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The effect of empowering leadership on leader well-being: Leader related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 임파워링 리더십이 리더 웰빙에 미치는 영향: 리더 관련 선행요인과 결과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서동훈

Advisor
윤석화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Empowering leadershipJob demandsJob meaningfulnessEmotional exhaustionConservation of resources theory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경영대학 경영학과, 2023. 8. 윤석화.
Abstract
기존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임파워링 리더십은 구성원에게 다양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현재의 문헌은 임파워링 리더십 관련 두 가지 질문에 대한 답이 부족하다: 1) 임파워링 리더십이 리더의 웰빙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이며, 2) 리더는 언제 임파워링 리더십을 발휘하는가? 본 연구는 자원 보존 이론(Hobfoll, 1989)과 직업 요구 및 자원 모델(Demerouti et al., 2001)을 통합하여 일상적인 맥락에서 임파워링 리더십이 리더에게 유익한 효과 및 부정적 효과를 발생시키는 것을 탐색한다. 특히, 본 연구는 리더가 친사회적 행동 동기가 높은 날에 임파워링 리더십을 더욱 많이 행하고, 결과적으로 더 높은 도전적, 방해적 직무요구를 인식할 것이라고 예측한다. 또한 더 높은 도전적 직무요구를 경험하는 리더는 더 높은 직무 의미를 경험하는 반면, 더 높은 방해적 직무 요구를 경험하는 리더는 감정적으로 리더를 지치게 할 것이라고 예측한다. 맥락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 훈련 및 개발 관행이 친사회적 동기 부여와 임파워링 리더십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검증한다. 본 연구는 81명의 미국 리더 샘플(Level 1 N = 773)을 활용하여 경험 샘플링 방법 기반 친사회적 행동 동기가 임파워링 리더십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는 차례로 도전적 및 방해적 직무요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전적 직무요구는 직무의미와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고, 방해적 직무요구는 정서적 고갈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러나 훈련과 개발은 친사회적 동기와 임파워링 리더십의 관계를 조절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Extant literature on empowering leadership has already established its positive influence on employee outcomes. However, current literature lacks in answering two questions regarding empowering leadership: 1) what is the impact of empowering leadership on leader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2) why do leaders engage in empowering leadership? Integrating conservation of resource theory (Hobfoll, 1989) and job demands and resources model (Demerouti et al., 2001), we examine the beneficial and costly effect of the empowering leadership for the leaders in a daily context. Specifically, we predict that on days when leaders are prosocially motivated, they will engage more in empowering leadership behaviors and in turn perceive higher challenge and hindrance job demands. We further predict that leaders experiencing higher challenge job demands will in turn experience higher job meaningfulness, but at the same time experience higher emotional exhaustion due to higher hindrance demands. To further understand the context, we theorize and test whether training and development practices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prosocial motivation and empowering leadership. With a sample of 81 American supervisors (Level 1 N = 773), we used experience sampling method and found that daily prosocial motivation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empowering leadership, which in turn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both challenge and hindrance job demands. The challenge job demands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job meaningfulness and hindrance job demands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emotional exhaustion. Training and development, however, did not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rosocial motivation and empowering leadership.
Language
eng
URI
https://hdl.handle.net/10371/196233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7441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