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수도권 조선족 밀집지 분화 요인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Differentiation Factors of Korean-Chinese Enclave in the Metropolitan Area : Focusing on the Chinatown in Bucheon and Siheung, Gyeonggi Province
경기 부천⋅시흥 조선족 차이나타운을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박지훈

Advisor
김세훈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조선족재한조선족조선족 밀집지외국인 밀집지분화현상분화요인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환경대학원 환경조경학과, 2023. 2. 김세훈.
Abstract
1980년대 후반, 고성장시대를 맞이한 대한민국은 노동자 인권 향상으로 3D직종 기피현상이 만연했고, 산업인력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 외국인 노동자를 받아들이기 시작했다. 한국계 중국인, 중국 동포 등으로 불리는 재한조선족 역시 1992년 한⋅중수교 이후 이주노동자로 들어와 본격적으로 한국에 정착하기 시작했다. 재한조선족은 현재 한국에 체류하는 외국인 집단 중 가장 인구가 많으며, 수도권을 중심으로 다수의 밀집지를 형성하고 있다. 저출산⋅고령화로 인한 생산인구 감소로 이주노동자에 대한 의존도가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수도권 도시경제에서 하부서비스업의 큰 비중을 담당하고 있는 재한조선족 노동자들의 역할은 중요해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도시공간에서 재한조선족 밀집지가 가지는 영향력과 중요성 역시 증대해지고 있다.
대외적으로 잘 알려진 재한조선족 밀집지는 서울 구로구 가리봉동, 영등포구 대림동 등 서울남서부 차이나타운과 경기 안산시 원곡동이다. 그러나 최근 10년 사이 재한조선족 사회에서는 이동이 감지되고 있다. 경기 부천시 대산동⋅심곡동⋅소사본동 일대와 시흥시 정왕본동⋅정왕1동 일대에 새로운 밀집지로 부상하고 있다. 경기남서부에 위치한 이 두 신밀집지는 낙후되고 열악한 밀집지가 아닌 비교적 쾌적하고 깔끔한 도시공간의 모습을 지니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경기 남서부 일대에 새롭게 형성된 재한조선족 밀집지의 형성과 그 배경을 밝히고, 각 밀집지들이 지니고 있는 특성차이와 그 의미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가리봉동, 대림2동, 원곡동의 구밀집지와 대산동, 정왕동의 신밀집지를 대상으로 비교분석을 진행하였다. 외국인 밀집지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구밀집지의 형성과정을 정리하였고, 신밀집지의 형성과정을 이 구조에 대입하며 비교분석하였다. 해당 결과를 중심으로 재한조선족 밀집지가 분화되는 현상을 입증하였고, 분화 요인을 밝히고자 했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 공간분석, 설문조사 그리고 심층면접 등의 단계를 통해, 재한조선족 이동의 지역별⋅체류자격별 경향성을 도출했다. 구밀집지에 오래 산 재한조선족들은 부동산 재개발 이슈와 사회적 지위 향상 등으로 신밀집지로 이동하려 하고 있다. 또한 각 재한조선족 밀집지들 간에 공통점과 차이점이 존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구밀집지들 간에는 형성시기와 거주자의 가치관이 비슷하며, 신밀집지 간에도 마찬가지다. 반면 신밀집지는 형성요인과 거주지 선택요인 등 지리적으로 인접한 구밀집지로부터 영향을 받았다. 이러한 결과는 가까운 미래 새로운 재한조선족 밀집지가 형성된다면 그곳은 기존 밀집지에서 멀지않은 지역일 것임을 시사한다. 동시에 외국인 신분으로 자신들만의 도시를 자발적으로 조성하는 국내 최초의 사례로써 향후 도시계획 정책 수립에 있어 반영되어야 할 중요사안임을 역설하고 있다.
In the late 1980s, South Korea, which faced a high-growth era, began to accept foreign workers to solve the shortage of industrial workers due to the widespread avoidance of 3D jobs due to the improvement of workers' human rights. Korean-Chinese in Korea, called Chosunjok and Chinese compatriots, also entered Korea as migrant workers after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Korea and China in 1992 and began to settle in Korea in earnest. The Korean-Chinese people currently have the largest population among the foreign groups staying in Korea, and form a large number of dense areas around the Seoul metropolitan area. While the dependence on migrant workers is intensifying due to the decline in the production population due to the low birth rate and aging population in Korea, the role of Korean-Chinese workers, who play a large part in the lower service industry in the metropolitan city economy, is also increasing.
The well-known enclaves of Korean-Chinese are in China Town in southwestern Seoul, including Garibong-dong in Guro-gu, and Daelim-dong in Yeongdeungpo-gu, Seoul and Wongok-dong in Ansan, Gyeonggi-do. However, in the past decade, movement has been detected in the Korean-Chinese society in Korea. It is emerging as a new dense area in Daesan-dong, Simgok-dong, and Sosabon-dong, Bucheon-si, Gyeonggi-do, and Jeongwangbon-dong and Jeongwang 1-dong, Siheung-si. Located in the southwestern part of Gyeonggi-do, these two new dense areas have a relatively pleasant and neat urban space, not an underdeveloped and poor dense area.
This study attempted to clarify the formation and background of newly formed Korean-Chinese enclaves in the southwestern part of Gyeonggi-do, an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 differences and meanings of each enclaves. Accordingly, a comparative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dense clusters in Garibong-dong, Daelim 2-dong, and Wongok-dong, and the dense clusters in Daesan-dong and Jeongwang-dong. Based on previous studies on foreigners' enclaves, the process of forming dense enclaves was summarized, and the process of forming dense enclaves was substituted into this structure and compared and analyzed. Based on the results, it was proved that the Korean-Chinese enclave in Korea was differentiated, and the reason for the differentiation was to be revealed.
This study derived trends by region and residence qualifications of Korean-Chinese movement in Korea through stages such as literature research, spatial analysis, survey, and in-depth interviews. Korean-Chinese, who have lived in dense areas for a long time, are trying to move to dense areas due to real estate redevelopment issues and improved social status.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re are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among the concentrated areas of Korean-Chinese living in Korea. The formation period and residents' values are similar between the dense areas, and the same is true between the dense areas. On the other hand, the new dense areas were influenced by geographically adjacent dense areas such as formation factors and residence selection factors. These results suggest that if a new Korean-Chinese enclave is formed in the near future, it will not be far from the existing enclave.. At the same time, it is emphasized that it is the first case in Korea to voluntarily create their own city as a foreigner, and is an important issue to be reflected in future urban planning policy establishment.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4596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6620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