concepts of Searle (1969)'s 'essential conditions', Searle (1983)'s 'intentional states' and Portner (2018)'s 'update potential' to establish criteria for determining permitting speech acts. In addition, essential condition, intentional state, and update potential of assertives and directive speech acts, which are the main types of speech acts, were presented.
In Chapter 3, permitting speech acts were established by applying the criteria for distinguishing speech acts presented in Section 2.3. Section 3.1 defined the essential conditions of permitting speech acts as 'the speaker's attempt to remove obstacles to the listener's performance' in consideration of changes in context, and examined the obstacles divided into 'obstacles due to prohibition' and 'obstacles due to ignorance'. In Section 3.2, it was examined that the intentional state of permitting speech act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positional contents of the permitting speech acts. It was shown that the propositional contents of the permitting speech acts were established facts, and the intentional state of the permitting speech act was the 'belief' that is the intentional state of the assertives. Section 3.3 asserted that the type of context updated by permitting speech acts is the 'common ground' as the same type of context updated by assertives.
In Chapter 4, the aspects of realization of permitting speech acts were examined by dividing it into declaratives, imperatives, and interrogatives. Permitting speech acts are realized most directly through declaratives. As the language form with the highest directness of permitting speech acts, '-eodo doida' and the performative verbs 'allow, permit', which have the mode meaning of [permission], were suggested. Permitting speech acts can be realized by '-l su issda' and 'be possible' which have the meaning of [possibility] and [capaciti]. The directness of permitting speech acts through -l su issda' and 'be possible' is somewhat less than the language forms that have the meaning of [permission], because it requires more reasoning from the listener.
The indirectness of the permitting speech acts through the imperatives and interrogatives is high because it requires more contextual factors and listener's reasoning than the speech acts through the declaratives. If permitting speech acts are realized through a imperatives, it must exist as contextual factors that 'the speaker's belief that an obstacle exists for the listener' or 'the speaker's belief that the listener wishes to perform the action'. In some cases, permitting speech acts are assigned to the protasis. It has been shown that '-deunji/-deunga/-geona', which has functions to offer a list of options, and '-doi' which specifies the scope can contribute to the permitting speech acts assigned to the protasis.
Lastly, we looked at permitting speech acts that are realized through interrogative sentences. Permitting speech act, which is realized through interrogatives, is only possible through rhetorical questions that does not require an answer from the listener. This is similar to the aspect in which assertive speech acts are realized as interrogative sentences. It can be seen as a basis for showing that permitting speech acts are a subtype of assertives. Directives is different from permitting speech acts because it is easily realized as a general question that requires an answer from the listener.
본 연구는 허락 화행의 본질 조건(essential condition)과 의도성 상태(intentional state), 갱신 잠재성(update potential)을 살핌으로써 허락 화행이 단언 화행의 하위 유형임을 밝히고, 한국어에서 허락 화행의 구체적인 실현 양상을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허락 화행은 청자의 행위 수행의 이유가 된다는 점에서 지시 화행의 하위 유형으로 다루어져 왔다. 그러나 지시 화행이 청자의 행위 수행의 직접적인 이유가 되는 것과는 다르게, 허락 화행은 청자의 행위 수행에 존재하던 장애물을 제거함으로써 청자가 해당 행위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허락 화행은 화행 판별의 기준이 되는 의도성 상태와 갱신 잠재성의 측면에서도 지시 화행과의 차이를 보이므로 허락 화행을 지시 화행과 구분하여 살필 필요가 있다.
2장에서는 허락 화행을 분석하기 위한 토대를 마련하였다. 2.1절에서는 화행과 발화 행위, 발화수반력, 발화 효과의 개념을 살핌으로써 본고에서 연구하고자 하는 화행의 개념을 정립하였으며, 허락 화행의 판별에 앞서 Leech(1983)을 중심으로 화행의 주요 유형을 살폈다. 또한 단언 화행의 두 부류를 기술 화행과 주장 화행으로 나누어 살핌으로써 허락 화행이 보이는 두 가지 양상을 설명하기 위한 토대를 마련하였다.
