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The Effects of Visual Input Enhancement and Working Memory on Grammar Learning by Korean EFL Learners : 시각강화와 작업기억이 한국인 영어 학습자의 문법 학습에 미치는 영향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조주형

Advisor
송미정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noticing hypothesisattentionvisual input enhancementworking memorygrammatical difficultyreading comprehensionL2 acquisitiongrammar learning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인문대학 영어영문학과, 2023. 2. 송미정.
Abstract
제 2 언어를 습득함에 있어 주의집중의 중요성에 관한 연구가 축적된 이후 실제 교실에서는 학습자의 관심을 문법 형태로 유도하기 위한 다양한 교수기법이 개발되었고 또한 적용되고 있다. 명시적으로 규칙을 설명하거나 간접적으로 문법을 제시해 주는 기법 등과 같은 많은 학습 방법 중에서 시각적 입력 강화(VIE)은 제 2 언어를 연구원들과 교실에서 수업하는 교사들로부터 많은 관심을 받았다. 이는 학습자가 알 수 있도록 독해 텍스트 내에서 해당 문법 사항을 강조하는 기법을 의미한다. 하지만 시각강화가 문법 학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앞선 연구들은 학습자의 다양한 내부 요인 뿐만 아니라 특정 문법 항목의 선택과 같은 방법론적 차이로 인해 혼합된 결과를 보여주었다. 게다가 시각강화가 독해력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된 또 다른 중요한 문제는 해결되지 않았고 논란의 여지가 남아 있다.
수년에 걸쳐 많은 시각강화 연구가 수행되었지만, 서로 다른 문법 항목 사이에 시각강화의 효과를 비교하고 학습자의 작업 기억과 시각강화 효과 사이에서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시각강화가 두 가지 문법적 형태의 문법 학습에 미치는 영향과 독해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영어 관계사절과 관사를 해당 문법 항목으로 선정한 것은 그동안 한국인 영어 학습자들이 상대적으로 어렵게 여기는 특징을 나타냈으며 여기에는 유사점과 차이점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개인변인이 시각강화의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개별 학습자의 작업 기억 능력도 연구되었다.
실험에는 총 48명의 한국인 대학 영어학습자들이 참여했다. 참가자들은 (a) 관계사절 그룹(관계사절에 대한 시각강화), (b) 관사 그룹(관사에 대한 시각강화), (c) 통제 그룹(시각강화 미제공)의 세 그룹으로 배정되었다. 이들은 독해 시험과 문법 시험을 치루었다. 본 연구는 또한 시각강화의 효과가 각 참가자의 작업 기억 수준에 따라 영향을 받는 지의 여부를 분석하였다. 따라서 이들의 작업 기억 능력 결과를 바탕으로 각 그룹을 높은 작업 기억 그룹과 낮은 작업 기억 그룹으로 세분화하였다.
두 시각강화그룹의 독해력 테스트 결과는 통제 그룹과 비교하여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두 문법 항목에 대한 텍스트 내에서의 강조가 학습자의 독해에 방해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두 시각강화 그룹의 문법 시험 결과는 문법 대상에 따라 통제 그룹과의 문법 시험 결과와 다르게 나타났다. 관계사절 그룹에서는 수용성 지식(receptive knowledge)에 해당하는 문법 시험에서 통제 그룹보다 더 높은 점수를 받았다. 관계사절 집단 참가자들은 다른 집단에 비해 관계사절에 시각적으로 강화된 점에 주목하였고, 시각강화는 영어 관계사절 대한 수용적 지식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사의 경우, 시각강화는 참가자들의 영어 관사에 대한 생산적인 지식(productive knowledge)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문법 항목을 시각적으로 강화하면 문법 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나타낸다.
