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만주어 인식 양태 첨사의 분포와 의미 : Distributions and Meanings of Epistemic Modal Particles in Written Manchu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강민하

Advisor
박상철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만주어 문어첨사인식 양태통합 관계(syntagmatic relations)와 계열 관계(paradigmatic relations)만문노당(滿文老檔)만문삼국지(滿文三國志)청학서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인문대학 언어학과, 2023. 2. 박상철.
Abstract
본고는 지금까지 첨사(particles)로 일괄 분류된 만주어 문어 단어를 언어학적 분포를 기준으로 다시 분류함과 동시에 문장의 가장 말미에 나타나는 단어 dere, kai, ayoo, aise가 동일한 계열을 이루며 인식 양태를 나타낸다는 사실을 보이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이를 위해 초기 만주어 문어를 반영하는 과 를 주요 자료로 삼았고, 해당 표현들이 근대 한국어에서 어떠한 표현에 대응하는지 청학서(淸學書)를 통해 확인하였다.
1장에서는 본고에서 사용하는 주요 개념인 양태와 인식 양태에 대한 서술을 Nuyts(2016) 등을 참고하여 정리하였다. 2장에서는 만주어를 서술한 고문헌에서 첨사에 대한 설명을 확인하였고, Rentzsch(2012)를 비롯한 만주어의 첨사에 대한 기존의 연구를 정리하였다. 이를 통해 지금까지의 첨사에 대한 기존의 논의는 문장 내의 계열 관계와 통합 관계를 고려하지 않고 단편적인 용어를 사용하여 첨사의 의미를 기술하였다는 사실을 발견하였고, 사용한 자료에서 공시적 및 통시적 일관성을 갖추고 있다고 보기 어렵다는 문제점을 확인하였다.
3장에서는 이러한 문제 의식을 바탕으로 만주어 첨사를 계열 관계와 통합 관계를 고려하여 분류하였다. 그 결과 기존에 첨사로 분류되었던 bi, akū, -o, dabala, wajiha, unde, be 등은 각각 그 품사를 특정할 수 있음을 밝혀내었으며, 문장에서 제일 뒤에 위치하는 단어들인 {dere, kai, ayoo, aise}가 하나의 계열 관계를 이루며 명제에 양태적 의미를 부여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4장에서는 {dere, kai, ayoo, aise}가 양태 범주 중 하나인 인식 양태(epistemic modality)를 나타낸다는 사실을 보였다. dere는 인식 양태적 추측(Speculative), kai는 인식 양태적 확신(Deductive), ayoo는 인식 양태적 의구(Dubitative), aise는 인식 양태적 추정(Assumptive)을 표현하는 단어임을 입증하였다.
5장에서는 만주어의 인식 양태 첨사가 각각 어떠한 근대 한국어 표현에 대응하는지 확인하였다. dere는 대부분 추측의 표현으로 번역되었고, ayoo는 염려를 드러내는 표현으로 번역되었다. 근대 한국어에 마땅한 대역어가 존재하지 않는 kai는 상대적으로 다양한 표현으로 번역되었으며, aise는 부가 의문문과 비슷한 모습으로 번역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고의 의의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먼저, 본고는 임의 용어인 첨사에 언어학적인 논의를 도입하여, 이를 분포와 의미의 계열적인 관계를 고려하여 재분류하였다. 또한 언어 보편적 의미 범주인 양태에 대한 논의를 만주어 문어에 본격적으로 도입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 자료를 17세기 만주어 문어로 한정하여 논의에 통시적 및 공시적 일관성을 확보하였다.
This paper aims to recategorize the words of written Manchu considered to be particles based on their linguistic distributions. It demonstrates that the words {dere, kai, ayoo, aise} form the same paradigmatic relation and are the morphemes expressing the epistemic modality. For this reason, I refer to the two works of literature Manwen Laotang () and Manwen Sanguozhi () reflecting the early written Manchu as the primary source for this study. Additionally, I confirmed the expressions in modern Korean language corresponding to these words for epistemic modality.
In Chapter 1, based on the argument of Nuyts (2016), I summarize the concepts of modality and epistemic modality. In Chapter 2, I confirm the description of Manchu particles from metalinguistic literature and critique previous studies on Manchu particles, particularly Rentzsch (2012). In light of this, I argue that the original studies do not consider linguistic distributions and functions, employ only simple terminology, and lack diachronic and synchronic consistency in their source material.
In Chapter 3, limiting the sources to the written Manchu of the 17th century, I set up the paradigmatic relations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of the words in previous studies, and recategorize them. As a result, I contend that the words bi, akū, -o, dabala, wajiha, unde, be, etc., which were originally considered particles, have certain parts of speech. Furthermore, I contend that the words {dere, kai, ayoo, aise}, which appear at the end of a sentence, constitute a paradigmatic relation and impart a particular meaning to the sentence it modifies.
In Chapter 4, I show that {dere, kai, ayoo, aise} expresses the epistemic modality: dere is the speculative expression; kai demonstrates the deductive meaning; ayoo expresses the dubitative modality; and aise is the expression of assumptive modality.
In Chapter 5, I identify the corresponding expressions in Modern Korean language for these epistemic modality particles. The most common translation of dere was conjecture, whereas ayoo was either interpreted as a supposition or a worry. The word kai, for which there is no suitable Korean equivalent, was translated into a variety of expressions. aise was translated into tag question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It reexamined the arbitrary category of particles in terms of the paradigmatic relationships of meanings and distributions. I also systematically introduced the concept of modality, a universal linguistic category. Finally, I offer a synchronically and diachronically consistent argument by limiting the sources for studies to the 17th-century written Manchu.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4278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5229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