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가상에 관한 철학적 연구 : A Philosophical Study on Virtuality
정의, 존재론, 재현의 문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다민

Advisor
이해완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가상가상성가상현실컴퓨터게임허구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인문대학 미학과, 2023. 2. 이해완.
Abstract
While we are getting familiar with various virtual things like the virtual museum, virtual conferences, virtual humans, or virtual reality, and thereby the everyday use of the term "virtual" has become prevailing, there is no agreement on the meaning and nature of virtuality. In this thesis, I analyze the concept of virtuality and construct a philosophical theory of virtuality that can explicate the nature of various virtual entities clearly and consistently.
To this end, this thesis consists of four chapters. In Chapter Ⅰ, I review how virtuality has been understood in philosophical discourses by critically scrutinizing the theories of Jean Baudrillard and Pierre Levy. Despite their contribution to understanding virtuality, both theories are found wanting. So, a better philosophical analysis of virtuality is needed.
To render such an analysis, I offer an alternative definition of virtuality in Chapter Ⅱ. I examine two extant definitions and establish the Pretended Physicality Definition(PPD) as a more comprehensive definition. PPD suggests that virtuality is not opposed to reality but to physicality; thereby PPD deflates 'the metaphysical hype' that has been around the concept of virtuality and provides clear conditions of virtuality.
Chapter Ⅲ deals with the debate on the ontological status of virtual entities. On one hand, there is Virtual Realism which insists that virtual objects are as real as physical objects. Against this, there is Virtual Irrealism on the other hand. It contends that virtual objects do not exist as much as fictional entities do not. I argue that the real issue of this debate is not the ontological status of virtual objects, but rather which part of virtual reality should be designated as a 'virtual object' proper. I suggest that the proper referent of 'virtual object' is digital images on computer screens, i.e., virtual representations of objects. If my suggestion is rightful, the ontological debate on virtual entities may not be as significant as it has been considered so far, in that digital images on screens are obviously real. The more important question than 'do virtual objects real?' is 'what is the nature of virtual representations?'.
Last but not least, I explicate the nature of virtual representation in Chapter Ⅳ. In particular, I argue that virtual representations should not be regarded as a variety of fictional representations; virtual representations and fictional ones are two distinct kinds of representations, although they can overlap. I develop this argument by investigating the nature of representations of computer games. There already has been a debate about whether the representations in computer games are fictional or virtual. Most theorists have accepted that they are fictional, but I argue that this view overlooks the unique elements of computer games, which are virtual representations. In developing my argument, I explain how virtual representations and fictional ones can be distinguished, and furthermore, how a representation can be both virtual and fictional.
In summary, I draw a theoretical map of virtuality in Chapter Ⅰ and clarify the meaning of virtuality by providing a new, more developed definition in Chapter Ⅱ. In Chapter Ⅲ and Ⅳ, I distinguish virtuality and fictionality, showing that virtual entities are not fictional entities, and virtual representations are not a subset of fictional representations.
As virtualization is widely spreading, there will be an increased demand for philosophical explanations of various aspects of virtuality. I hope this thesis will contribute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virtuality and virtual entities.
이 논문은 가상(virtual)과 가상성(virtuality)이 철학적 관점에서 새롭게, 그리고 더 엄밀하게 분석되어야 하는 개념이라는 문제의식으로부터 출발한다. 가상 박물관, 가상 회의, 가상현실 등 다양한 형태의 가상적인 것들이 우리의 삶 속에 속속 출현하고 있으며 가상이라는 표현이 일상적으로 사용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것이 어떠한 개념인지에 대해 만족스러운 철학적 규명은 아직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나는 가상이라는 개념에 관한 철학적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가상에 대해 더 나은 설명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 우리가 실제로 마주하는(그리고 마주하게 될) 구체적인 가상적 현상들을 더 명확하고 정합적으로 해명할 수 있는 이론을 구축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표를 위해 이 논문은 크게 4개의 장으로 구성되었다. Ⅰ장에서는 철학자 장 보드리야르와 피에르 레비의 이론을 검토함으로써 가상이라는 개념이 철학적 맥락에서 지금까지 어떻게 이해되어 왔는가를 살펴본다. 이를 통해 나는 가상에 대한 보다 엄밀한 철학적 분석이 필요함을 드러낼 것이다.
그러한 분석의 일환으로서 나는 Ⅱ장에서 가상성의 새로운 정의를 구성한다. 나는 가상성에 대한 기존의 정의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한 후, 대안적 정의로서 가장된 물리성 정의를 제시한다. 가장된 물리성 정의에 따르면 어떤 대상 x가 가상적 F이기 위해서는, x가 그 사용자에 대해서, x가 물리적 F로서의 물리성을 가진다고 가장하라는 지시를 해야 한다. 나는 이 정의를 통해 가상성에 대립되는 개념은 진짜나 실재가 아니라 물리성이라고 주장함으로써 가상성에 씌워져 온 형이상학적 거품을 가라앉히고자 한다.
Ⅲ장에서는 가상적 대상의 존재론적 지위에 관한 논쟁을 다룬다. 나는 가상적 대상이 존재한다는 가상 실재론과, 존재하지 않는다는 가상 반실재론 각각의 구체적인 논변을 검토함으로써 이들 사이의 진정한 쟁점은 결국 무엇을 가상적 대상이라고 부를 것인가의 문제임을 드러낸다. 이를 통해 나는 가상적 대상에 관한 존재론적 논쟁이 지금까지 평가되어 왔던 것만큼 중요한 문제는 아닐 수 있다고 지적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Ⅳ장에서는 가상적 재현과 허구적 재현 사이의 관계를 탐구한다. 나는 컴퓨터게임이라는 주제를 경유하여 이 문제를 탐구할 것인데, 왜냐하면 컴퓨터게임에 관해서 그것이 허구적 재현인지 가상적 재현인지에 관한 논쟁이 선재하기 때문이다. 많은 미학자들이 컴퓨터게임이 허구적 재현임을 받아들여 왔으나, 나는 그러한 관점이 컴퓨터게임의 중요한 국면을 제대로 조명하지 못한다고 지적하고, 컴퓨터게임이 가지는 가상적 재현으로서의 국면을 새롭게 주목할 필요가 있음을 주장할 것이다. 이 과정에서 나는 가상적 재현과 허구적 재현이 어떻게 구분되며, 하나의 재현이 어떻게 허구성과 가상성을 동시에 가질 수 있는지 설명한다.
정리하자면, 나는 Ⅰ장에서 가상에 관한 이론적 지형도를 그린 뒤, Ⅱ장에서 가상성에 대한 해설적·축소적 정의를 제공함으로써 가상에 대한 불필요한 신비주의를 걷어내고, Ⅲ장과 Ⅳ장에서 가상을 존재론적·미학적 의미의 허구성 양자로부터 독립시킴으로써 가상이라는 개념의 이론적 위치를 분명히 조명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가상과 가상현실에 대한 다양한 후속적 철학 연구를 위한 기초 작업으로서 기획되었다. 본 논문이 주로 가상이라는 개념의 이론적 경계를 그리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는 것은 그러한 이유에서이다. 가상적인 것이 점차 보편화되면서 가상에 대한 철학적 해명의 필요성은 점차 증대할 것이다. 이 논문이 가상과 가상현실에 관한 더 나은, 그리고 더 풍부한 해명들이 등장할 수 있도록 해 주는 마중물이 되기를 기원한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4269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5721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