작업 기억 능력의 개인차는 관계사절 그룹과 관사 그룹에서 독해나 문법 학습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러나 작업기억을 세분화하여 살펴본 결과, 처리 능력이 높은 학습자들이 낮은 학습자들보다 더 우수한 성적을 보였다. 관계사절 그룹에서 높은 처리 능력을 가진 참가자들은 낮은 그룹보다 GJT에서 약간 더 나은 성과를 보였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관사 그룹에서, 높은 처리 능력을 가진 참가자들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으로 FIB에서 더 나은 성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작업 기억의 처리 구성 요소가 문법 학습에 중요한 개인 변수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작업기억능력이 높은 집단이 하위집단보다 우수한 경향은 학습자의 작업 기억 능력에 따라 시각강화의 효과가 달라질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두 개의 다른 특징을 가진 문법 항목 대한 시각강화가 독해를 저해하지는 않았고 문법 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문법 학습에 대한 시각강화의 효과는 작은 영향에도 불구하고 참가자의 작업 기억 능력의 처리 구성 요소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점이다. 이 연구 결과, 문법 형태를 시각적으로 향상시킴으로써 학습자가 형태를 알아내고 의미의 손상 없이 습득할 수 있음을 시사해주고 있다.
Since the research evidence on the importance of attention and noticing in learning a second language has been accumulated, various teaching techniques to draw learners attention to target forms have been developed and applied in L2 classrooms. Amongst many techniques, such as explicit rule explanation, dictogloss, recasts, prompts, input flooding, etc., visual input enhancement (VIE) has particularly received a lot of attention from L2 researchers as well as classroom teachers. It involves enhancing target features in reading texts for learners to notice them. Previous studies on the effects of VIE on L2 grammar learning, however, have shown mixed results due to the methodological differences such as the choice of specific target linguistic forms as well as various learner-internal factors. Moreover, another important issue regarding the impact of VIE on reading comprehension has not been resolved and remains controversial.
Over the years, many VIE studies have been carried out; however, few studies have compared the effectiveness of VIE between different target structures and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ers working memory and the effectiveness of VIE. Thu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VIE on the learning of two grammatical forms and their impact on reading comprehension. English relative clauses and articles have been chosen as the target features because they have been known as relatively challenging features for Korean EFL learners and there are som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complexity. Finally, individual learners working memory capacity has been also examined to explore its impact on the effectiveness of VIE.
A total of 48 Korean college learners of English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participants were assigned into three groups: (a) relative group (VIE on relative clauses), (b) article group (VIE on articles), and (c) control group (no VIE). They completed a reading comprehension test and grammar tests, including a grammaticality judgement test (GJT) and a fill-in-the-blank (FIB) test. This study also explored whether the effectiveness of VIE was influenced by each participants different levels of working memory. Therefore, based on their working memory test results, each group was subdivided into high and low working memory (WM) capacity groups.
The findings showed that reading comprehension test results of the two VIE group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control group, which indicates that the enhancement on two grammatical features did not interrupt learners reading comprehension. However, the grammar test results of the two VIE groups were different from that of the control group, depending on the target form. In the relative group, the immediate posttest result for the GJT was bett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The participants in the relative group noticed the enhanced relative clauses more than other groups, and it was found that VIE helped them enhance their receptive knowledge of English relative clauses. As for articles, VIE was shown to improve the participants productive knowledge of English article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VIE on target linguistic features has positive effects on their grammar learning.
The individual differences in working memory capacity in general did not affect the reading comprehension or grammar learning for both the VIE-relative and VIE-article groups. However, the result of the processing component of working memory showed that learners with higher WM processing ability performed better than those with lower WM processing ability. In the relative group, participants with high WM processing ability slightly performed better in the GJT than their counterparts; however,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article group, participants with high WM processing ability had performed better in the FIB,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processing component of working memory might be an important individual variable for grammar learning. Despite not be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trend that the group with high working memory ability outperformed the lower group presents the possibility that the effects of VIE can differ depending on the learners' WM capacity.
The current study showed that VIE on the target form did not inhibit reading comprehension, but it had a positive effect on grammar learning. Furthermore, the impact of VIE on grammar learning can be influenced by the processing component of the participants working memory capacity, despite its small impact.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by enhancing the target grammatical forms, learners can notice the forms and thereby acquire them without compromising for meaning.
Language
eng
URI
https://hdl.handle.net/10371/194280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5224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