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A Study on the Use of General Extenders by English Learners in Conversation: Focusing on the Conversation by Korean and Chinese Speakers : 영어 학습자 대화에 사용된 일반확장어 연구: 한국인과 중국인 화자 대화를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첸쭌찌에

Advisor
Park, Yong-Yae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general extendersforms and functionsKorean learners of EnglishChinese learners of Englishlearners’ tracesconversation analysis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인문대학 영어영문학과, 2023. 2. Park, Yong-Yae.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인 영어 학습자와 중국인 영어 학습자 사이에서 행해진 5시간 가량의 대화자료를 바탕으로 영어의 일반확장어(general extenders: (and) stuff (like that), (or) something (like that), and and so on 등과 같은 표현) 사용을 분석한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영어 수준이 상이한 각 집단 내 학습자들의 일반확장어 사용 빈도를 살펴보고 두 집단 간의 결과를 비교한 후 대화분석(conversation analysis)을 사용하여 두 집단이 사용하는 일반확장어의 기능을 분석하였다.

숙련도의 측면에서 살펴보면, 두 집단의 중하급(low-intermediate) 수준에 해당하는 학습자들이 일반확장어를 가장 적게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인 학습자들은 영어 수준과 무관하게 순접(adjunctive) 일반확장어보다 역접(disjunctive) 일반확장어를 더욱 사용하는 경향이 있는 반면, 중국인 학습자들은 두 가지 형식을 비슷한 빈도로 사용했다. 대체로 학습자들은 일반확장어의 사용에서 원어민과 다른 방식을 보였는데, 일반확장어를 상당히 적게 사용하고 제한된 형식만을 사용했다. 또한 학습자가 사용하는 일반확장어에는 잘못 쓰인 것과 함께 학습자의 모국어 간섭을 받은 듯한 형식도 발견되었다. 뿐만 아니라 학습자들은 특정확장어(specific extenders)에 의지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이는 영어의 일반확장어에 대한 학습자의 지식 부족을 드러낸다고 볼 수 있다. 반면, 학습자들이 사용하는 일반확장어의 기능은 제한적이지만 선행 연구에서 논의된 것과 상응하게 네 가지 대화적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시적으로 (i) 카테고리를 시사하고 (ii) 리스트를 끝내는 기능이 있으며 대인적으로 (i) 불확실함과 (ii) 엔터테인먼트를 표시하는 기능이 있다. 개인적인 기능으로는 (i) 최소한의 기대나 상대의 예상과 반대되는 것을 표시하고 (ii) 부정적인 평가를 최대화하고 (iii) 무관심을 표시하는 기능을 사용했다. 텍스트적으로는 (i) 대화의 말차례를 넘겨주고 (ii) 새로운 주제를 제안하는 기능을 가진다.

잘못 쓰인 형식과 학습자들이 의존하는 형식들이 일반확장어가 전형적인 기능으로 수행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 듯하지만 영어 의사소통에는 큰 도움이 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일반확장어의 형식에는 다양한 것들이 존재하지만 특정한 형식은 언어 사용의 사회적 측면과 관련하여 특정 기능만을 수행하기 때문이다. 학습자들은 사회적 및 대인적 맥락에서 효율적인 의사소통을 위해 영어를 사용할 때에 이를 인식하고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므로 학습자들은 어떤 형식의 일반확장어가 존재하고 이들이 어떤 기능을 가지는지, 그리고 서로 다른 형식들이 원어민에게서 어떻게 사용되는지를 학습해야 한다. 더불어 일반확장어의 사용은 유창성과 연결되는데 학습자로 하여금 발화를 생산하는 동시에 다음 발화에 대한 계획을 가능하게 하여 학습자의 부담을 줄여준다. 이는 일반확장어라는 화용적 표현의 학습과 교수가 EFL 교육 및 교육과정을 계획하는 데 반영되어야 할 필요성을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The present study, drawing on approximately 5-hour long conversation data, investigates how Korean and Chinese learners of English use general extenders, e.g., (and) stuff (like that), (or) something (like that), and and so on, during conversation. To achieve the above, the study first details the frequency distribution of the forms of general extenders by learners of different L1s at different English proficiency levels, and compares the attained distributional results between Korean and Chinese learners. Second, the study analyzes the functions of general extenders that are resorted to by these two groups of learners by employing conversation analysis as its analytical tool.

In terms of the frequency across proficiency levels, low-intermediate learners from both groups use the least general extenders. As for preferred forms, Korean learners, regardless of proficiency levels, use more disjunctive general extenders than adjunctive ones. Chinese learners, on the other hand, use both types nearly equally. Learners, in general, do not use general extenders in the same way as native speakers do; they substantially underuse general extenders and use fewer variants. Among the used, there are forms that are misused, and forms that suggest L1 influence. Furthermore, they also call upon more specific extenders. All of these are indicative of their lack of knowledge regarding, if not complete unawareness of, general extenders in English. On the other hand, the functions by general extenders that learners use, though limited, mirror those affirmed in the literature, and substantiate that general extenders, indeed, have functions in four conversational domains. Referentially, they function to (i) implicate a category and (ii) complete a list. Interpersonally, they function to (i) mark uncertainty and (ii) mark entertainment. Personally, they function to (i) mark something as minimum expectation or contrary to ones expectation, (ii) maximize a negative extreme value, and (iii) mark indifference. Textually, they function to (i) yield a turn and (ii) proffer a new topic.

The forms that are misused and those that are influenced by speakers L1 do not seem to be restricted from performing many typical functions of general extenders. Such forms, however, do not facilitate communication in English. This is because certain forms of general extenders in English may be used to carry out specific function(s) that is/are related to the social aspects of language use. Learners have to be able to recognize and exploit them when they speak English for efficient interactions within social and interpersonal contexts in order for the development and maintenance of personal and professional relationships. Learners, therefore, need to be made aware of what forms of general extenders exist, what functions these forms can have, and how different forms are used in a native-like manner. Additionally, general extenders are linked to aspects of fluency. They contribute to reducing learners pressure imposed by the need to plan ahead while simultaneously producing speech on-line. All these point towards the need for pedagogical intervention in EFL teaching and curriculum planning in terms of facilitating the learning and teaching of this set of pragmatic expressions.
Language
eng
URI
https://hdl.handle.net/10371/194279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7065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