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중환자실 간호사의 중심정맥관 번들에 대한 지식, 조직문화 및 수행도 : 중환자실 간호사의 중심정맥관 번들에 대한 지식, 조직문화 및 수행도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혜린

Advisor
고진강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중심정맥관중심정맥관 번들감염관리중심정맥관 번들 수행도조직문화지식중환자실 간호사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간호대학 간호학과, 2023. 8. 고진강.
Abstract
중환자실은 의료관련감염 위험성이 높은 곳으로 적극적 감염관리가 필요한 부서이며,
의료관련감염 중 중심정맥관 관련 혈류감염은 환자의 예후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므로 이를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중심정맥관 번들은 중심정맥관 혈류감염을 예방하기 위한 의료진의 지침을 묶어 놓은 것으로 중심정맥관 관련 혈류감염을 낮추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의료진의 수행이 지속적으로 강조되고 있다. 특히 중심정맥관을 주로 다루는 간호사의 역할이 중요한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중환자실 간호사의 중심정맥관 번들에 대한 지식, 조직문화 및 수행도를 파악하고 이들의 상관관계와 중심정맥관 번들 수행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설문 방식의 횡단적 서술적 조사연구로 서울의 일개 상급종합병원의 8개 중환자실(내과계 중환자실 2, 외과계 중환자실 2, 흉부외과 중환자실, 심장내과 중환자실, 응급 중환자실, 신생아 중환자실 1,2, 음압격리 중환자실)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160명을 대상으로 2022년 11월 24일부터 2023년 2월 24일 3개월 동안 연구를 진행하였다.
중환자실 간호사의 중심정맥관 번들에 대한 지식 점수는19점 만점에 15.2점이었다. 중환자실 간호사의 중환자실 번들에 대한 지식은 나이가 많을수록(p<.001), 학력이 높을 수록(p<.001), 직위가 높을 수록(p=.039), 경력이 많을수록(p<.001), 근무부서가 외과계 중환자실, 특수 중환자실이 신생아 중환자실(p=.003)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중환자실 간호사의 중심정맥관에 번들에 대한 감염관리 조직문화는 7점 만점에 평균 5.85±1.10점이었다. 성별이 여성일 때(p=.002), 근무부서가 내과 중환자실과 신생아 중환자실이(p=.009)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긍정적이었다. 중환자실 간호사의 중심정맥관에 번들에 대한 수행도는 5점 만점에 평균 3.99±1.32점이었다. 중환자실 간호사의 중심정맥관 번들 수행도는 나이가 많을수록(p=.033), 성별이 여자일 경우(p=.004), 학력이 대학원 이상인 경우(p=.025), 직위가 높을수록(p=.014), 근무경력이 많을수록(p=.025)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중환자실 간호사의 중심정맥관 번들에 대한 수행도는 지식(p<.001), 감염관리 조직문화(p<.001)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중환자실 간호사의 중심정맥관 번들에 대한 수행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다중회귀분석 결과 지식수준이 높고 긍정적인 조직문화를 가질수록 중환자실 간호사의 중심정맥관 번들 수행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모형의 설명력(R2)은 23%였다.
본 연구를 통해 중환자실 간호사의 중심정맥관 번들에 대한 지식과 수행도의 취약한 부분을 발견하였고, 이는 중심정맥관 번들 수행도를 높이는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중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기존 연구에서 부족했던 중심정맥관 번들에 대한 조직문화와 수행도의 관계를 확인하여 조직문화가 중심정맥관 감염관리 중요한 요인이라는 것이 입증되었으므로, 조직문화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킨다면 중심정맥관 번들 수행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The intensive care unit is a department that requires active infection control, as it is a high-risk setting for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s. Central Line-Associated Bloodstream Infections (CLABSI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patient prognosis, underscoring the importance of preventing them. The Central Line Bundle provides instructions for medical staff to prevent CLABSIs, with adherence being the most effective method. This study aimed to assess the knowledge, organizational culture, and performance of ICU nurses in implementing central line bundles. Additionally, it aimed to identify correlations between these factors and performance influencers.
The study employed a descriptive, cross-sectional design using questionnaires over a three-month period from November 24, 2022, to February 24, 2023. It involved 160 nurses from eight intensive care units: MICU, SICU, NICU 1,2, CSICU, CCU, ACU, and BICU in a tertiary general hospital in Seoul.
Two research tools developed by Ha (2016) were used: 'Nurse's Knowledge of Central Line Bundle' and 'Nurse's Performance of Central Line Bundle.' Additionally, 'Organizational Culture for Infection Control' by Moon (2015) was utilized, all with permission from the authors.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R Studio Desktop 2023.03.0+386 Package.
The average score for ICU nurses' knowledge of central line bundles was 15.2 out of 19 points. Significant differences in knowledge levels were observed based on age (p<.001), education level (p<.001), position (p=.039), nursing career length (p<.001), and critical care career length (p<.001). Department-wise variations were also significant, with SICU and BICU/ACU nurses scoring higher than NICU nurses (p<.001). The average score for organizational culture related to the central line bundle was 5.85±1.10 out of 7 points. Gender (p=.002) and work unit (p=.009) influenced scores significantly, with higher scores for female nurses and those in the MICU. ICU nurses' average performance score in implementing the central line bundle was 3.99±1.32 out of 5 points. Performance levels varied significantly based on age (p=.033), gender (p=.004), education level (p=.017), and nursing career length (p=.025), with higher scores for older, female, more educated, and experienced nurses. Performance levels exhibit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knowledge (p<.001) and organizational culture (p<.001).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knowledge and organizational culture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performance of ICU nurses (p<.001), explaining 23% of the performance variability.
The study identified knowledge and performance weaknesses in ICU nurses regarding the central line bundle, providing insights for educational program development. It also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organizational culture in central line-associated bloodstream infection control, an often overlooked factor. Positive organizational culture was found to enhance the central line bundle performance of ICU nurses, highlighting the need for interventions targeting organizational culture.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6206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8011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