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주택협동조합을 통한 주택 공동생산의 포용적 성격 : Inclusiveness of Housing Co-production through Housing Cooperative
'위스테이 별내'를 사례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서동규

Advisor
박인권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주택협동조합주택 공동생산도시 포용성도시 커먼즈,위스테이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환경대학원 환경계획학과, 2023. 2. 박인권.
Abstract
Due to the high housing price and owner-centered market structure, there is a problem that low-income households and tenants are excluded from urban housing. Accordingly, various policies for inclusive urban housing are being attempted. Social housing is one of the alternative housing supply methods proposed to Korean society in the 2010s. Social housing can be said to be a process of 'co-production of housing', in which diverse organizations belonging to the government, social economy, and private market jointly produce housing. Housing cooperatives noted in this study can also be seen as one of the types of social housing. However, although the most preferred housing type in Korea is apartments, housing cooperatives and social housing have rarely been supplied in the form of apartments.
WeStay Byeollae, which is drawing attention as the first case of an apartment housing cooperative in Korea, is operated by various entities investing in REITs that own apartments. The main characteristic of WeStay Byeollae is that the commoning practices take place in which tenants join the WeStay Byeollae Social Cooperative and collectively participate in the ownership, production, and management of apartments. In Korea, housing cooperatives or social housing rarely co-produced large-scale apartments, so there are not many studies on the structure and effectiveness of these projects.
This study examines the structure of co-production of apartments in the form of housing cooperative and examines the inclusiveness of apartments created through co-production. To this end, the structure of the co-production of housing is identified through the general meeting materials and media press releases of the WeStay Byeollae Social Cooperative. In addition, based on a survey conducted at the first anniversary of the moving in, this study inquirys into the pattern of community vitalization of apartments and the effect of social inclusiveness. In addition, the residents of apartments and the key participants in co-production were interviewed to understand the context of co-production of housing and specific aspects of commoning practices.
As a result of analyzing structure of the co-production of apartment-type housing cooperatives, the state secured a large amount of land and capital to prepare conditions for the project to proceed. Although the state and cooperatives own apartments, the affordability of housing has been secured because these two organizations first goal are not the economic profit. The developer in charge of the project played a role as an agent of the housing cooperative to help residents exercise management and commissioning rights for apartment complex. Residents' participation was guaranteed from the beginning of the project through the developer. And after moving in, the central participant in the co-production of housing changed from the developer to the housing cooperative.
The housing cooperative was a key device that allowed tenants to participate collectively in apartment complexes. In WeStay Byeollae, through a housing cooperative, apartments were collectively owned and community relationships were formed and maintained between tenants. In addition, the housing cooperative also played a role in promoting openness by supporting the establishment of other cooperatives serves inside and outside of the apartment complex.
The inclusive characteristics of housing cooperatives was also revealed through empirical analysis. The commoning practice of residents participating in the operation of common spaces and jointly solving their needs was increasing social inclusiveness. And this commoning practices was done through the housing cooperative.
The interview identified specific aspects of commoning practices. Residents have experienced a change in their perspective of recognizing themselves as the subject of their activities through the commoning practices in the housing cooperative. However, conflicts were inherent due to differences in perceptions arising from the lack of even participation in community activities. In addition, this study found that conflicts may arise between the accumulation of community culture through commoning practice and the practices for profit in the capitalist housing market.
This study suggests that housing cooperatives are the autonomous commoning practice by urban residents and one of the policy options to achieve inclusive city. In addition, by housing cooperatives, it is emphasized that plans to promote the commoning practices through cooperatives should be combined, not just to create a formal structure for cooperatives.
은 주택가격과 소유자 중심의 시장 구조로 인해, 도시의 주거에서 저소득층과 세입자가 배제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포용적 도시 주거를 위한 다양한 정책이 시도되고 있다. 사회주택은 2010년대에 한국 사회에 제시된 대안적 주택공급 방식 중 하나이다. 사회주택은 국가, 사회적경제, 시장에 속하는 조직이 주택이라는 사회서비스를 공동으로 생산하는, 즉 '주택 공동생산'의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 주목하는 주택협동조합 또한 사회주택의 유형 중 하나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한국에서 가장 선호되는 주거형식이 아파트임에도 불구하고, 주택협동조합과 사회주택이 아파트 형식으로 공급된 사례는 매우 드물다.