2.2절에서는 직접 화행과 간접 화행의 개념을 살피고, Searle(1975)의 관점에 따라 협력의 원리와 화행의 적정 조건을 기반으로 한 간접 화행의 해석 과정을 살폈다. 이를 통해 화행이 직접성과 간접성의 정도를 가짐을 확인했다. 또한 허락 화행의 직접성과 간접성을 살피며 한국어에 허락문이 존재하지 않음을 밝히고, 한국어의 허락 화행은 평서문의 -어도 되다를 통해 실현될 때 직접성이 가장 높음을 보였다.
2.3절에서는 허락 화행을 판별하기 위한 기준을 마련하기 위해 Searle(1969)의 본질 조건, Searle(1983)의 의도성 상태, Portner(2018)의 갱신 잠재성의 개념을 살폈으며, 화행의 주요 유형인 단언 화행과 지시 화행의 본질 조건, 의도성 상태, 갱신 잠재성을 제시했다.
3장에서는 2.3절에서 제시한 화행 판별의 기준을 적용하여 허락 화행을 정립했다. 3.1절에서는 맥락의 변화를 고려하여 허락 화행의 본질 조건을 청자의 행위 수행의 장애물을 제거하려는 화자의 시도로 규정하였고, 이때의 장애물을 금지로 인한 장애물과 무지로 인한 장애물로 나누어 살폈다. 3.2절에서는 허락 화행의 대상이 되는 명제 내용의 특징과 함께 허락 화행의 의도성 상태를 살폈다. 허락 화행의 명제 내용은 기정의 사실이고, 허락 화행의 의도성 상태는 단언 화행의 의도성 상태와 동일한 믿음임을 보였다. 3.3절에서는 허락 화행이 갱신하는 맥락의 유형이 단언 화행이 갱신하는 맥락의 유형과 동일한 공통기반임을 주장했다.
4장에서는 허락 화행의 실현 양상을 평서문, 명령문, 의문문으로 나누어 살폈다. 허락 화행은 평서문을 통해 가장 직접적으로 실현되고 있다. 허락 화행의 직접성이 가장 높은 언어 형식으로는 [허락]의 양태 의미를 지니는 우언적 구성 -어도 되다와 수행 동사 허락하다, 허가하다를 제시했다. 허락 화행을 위해 사용되는 [능력], [가능]의 양태 의미를 지니는 -을 수 있다와 가능하다는 [허락]의 양태 의미를 지니는 언어 형식보다 청자의 추론을 더 많이 필요로 하므로 화행의 직접성이 다소 떨어진다.
명령문 혹은 의문문을 통해 실현되는 허락 화행은 평서문으로 실현되는 허락 화행보다 더 많은 맥락 요인의 개입과 청자의 추론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화행의 간접성이 높다. 허락 화행이 명령문을 통해 실현되는 경우, 청자에게 장애물이 존재한다는 화자의 믿음, 혹은 청자가 해당 행위를 수행하기를 소망한다는 화자의 믿음이 맥락 요인으로 존재해야만 한다. 명령문으로 실현되는 허락 화행 중에는 선행절에 허락 화행이 할당되는 경우도 있다. 선택지 나열의 기능을 하는 -든지/-든가/-거나와 범위를 특정하는 연결어미 -되가 선행절에 할당되는 허락 화행에 기여할 수 있음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의문문으로 실현되는 허락 화행을 살폈다. 의문문으로 실현되는 허락 화행은 청자의 답을 요구하지 않는 수사 의문문을 통해서만 가능하다. 이는 단언 화행이 의문문으로 실현되는 양상과 유사한 것으로, 허락 화행이 단언 화행의 하위 유형임을 보여주는 하나의 근거로 볼 수 있다. 지시 화행은 판정/설명 의문문과 같이 청자의 답변을 요구하는 일반 의문문으로 쉽게 실현되기 때문에 허락 화행과는 차이를 보인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4261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6510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