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y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 in the Philippine Department of Budget and Management : 필리핀 예산관리부의 보수 만족도와 이직의도의 관계에 관한 연구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제시카

Advisor
Lee Soo Young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pay satisfactionturnover intentionpay levelagePhilippines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행정대학원 글로벌행정전공, 2023. 2. Lee Soo Young.
Abstract
The research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pay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in the Philippine Department of Budget and Management. It looked into the effect of overall pay satisfaction, as well as the effect of the four individual factors (pay level, benefits, raises, and structure/administration) in explaining turnover intention. Moreover, the study looked into the moderating effect of age in this relationship.
The results of the study affirm previous literature on the negative association between pay satisfaction and its four factors with turnover intention.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overall pay satisfaction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explaining turnover intention, wherein a unit increase in pay satisfaction is likely to reduce the odds of turnover intention. There is also evidence to support the moderating effect of age in this relationship but will require further study. In terms of the individual factors of pay, in the case of the Department of Budget and Management, only pay level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explaining turnover intention.
Furthermore, qualitative data suggests that the benefits component of pay also play a significant role in influencing an employees turnover intention and decision.
본 연구는 필리핀 예산관리부를 대상으로 하여 보수만족도와 이직의도 사이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보수만족도와 이직의도 사이의 관계를 설명함에 있어 본 연구는 전반적인 보수만족도와 함께 보수만족도의 하위요인(보수 수준, 급여, 인상, 구조/행정)을 연구에 포함시켰다. 또한 해당 관계 속에서 연령의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네가지 하위요인을 포함한 보수만족도가 이직의도에 부(-)적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를 지지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전반적인 보수만족도는 이직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며, 보수만족도가 한 단위 증가할 때 이직의도의 확률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보수만족도와 이직의도 사이, 연령의 조절효과를 뒷받침하는 증거가 있으나 이는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보수만족도의 하위요인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리하여 분석해보았을 때는, 보수 수준만이 이직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질적 자료는 보수의 하위요인이 구성원의 이직의도와 결정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Language
eng
URI
https://hdl.handle.net/10371/194449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5143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