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On the Notion of Negativity in Julia Kristeva's Aesthetics : 줄리아 크리스테바 미학의 부정성 개념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박예랑

Advisor
신혜경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Julia KristevaG. W. F. Hegelnegativitythe semioticchoraabjectabjectionSigmund FreudJacques Lacanpoetic languageLautréamont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인문대학 미학과, 2023. 2. 신혜경.
Abstract
In this thesis, I investigate the implications of negativity in Julia Kristevas (1941–) aesthetics mainly through her early works. The notion of negativity, rooted in G. W. F. Hegels (1770–1831) philosophy, indicates an abstract power to generate and preserve the differences within the dialectical movement towards the truth as a whole. Kristeva partly accepts Hegels negativity as a principle, or a power engine, that synthesizes the conflicting moments together and constructs the rational subject. However, she critically suggests that the movement of negativity in artistic practices does not converge into the teleological and ideological synthesis in a Hegelian sense. Instead, owing to Sigmund Freud and Jacques Lacans psychoanalytic theories, Kristeva claims that such negativity allows the works of art to resist the authority of reason and the autonomous self that have been valued throughout philosophical traditions. For Kristeva, this register of negativity can reactivate psychoanalytic drives in the body and disclose that the seemingly self-identical structure of language and society is split by heterogeneous drives, which can be especially powerful in modern avant-garde literature.
Addressing her notion of negativity, I will mainly examine Revolution in Poetic Language (Révolution du langage poétique: Lavant-garde à la fin du XIXe siècle: Lautréamont et Mallarmé, 1974) because it features Kristevas reconceptualization of Hegels negativity with psychoanalytic premises. I categorize three registers that are complexly implied in Kristevas negativity. This approach to negativity will ultimately reveal the process in which creating and appreciating particular works of art contest the authority of the rational subject by affirming that subjects drive-based corporeality. Each of these three registers of negativity specifically illuminates how the subject and the sociolinguistic structure are (1) prepared by somatic functions, (2) constructed and stabilized through socialization, and (3) deconstructed, particularly when they engage with the arts.
In conclusion, negativity rendered in the arts can radically dissolve the fixed, self-identical subject and social structure in Kristevas aesthetics, since such a register of negativity can mediate but not synthesize the rational subject with the heterogeneous bodily drives underlying it. Without reflecting the complex horizons of negativity, Kristevas claims about art would be rendered mystifying, or reduced either to a simple amalgamation of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or to the victory of one of them. Therefore, I argue that taking the notion of negativity to be pivotal to Kristevas theory potentially offers a new understanding of the value of artistic practices in her aesthetics.
본고는 줄리아 크리스테바(Julia Kristeva, 1941–)의 미학에서 초기 저작을 중심으로 부정성 개념을 고찰한다. 헤겔(G. W. F. Hegel, 1770–1831) 철학에 근간을 두는 부정성은 본래 변증법적 운동 과정에서 차이를 형성하고 나아가 보존하는 추상적 힘이다. 크리스테바는 헤겔의 부정성을 일부 받아들여, 서로 대립하는 계기들을 지양해 이성적 주체를 구축하는 원칙 혹은 동력이 부정성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크리스테바는 특히 예술에서 작용하는 부정성이 헤겔의 목적론적이고 관념론적인 종합으로 수렴하지 않는다고 보고 비판적인 부정성 개념을 정립한다. 지그문트 프로이트(Sigmund Freud)와 자크 라캉(Jacques Lacan) 정신분석학에 영향을 받아, 크리스테바는 부정성 원리가 예술에서 드러날 때 예술이 전통 철학에서 우위를 점해온 이성과 자율적 주체의 권위를 해체할 수 있으리라고 주장한다. 크리스테바가 주장하는 이 층위의 부정성은 신체내의 정신분석학적 충동을 재활성화하고, 주체를 이루는 언어와 사회 구조가 자기통일적인 것이 아니라 이질적인 충동을 내포하는 분열된 상태임을 드러내보일 수 있으며, 크리스테바에게 그 잠재력은 근대 아방가르드 문학 장르에서 가장 강력하게 활성화된다.
크리스테바의 부정성 개념을 고찰하기 위해 본고는 주로 『시적 언어의 혁명』 (Révolution du langage poétique: Lavant-garde à la fin du XIXe siècle: Lautréamont et Mallarmé, 1974)을 살펴보며, 크리스테바가 헤겔의 부정성을 정신분석학적 관점에서 재개념화한 내용을 검토한다. 본고는 특히 크리스테바의 부정성에 복합적으로 함축된 세 가지 층위를 구별하여 논한다. 각각의 층위들은 크리스테바 미학에서 주체와 주체의 기반인 사회언어적 구조가 (1) 신체적 기능 수행을 통해 예비되고, (2) 사회화를 통해 구축 및 안정화되고, (3) 특히 예술을 거쳐 해체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세 번째 층위의 부정성은 예술에서 드러날 때 의식적인 의미체계를 유지하면서도 무의식 속에 억압된 신체적 충동을 활성화한다는 양가적 특성을 가지는데, 이와 같이 복합적 층위들을 개념화하는 접근은 예술에서의 부정성이 다른 층위의 부정성과 특수하게 차별되는 지점을 해명하기 위해 필요하다.
결론적으로, 예술을 통해 작용할 때 크리스테바의 부정성은 고정적이고 자기통일적인 듯 보이는 주체와 사회언어적 구조에 저항적일 수 있으며, 이는 예술에서의 부정성이 그러한 구조에 이질적이라고 여겨지는 신체적 충동을 지양하지 않으면서 특수하게 매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부정성의 함의를 다층적으로 논하지 않을 때 크리스테바의 예술론은 예술에서 나타나는 무의식적 요소들을 신비화하거나, 이성과 비이성, 의식과 무의식의 단순한 결합 혹은 어느 한쪽의 승리를 주장하는 것으로 읽힐 여지가 있다. 따라서 본고는 부정성을 크리스테바 미학에서 핵심적인 개념으로 고찰하는 것이 크리스테바가 주장하는 예술의 가치를 새롭게 이해할 수 있는 방안임을 주장한다.
Language
eng
URI
https://hdl.handle.net/10371/194268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6789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