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공공기관의 ESG경영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ESG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Public Institute :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 of Industry Type in Pubic Organization
산업유형에 따른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수영-
dc.contributor.author김인혜-
dc.date.accessioned2023-06-29T02:40:45Z-
dc.date.available2023-06-29T02:40:45Z-
dc.date.issued2023-
dc.identifier.other000000176996-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94530-
dc.identifier.uri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6996ko_KR
dc.description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행정대학원 행정학과(행정학전공), 2023. 2. 이수영.-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started with an interest in whether ESG management, which is spreading in the private sector, would be effective in the public sector as well. Recently, institutional strategies such as expanding management evaluation and management disclosure items to promote ESG management in the public sector are being provided, and public institutions are required to play a leading role in ESG. Through this study, the effect of ESG of public institutions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was examined by empirical analysis, and also tried to verify effect of public institutions ESG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rough the moderating effect according to the industry type of public institution. First, since Koreas ESG indicators have not been developed, the results of the management performance evaluation published in the Public Institution Management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ALIO) were used for performance on ESG. Second, management performance was considered in a multidimensional aspect by dividing performance in the financial feature and the public interest factor from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ird, we tried to research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ESG management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of public institutions may differ depending on the type of industry. For research,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on 126 public institutions subject to management performance evaluation from 2019 to 2021. We tried to expand the effect of ESG management, which was mainly focused on the private sector,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to the public sector, and also examined the effect of ESG performance by item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Furthermore, by suggesting that ESG management performance can vary by industry type of public institutions, it has implications for future strategies for introducing ESG management of public institutions.-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민간부문에서 확산되고 있는 ESG경영을 공공부문에 도입할 때의 효과성에 대한 관심에서 출발하였다. 최근 공공기관에서 ESG경영을 추진하기 위해 경영공시 및 경영평가 관련 항목을 확대하는 등의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고 있고, 공공기관의 ESG에 대한 선도적 역할이 요구되고 있다.
다만, 공공부문에 있어 ESG경영에 대한 효과성이나 다양한 전략에 대한 논의는 아직 미흡한 상황이다. 공공기관의 개별적 특성에 대한 고려 없이 일괄적으로 적용되는 경영공시 항목이나 ESG평가체계는 정부지원금을 재원으로 운영하는 공공기관에 자원소모적인 활동으로 예산 낭비에 불과하게 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공공기관의 ESG경영 활동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증분석을 통해 살펴보고자 하며, 나아가 공공기관의 산업유형에 따른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의 수행을 위해 첫째, ESG경영 활동에 대해서 공공기관 경영실적평가 결과 중 해당하는 항목별 점수를 활용하였다. 둘째, 조직성과는 재무적 측면의 성과와 공익적 측면에의 성과를 구분하여 공공부문의 다차원적인 경영성과를 고려하였다. 셋째, 공공기관의 산업유형을 제10차 표준산업분류기준 및 경영실적평가 대상 기관의 기능별 구분 기준을 준용하여 유형화하여 차이를 탐색하고자 했다. 분석을 위해 2019년부터 2021년까지 경영실적평가 대상이 되는 공공기관 중 공기업 및 준정부기관 126개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주로 민간 분야에서 중점적으로 이루어졌던 ESG경영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공공 분야로 확대하고자 하였으며, 각 항목별 추진 실적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나아가 공공기관의 산업유형별로 ESG경영 성과가 달라질 수 있음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공공기관 ESG경영의 도입전략에 시사점을 갖는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 차

제 1 장 서 론 1
제 1 절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제 2 절 연구의 목적과 범위 2

제 2 장 이론적 논의와 선행연구 검토 4
제 1 절 ESG의 이해 4
1. ESG의 개념과 등장배경 4
2. 지속가능한 발전 7
3. 기업의 사회적 책임 8
4. 사회적 가치 10
제 2 절 국내외 ESG 동향 13
1. ESG 관련 규제 강화 13
2. 책임투자 증가 16
3. ESG 성과평가 확산 18
4. 공공기관 ESG경영 20
제 3 절 공공기관 조직성과에 관한 논의 25
1. 조직성과의 개념 25
2. 공공기관 조직성과 27
제 4 절 공공기관 산업유형에 관한 논의 37
1. 공공기관 유형에 관한 이론적 논의 37
2. 공공기관 유형에 관한 법·제도적 논의 44
제 5 절 ESG와 조직성과에 관한 논의 50


제 3 장 연구설계 및 분석방법 57
제 1 절 분석의 틀 및 연구범위 57
제 2 절 변수의 조작적 정의와 측정방법 58
1. 종속변수 58
2. 독립변수 61
3. 조절변수 63
4. 통제변수 66

제 4 장 분석결과 68
제 1 절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68
1. 기술통계량 68
2. 상관관계분석 74
제 2 절 공공기관 ESG경영과 조직성과 76
1. ESG경영과 조직성과 76
2. ESG 요인별 조직성과 77
제 3 절 공공기관 산업유형의 조절효과 79
1. ESG경영과 조직성과 간 산업유형 효과 79
2. ESG 요인별 조직성과 간 산업유형 효과 82

제 5 장 결론 및 후속연구 제언 85
제 1 절 연구내용 요약 85
제 2 절 연구의 시사점 및 함의 87
제 3 절 한계와 후속연구 제언 89

참 고 문 헌 92
Abstract 101
-
dc.format.extentⅧ, 102-
dc.language.isokor-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공공기관-
dc.subjectESG-
dc.subject조직성과-
dc.subject수익성-
dc.subject공공성-
dc.subject산업유형-
dc.subject.ddc350-
dc.title공공기관의 ESG경영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dc.title.alternativeThe Effect of ESG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Public Institute :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 of Industry Type in Pubic Organization-
dc.typeThesis-
dc.typeDissertation-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KIM In Hye-
dc.contributor.department행정대학원 행정학과(행정학전공)-
dc.description.degree석사-
dc.date.awarded2023-02-
dc.title.subtitle산업유형에 따른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dc.identifier.uciI804:11032-000000176996-
dc.identifier.holdings000000000049▲000000000056▲000000176996▲-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