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Policy Capacity of the Cabinet Secretariat: An Analysis Using 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 Tool : 공무원의 정책 역량: 중요도 성능분석툴을 활용한 분석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바유

Advisor
Ko, Kilkon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public administrationgovernment organization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행정대학원 글로벌행정전공, 2023. 2. Ko, Kilkon.
Abstract
인도네시아 내각 사무국은 의제 수립부터 정책 평가까지 정책 수립에 있어 중요한 정부 기관이다. 이 조직은 정책을 전달하기 위해 대통령의 직무 수행과 수행을 돕는다. 이러한 중요한 역할과 책임으로, 내각 사무국과 그 조직에서 일하는 공무원은 특정한 능력을 필요로 한다.
정부 기관이 건전한 정책을 수립하고 시행할 수 있는 능력을 기술하는 것은 정책 역량 이론을 말한다. 정책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필수적인 역량과 리소스를 결합하는 것이다. 문헌은 결정 요소나 상황이 개인 수준, 조직 수준 및 시스템 수준에서 정책 작업에 필요한 용량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내각 사무국의 기능과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역량을 탐색하고, 역량의 중요성과 능력의 차이를 파악하며, 내각 비밀의 개인 수준, 조직 수준 및 시스템 수준과 능력의 관계를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는 정량적 접근법을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설문지는 구성되었고 내각 사무국에서 일하는 공무원들에게 온라인으로 보내졌다. 이 연구는 응답률 21.39%에 해당하는 120명의 공무원을 대상으로 한다. 데이터 수집 후 SAS On Demand for Academic을 사용하여 몇 가지 통계 분석이 수행되었다. 중요도 성능 분석은 또한 용량을 사분면에 넣기 위해 수행되었으며 중요도는 높지만 성능은 떨어지는 용량에 초점을 맞춘다. 독립 변수와 종속 변수 사이의 관계를 조사하기 위해 Pearson의 상관 관계와 다중 회귀 분석을 수행했다. 개인, 조직 및 시스템 수준은 이 연구에서 독립적인 변수로 작용한다. 한편, 종속 변수는 용량의 중요성과 용량의 성능 사이의 차이다. 본 연구의 통제 변수는 연간 획득하는 연령, 성별, 교육, 분업, 직위, 재직권, 역량 구축이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는 내각 사무국에 요구되는 세 가지 주요 역량 그룹인 조정, 정책 작업과 정책 분석의 이해, 그리고 법률 제도와 입법 제정에 대한 이해 등을 제안한다. 중요도 성능 분석 활용은 모든 그룹에서 용량의 중요도와 용량의 성능 사이의 차이를 보여주며, 주로 중요도는 높지만 성능은 낮음을 나타내는 경우에 초점을 맞춘다. 중요도는 높지만 성과가 낮은 역량은 모든 이해관계자와 함께 정책결정 과정의 이슈를 파헤치는 능력, 정보기술(IT)을 활용한 자료수집 능력, 연구수행 능력, 정책결정 과정에서 다양한 분석 활용 능력, 실체감독 능력 등이다. 대통령의 승인을 필요로 하는 장관 규정. 개인 수준, 조직 수준, 시스템 수준과 내각 사무국의 역량 간의 관계와 관련해 개인 수준, 조직 수준, 시스템 수준은 갭 용량과 통계적으로 부정적이고 유의한 관계를 갖는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세 가지 회귀 분석 모델을 활용하면 개별 수준, 조직 수준 및 시스템 수준이 격차 용량에 유의하고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위해서는 용량의 성능을 향상시키고 개인 수준, 조직 수준 및 시스템 수준에서 결정 요인을 증가시킴으로써 쿼드런트의 격차 용량을 줄이고 향후 발생하는 격차로부터 완화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주요 키워드: 정책능력, 개인수준, 조직수준, 시스템수준, 격차능력, 내각사무국
The Cabinet Secretariat of the Republic of Indonesia is an important government agency in policymaking, from agenda-setting to policy evaluation. The organization helps the President execute and perform his duties, primarily to deliver sound policies. With these prominent roles and responsibilities, the Cabinet Secretariat and its civil servants working in the organization require specific capacities.
Describing the ability of government agencies to build and implement sound policies refers to the theory of policy capacity. It combines the set of essential competencies and resources to perform policy work. The literature suggests that determinants or situations can influence capacities needed for policy work at Individual Level, Organizational Level, and System Level. Therefore, this research aims to explore the necessary capacity to carry out the functions and roles of the Cabinet Secretariat, identify the gap between the importance of capacities and the performance of capacities, and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Level, Organizational Level, and System Level and capacity in the Cabinet Secretariat.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by using a quantitative approach. The survey questionnaire was formed and sent online to civil servants working at the Cabinet Secretariat. This research involved 120 civil servants, equal to a 21.39% response rate (total population is 561 civil servants). After data collection, several statistical analyses were carried out using SAS OnDemand for Academics. 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 was also done to put the capacities into Quadrants and focuses on the capacity with a gap with high importance but low performance.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were perfor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Individual, organizational, and system levels work as independent variables in this research. Meanwhile, the dependent variable is the gap between the importance of capacities and the performance of capacities. The control variables for this research are age, sex, education, division, position, tenure, and capacity building obtained per year.
Based on the results, the research proposes three leading groups of capacities required for the Cabinet Secretariat: coordination, understanding of policy works and policy analysis, and understanding of the legal system and legislation making. Utilizing 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 shows gaps between the importance of capacities and the performance of capacities in every group, primarily focusing on capacities that indicate high importance but low performance. Capacities that have high importance but low performance are the ability to delve into issues in the policymaking process with all stakeholders, the ability to gather data using information technologies, the ability to conduct research, the ability to utilize various analyses in the policymaking process, and the ability to oversee the substance a Ministerial Regulation that requires President's approval.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dividual Level, Organizational Level, and System Level and the capacity of the Cabinet Secretariat, the study finds that Individual Level, Organizational Level, and System Level have a statistically negative and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Gap Capacity. Utilizing three models of regression analyses reveals that each Individual Level, Organizational Level, and System Level significantly and negatively affects the Gap Capacity. For these results, it is essential to reduce the gap capacity in the Quadrant and mitigate the gap from happening in the future by enhancing the performance of capacities and increasing the determinants at the Individual Level, Organizational Level, and System Level.

Keywords: Policy Capacity, Individual Level, Organizational Level, System Level, Gap Capacity, the Cabinet Secretariat
Student Number: 2021-27972
Language
eng
URI
https://hdl.handle.net/10371/194471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5351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