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The Gravity Effect of Digital Trade Rules in FTAs : FTA 디지털무역 규칙의 중력효과: 중국, 일본, 한국의 사례
Cases of China, Japan, and South Korea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고로

Advisor
구민교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digital tradefree trade agreementdigital trade rulesgravity modelEast Asia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행정대학원 글로벌행정전공, 2023. 2. 구민교.
Abstract
As a produc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digital trade has emerged as a key driver of global trade growth. Digital trade is not only an evolutionary direction of global trade patterns, but also an important position for the competition of emerging trade rules. As multilateral trade agreements failed to adapt to the rapid changes brought about by digital trade, the global governance of digital trade has gradually transitioned to bilateral and regional trade agreements. At present, the digital trade rules at the FTA level are fragmented, with obvious heterogeneity among the rules led by the US, the EU, and other major economies. However, it is worth noting that, in addition to North America and Europe, East Asia, which ranks third, is also experiencing rapid development of regional economic integration and digital trade. Economies such as China, Japan and South Korea are actively outputting digital trade rules that suit the development characteristics of East Asia, expecting to form a valuable complement to the worlds trade rules system. What effect do these digital trade rules have on digital trade? This research seeks to provide an empirical study-based response to that query.
The study proposes three impact hypotheses based on a classification of FTA digital trade rules into three categories: trade promotion rules, data flow rules, and privacy protection rules. Because specific provisions in each category have different attributes, six explanatory variables, including WTO complement, trade facilitation, cross-border data flow, data flow condition, personal data protection, and online consumer protection provisions, are further constructed and quantified using the TAPED dataset after reliability testing. Using the digital trade export data of China, Japan, and South Korea from 2005-2019 to 65 economies with which they have signed FTAs as a sample, this study empirically tests the impact of FTA digital trade rules on digital trade exports using the gravity model.
The estimation results show that trade facilitation, cross-border data flow, and online consumer protection provisions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digital trade exports. There is no statistical evidence showing that WTO complement, data flow condition, and personal data protection provisions have an impact on digital trade exports. In addition, the effect of economic size in traditional gravity model still works, but the effect of geographical distance is not confirmed. According to the findings of country-specific analysis, China tends to sign WTO supplement provisions with developing countries while Japan tends to sign WTO supplement provisions with developed countries in order to increase their digital trade exports. South Korea usually signs data flow condition provisions with developing countries, as well as data flow rules and online consumer protection provisions with developed countries. Although signing high-standard FTA digital trade rules is the way forward for each country to participate in global digital trade rulemaking, the level of rules and the choice of provisions involved in FTA negotiations should vary from one trading partner to another and from one provision to another.
디지털무역은 4차 산업혁명의 산물로서 세계무역 성장의 핵심동력으로 떠올랐다. 디지털무역은 세계무역패턴의 중요한 진화방향일 뿐만 아니라 신흥무역 규칙의 경쟁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다자간 무역협정이 디지털무역의 급격한 변화에 적응하지 못하면서 디지털무역의 글로벌 거버넌스는 점차 양자 및 지역 간 무역협정으로 전환되고 있다. 현재 FTA 수준의 디지털무역 규칙은 미국, EU를 비롯한 주요 경제국이 주도하는 규칙들 사이에서 이질성이 뚜렷이 나타나는 파편화 상태이다. 다만 북미와 유럽 외에 3위를 차지하는 동아시아에서도 지역경제 통합과 디지털무역이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는 점은 주목할 필요가 있다. 중국, 일본, 한국 등의 경제국들은 동아시아의 개발특성에 맞는 디지털무역 규칙 템플릿을 적극적으로 생산하고 있어 세계 무역규칙 체계에 보완점을 형성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디지털무역 규칙이 구체적으로 디지털무역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경험적 연구로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FTA 디지털무역 규칙을 무역촉진규칙, 데이터 흐름규칙, 프라이버시 보호규칙의 3가지 범주로 분류하여 3가지 영향가설을 제시한다. 각 범주의 특정조항은 속성이 다르기 때문에 신뢰성 테스트 후 TAPED 데이터 세트를 사용하여 WTO 보완, 무역 원활화, 국경 간 데이터 흐름, 데이터 흐름 조건, 개인 데이터 보호, 온라인 소비자 보호 6가지 설명 변수를 추가로 구성하여 정량화한다. 본 연구는 2005-2019년에 FTA 체결한 65개 국가와 지역에 대한 중국, 일본, 한국의 디지털무역 수출액을 표본으로 하여 디지털무역 규칙이 디지털무역 수출에 미치는 영향을 중력모형을 이용하여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추정 결과 무역 원활화, 국경 간 데이터흐름, 온라인 소비자 보호조항이 디지털무역 수출에 통계적으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WTO 보완, 데이터흐름 조건 및 개인데이터 보호조항이 디지털무역 수출에 영향을 미친다는 통계적 증거는 없다. 또한, 전통적인 중력모형에서 경제적 크기의 효과는 여전히 작용하지만, 지리적 거리의 효과는 확인되지 않았다. 국가별 분석 결과를 보면, 디지털무역 수출을 늘리기 위해 중국은 개발도상국과 WTO 보완조항을 체결하는 경향이 있는 반면, 일본은 선진국과 WTO 보완조항을 체결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한국은 주로 개발도상국과 데이터흐름 조건조항을 체결하고, 선진국과 데이터흐름 규칙 및 온라인 소비자 보호조항을 체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높은 수준의 FTA 디지털무역 규칙을 체결하는 것은 각국이 글로벌 디지털무역 규칙 제정에 참여하는 방향이지만, FTA 협상에 수반되는 규칙의 수준과 조항의 선택은 무역 상대국마다 조항마다 차이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Language
eng
URI
https://hdl.handle.net/10371/194481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6202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