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노후 아파트 외부공간 리모델링 설계연구 : A Study on the Remodeling Design of Deteriorated Apartments Outdoor Space : Focused on Munchon Village 16-danji New Samik Apartment of Ilsan
일산 문촌마을 16단지 뉴삼익아파트를 대상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성구

Advisor
성종상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노후 아파트거주성리모델링외부공간조경설계1기 신도시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환경대학원 환경조경학과, 2023. 2. 성종상.
Abstract
1990년대 1기 신도시 건설로 인해 조성된 아파트 단지는 양적 공급 위주의 설계로 인하여 아파트 단지 외부공간에 대한 질적 제고 차원의 고민이 부족하였다. 특히 1기 신도시 대규모 아파트 단지의 경우 주차면 확보를 위한 용도로서 외부공간이 주로 활용되었고 이는 주거 쾌적성을 헤치며 그 이상의 공적 기능으로 진화되지 못하고 있다. 또한 해당 지역 상권의 중심부에 입지함에도 불구하고 주변 도시와의 상호작용이 부족해 도시맥락과 단절된 채 전락하고 있다. 즉, 노후 아파트 단지 외부공간에 대한 실질적인 설계 해법이 여러모로 논의되어야 할 시점에 도달한 것이다.
30여 년이 지난 지금, 노후화된 아파트 단지는 여전히 우리들의 삶과 연결되어 있고 현시점에서 결코 외면할 수 없는 과제로 남아 있다. 한편, 1기 신도시 아파트의 경우 비교적 규제가 적고 사업기간이 짧아 재건축이 아닌 리모델링을 통한 재정비 방식에 주목하고 있다.
이에 경기도는 1기 신도시의 노후화된 아파트를 대상으로 경기도 공동주택 리모델링 컨설팅 시범사업을 추진해 일산 문촌마을 16단지를 시범단지로 선정하였다. 해당 단지는 1994년 5월 준공된 28년 차 아파트 단지로 건폐율 16%, 용적률 182%, 총 956세대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다른 단지와 비교해 같은 기간 대비 노후화가 빠르게 진행되었다. 즉, 리모델링 허용 연한인 15년을 훨씬 지난 노후 아파트이며 낮은 건폐율로 동간 간격이 넓기 때문에 외부공간 활용에 유리한 특징이 있다.
본 연구는 시범사업 대상지의 노후화된 아파트 외부공간을 대상지로 선정해 아파트 단지 리모델링의 특성을 고려한 분석과 고찰을 바탕으로 아파트 외부공간의 개선안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현장조사와 입주민 인터뷰를 기반으로 보존과 재생할 공간을 발굴했고 기존 거주민의 의견을 존중한 실천적 설계방안을 제안하였다. 또한 주변부의 도시맥락과의 연계를 통해 아파트 입주민의 주거환경 제고와 도시근린환경과의 질적 조화 및 개선을 도모한다.
특히 단위주거의 단순적층에 의한 주거동 구성 관행을 탈피해 주차장 및 통로공간으로 인식되어 왔던 기존의 외부공용공간을 장소성, 기능성, 공간성, 미관성을 고려한 설계안을 통해 각 주거동 외부공간에 적합한 조경시설과 형태,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그리고 이 대안을 대상지에 적용하여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설계 방향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본 조경설계연구는 노후화된 1기 신도시 아파트 외부공간의 물리적 분석과 입주민 의견을 통해 종합적인 개선방안을 도출하였으며 주거환경 개선에 대한 질적 논의의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특히 1기 신도시 중 일산신도시에서는 진행되지 않았던 아파트 리모델링에 대한 실천적 개선방안을 기술했다는 점에서 지역 연구로서의 의의를 지니고 있다.
Apartment complexes creat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first new city in the 1990s lacked consideration in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space outside the apartment complex due to the quantitative supply-oriented design.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large-scale apartment complexes in the first new city, external spaces were mainly used to secure parking spaces, which have not evolved into more public functions than residential comfort. In addition, despite its location in the center of the local commercial district, it is falling apart from the urban context due to a lack of interaction with surrounding cities. In other words, the actual design solution for the outer space of the old apartment complex has reached the point where it should be discussed in various ways.
More than 30 years later, the aging apartment complex is still connected to our lives and remains a task that can never be ignored at this point.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first new city apartment, attention is being paid to the reorganization method through remodeling, not reconstruction, due to relatively few regulations and short business periods.
Accordingly, Gyeonggi-do Province selected Munchon Village Complex 16 in Ilsan as a pilot complex by promoting the Gyeonggi-do Apartment Remodeling Consulting Pilot Project" for aging apartments in the first new city." The complex is a 28-year-old apartment complex completed in May 1994, consisting of 16% construction, 182% floor area, and a total of 956 households. In addition, compared to other complexes, aging progressed rapidly compared to the same period. In other words, it is an old apartment that is well over 15 years old and has a low building and closing rate, so it is advantageous for using external spaces.
This study selects the aging apartment exterior space of the pilot project target site as the target site and proposes an improvement plan for the apartment exterior space based on analysis and consideratio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apartment complex remodeling. To this end, a space for preservation and regeneration was discovered based on field surveys and interviews with residents, and a practical design plan was proposed to respect the opinions of existing residents. In addition, it promotes the improvement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of apartment residents and the quality harmonization and improvement of the urban neighborhood environment through connection with the surrounding urban context.
In particular, landscaping facilities, forms, and programs suitable for the exterior space of each residential building were constructed through a design considering location, function, space, and aesthetics, which had been recognized as parking lots and aisle spaces. In addition, this alternative was applied to the target site to present a specific and practical design direction.
Therefore, this landscape design study derived a comprehensive improvement plan through physical analysis of the exterior space of the aging 1st new city apartment and residents' opinions, and sought to lay the foundation for qualitative discussions on improving the residential environment. In particular, it is significant as a regional study in that it describes practical improvement measures for apartment remodeling, which did not take place in Ilsan New Town among the first new cities.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4589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5805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