아파트 주택협동조합의 최초 사례로 주목받고 있는 '위스테이 별내'는 다양한 주체가 아파트를 소유하는 REITs에 출자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입주자가 '위스테이별내사회적협동조합'에 가입하여 아파트의 소유·생산·관리에 집합적으로 참여하는 커먼즈 실천이 일어난다는 것이 '위스테이 별내'의 큰 특징이다. 한국에서는 주택협동조합이나 사회주택이 대단지 아파트를 공동 생산한 사례가 드물어서, 이러한 사업의 구조와 효과에 관한 연구가 많지 않다.
이 연구는 주택협동조합 형태의 아파트 공동생산의 구조를 살펴보고, 공동생산을 통해 만들어진 아파트가 가진 포용적 성격을 알아본다. 이를 위해 위스테이별내사회적협동조합의 총회 자료와 언론 보도자료 등을 통해 주택 공동생산의 구조를 파악한다. 그리고 입주 개시 1주년을 기념하여 진행된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아파트의 공동체 활성화 양상과 사회적 포용성 효과를 확인한다. 또한 입주자와 공동생산 핵심 참여자를 인터뷰하여 주택 공동생산의 맥락과 커먼즈 실천의 구체적 양상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아파트 형태의 주택협동조합의 공동생산 구조를 분석한 결과, 국가는 대규모의 토지와 자본을 확보하여 프로젝트가 진행될 수 있는 조건을 마련하였다. 국가와 협동조합이 아파트를 소유하지만, 이 두 조직은 경제적인 수익을 제1목적으로 삼는 조직이 아니기에 주택의 저렴성이 확보되었다. 사업을 총괄한 시행사는 주택협동조합을 대리하여 입주자들이 아파트 단지에 대한 관리권한과 커미셔닝권한을 행사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수행했다. 시행사를 통해서 사업 초기부터 주민들의 참여가 보장된 것이다. 그리고 입주 이후에는 주택 공동생산의 중심 참여자가 시행사에서 주택협동조합으로 바뀌었다.
주택협동조합은 아파트 단지에 대한 입주자들의 집합적 참여를 가능하게 하는 핵심 장치였다. 위스테이 별내에서는 주택협동조합을 통해, 아파트를 공동으로 소유하고 있으며 입주자 사이에 공동체적 관계를 형성 및 유지하고 있었다. 또한 주택협동조합은 단지 밖에서도 활동하는 다른 협동조합의 설립을 지원하여 개방성을 증진하는 역할도 수행하였다.
주택협동조합의 포용적 성격은 실증분석을 통해서도 드러났다. 입주자들이 공용 공간의 운영에 참여하고 자신들의 필요를 공동으로 해결하는 커먼즈 실천이 사회적 포용성을 높이고 있었다. 그리고 이 커먼즈 실천은 주택협동조합을 통해서 이루어졌다.
인터뷰로는 커먼즈 실천의 구체적인 양상을 파악했다. 입주민들은 주택협동조합에서 커먼즈 실천을 통해 자신을 활동의 주체로 인식하는 관점의 변화를 겪었다. 그러나 모든 입주자들이 공동체 활동에 균질하게 참여하지 않음으로서 발생하는 인식의 차이로 인해 갈등이 내재되어 있었다. 또한 아파트 단지 내에서의 커먼즈 실천을 통한 공동체적 문화의 축적과 자본주의적 주택시장에서의 관행적 실천 사이에서 갈등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는 주택협동조합이 도시 거주자들의 주체적인 커먼즈 실천이자, 포용도시를 달성하기 위한 정책적 선택지 중 하나라는 점을 시사한다. 그리고 주택협동조합을 활용할 때에는 단순히 협동조합의 형식적 구조를 만드는 데에 그치지 않고 협동조합을 통한 커먼즈 실천을 촉진하는 계획이 병행되어야함을 강조한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4573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5776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