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세계유산 사례 비교를 통한 전통마을의 문화경관적 가치 해석 : Cultural Landscape Values of Traditional Villages through Comparison of World Heritage Cases - Focusing on Oeam Village -
외암마을을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여해린

Advisor
성종상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세계유산문화경관전통 마을외암마을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환경대학원 환경설계학과, 2023. 8. 성종상.
Abstract
Beginning with the 1972 Convention for the Protection of World Cultural and Natural Heritage, UNESCO has been identifying, protecting, and preserving World Heritage that has universal value to mankind. To include the concept of a collaboration between nature and man, UNESCO revised the World Heritage Convention in 1992 to add 'cultural landscapes', which represent the collaboration between nature and man, as a type of inscription. World Heritage cultural landscapes trend of being listed, indicates that the target of heritage is expanding from monuments to landscape elements such as indigenous culture and agricultural cultu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ultural landscape of traditional villages, which contain the traces of evolution of human society and settlements. Among the many traditional villages in Korea, the value of Asan Oeam Village, which has been recognized for its value and is listed on the World Heritage Tentative List, is judged to be unnoticed as a landscape heritage.
The concept of cultural landscape and the flow of international discussions were examined by looking at the research history of cultural landscape, which serves as a theoretical background, and among the previously registered World Heritage cultural landscape heritage cases, heritages with villages were analyzed, focusing on the registration application. Through this, a framework for element analysis to derive the cultural landscape elements of the site was established, and a framework for value evaluation was constructed by reviewing previous studies related to the value of cultural landscape. According to the two frameworks, the cultural landscape elements of Oeam Village were classified into formation background,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lifestyle, and the value corresponding to each element was evaluated by dividing them into historicity, aesthetics, continuity, connectivity, and identity.
The cultural landscape of Oeam Village was formed with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Joseon Dynasty and the feng shui background as the starting point, and structural and architectural features stand out centered on the structure and water system of the village. The lifestyle of the residents living in the current village is maintained in good condition. The background and the structure created from it prove the value of the village's historicity and aesthetics, and the connection between nature and human interaction. In particular, indigenous culture such as confucianism, ancestral rites derived from that history supports the connection of interaction between tangible and intangible heritage as well as historicity. The efforts of the local community and the utilization of heritage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village are the characteristic elements of Oeam Village. As the local people's lifestyle and resident participation are considered as important factors, Oeam Village, which has strong resident solidarity, is considered to be moving in a desirable direction.
Although this study has limitations in that it has not been able to establish quantitative evaluation criteria by relying on site surveys and interviews, it differentiates itself from existing studies by interpreting the unique tangible and intangible values of cultural landscapes, such as continuity, connectivity, and identity. It is also significant that it presented a direction in which intangible values are regarded as important factors.
유네스코는 1972년 세계 문화 및 자연유산 보호 협약을 시작으로 인류의 보편적 가치를 가진 세계유산을 확인, 보호 빛 보존하고 있다. 자연과 문화를 별개로 여길 수 없다는 판단 아래 유네스코는 1992년 세계유산협약을 개정하여 자연과 사람의 합작품을 나타내는 문화경관을 등재 유형으로 추가하였다. 문화경관의 등재 추세는 유산의 대상이 점적인 기념물 중심의 서구 유산에서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토착문화나 농경문화 등 경관이라는 면적이고 추상적인 요소로 확장되고 있다. 동아시아의 문화경관 유산은 중국에 5개소, 일본에 2개소가 등재된 데 반해 한국에는 아직 등재된 바가 없다.
본 연구는 그간 한국의 문화경관 연구가 국제 정세에 비해 미흡한 데에서 출발하여 인간 사회와 정주지의 진화 흔적을 담은 전통 마을의 문화경관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한국의 여러 전통 마을 중 그 가치를 인정받아 세계유산 잠정목록에 올라있으나 경관유산으로서 주목받지 못하고 있다고 판단되는 아산 외암마을을 대상으로 하여 문화경관적 가치를 해석하고자 하였다.
이론적 배경이 되는 문화경관의 연구사를 검토하여 문화경관의 개념과 국제적 논의의 흐름을 살피고, 앞서 등재된 세계유산 문화경관 유산 사례 중 마을이 주요소인 유산을 등재 신청서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대상지의 문화경관 요소를 도출하는 요소 분석의 틀을 설정하고, 문화경관의 가치와 관련한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가치 평가의 틀을 구성하였다. 두 가지 연구의 틀에 따라 외암마을의 문화경관 요소를 형성 배경, 문화적 특성, 생활방식으로 구분하여 분류하였고, 역사성, 심미성, 연계성, 지속성, 정체성의 다섯 가지 가치를 통해 평가하였다.
외암마을의 문화경관은 조선 반가라는 역사적 배경과 풍수적 배경이 시작점이 되어 형성되었고, 구조적, 건축적 특징이 마을의 구조와 수체계를 중심으로 두드러진다. 현재 마을에서 살아가는 주민의 생활방식은 형성 배경과 그로부터 파생된 문화적 특성이 상당 부분 반영되었으며 양호하게 유지되고 있다. 자연환경과 역사적 배경, 그리고 그로부터 만들어진 마을 구조와 건축 및 정원 양식은 마을이 가진 역사성과 심미성, 자연과 인간의 상호작용이라는 연계성의 가치를 증명한다. 특히 그 역사로부터 비롯된 유교와 제사, 축제 등의 토착문화는 역사성뿐 아니라 유형과 무형의 유산 간의 상호작용이라는 연계성을 뒷받침한다. 마을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지역 공동체의 노력과 유산의 활용은 외암마을의 특징적인 요소인데, 국제적으로 지역민의 생활방식과 주민참여를 중요한 요소로 보고 있는 시점에, 강한 주민 결속력을 가진 외암마을은 지속성과 정체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한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는 대상지 답사와 인터뷰에 의존하여 정량적인 평가 기준을 내세우지 못했다는 한계가 있으나, 세계유산의 등재 기준으로는 전부 설명될 수 없는 지속성, 연계성, 정체성 등과 같은 문화경관의 고유한 유·무형적 가치를 해석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더불어 주민의 일상생활 및 토속적 문화 등 무형의 정신적 가치를 중요한 요소로 보며 문화경관적 가치를 보강 및 보존하는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6187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8972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